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개시
처음
기원
발단
출발
근원
스페셜
"
시작
"(으)로 총 4,769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NOW] 조수미, KAIST서 명예 과학기술학 박사학위 받아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2.16
학생과 박서진 학생이 맡았다. 올해 입학식은 재즈마칭밴드 쏘왓놀라의 야외 공연으로
시작
됐다. 재학생 62명이 축하 피켓을 준비해 후배들을 환영했다. UNIST 직장어린이집 원아들도 오색 풍선을 들고 신입생들의 새 출발을 응원했다. 실내체육관에서는 학생동아리의 식전 축하공연이 이어졌다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지나치게 파격적인 의대 증원
2024.02.14
경제협력기구(OECD)의 평균인 5.48명을 넘어선다. 본격적인 ‘의사 과잉’의 시대가
시작
된다는 뜻이다. 2000년 의약분업 사태 이후 의대 입학정원은 아무도 건드릴 수 없는 성역이 되어버린 탓이다. 보건복지부가 지난 3일 어설프게 내놓은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에 대한 의료계의 반응도 차갑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중성자별과 블랙홀의 경계는
2024.02.07
간접적으로 존재를 확인할 수 있게 되면서 중성자별과 블랙홀의 질량 데이터가 나오기
시작
했다. 그 결과 흥미로운 패턴이 나왔다. 중성자별의 질량은 태양의 2배를 넘지 않았고 블랙홀의 질량은 태양의 5배를 넘었다. 질량이 태양의 2배에서 5배 사이 범위에는 중성자별도 블랙홀도 존재하지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히포크라테스는 왜 '의학의 아버지'로 불릴까
2024.02.04
졸업식에서 사용하는 히포크라테스 선서 오늘날 많은 의대에서 이제 막 의사생활을
시작
하기에 앞서 졸업식을 할 때 “히포크라테스 선서”를 하곤 한다. 이 선서도 오래 전부터 전해 내려왔지만 언제 누가 만들었는지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려진 바가 없다. 히포크라테스를 받드는 이들이 그가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제설제’는 ‘화학무기’가 아니다
2024.01.31
‘제설제’를 이용하는 ‘화학적’ 제설 기술을 동원할 수밖에 없다. 본격적인 도시화가
시작
된 1969년부터 굳어져 버린 관행이다. 제설제 살포가 조금만 늦어지면 아파트 관리실과 시청·구청에 민원이 쏟아진다. 평소 극심한 화학물질 혐오증을 호소하던 주민들도 제설제는 마다할 수 없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저수지 높이차로 만드는 친환경에너지
동아사이언스
l
2024.01.28
물을 낙하시켜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소다. 2022년 스위스 서남부 발레주에서 운영이
시작
된 NDD는 전 세계에서 가장 큰 에너지 저장장치 중 하나다. 전력 수요가 적은 야간에 잉여 전기를 이용해 하부 저수지에서 상부 저수지로 425m 높이를 거슬러 물을 끌어 올린다. 6초 동안 올림픽 수영장을 가득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일은 진전 안되고 피곤하다면
2024.01.27
이후 5분이든 3분이든 역시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쉬게 했을 때 더 집중이 잘 되고 일을
시작
하려고 시동 거는 데 걸리는 시간이 짧았으며, 피로도 또한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잠깐 크로스핏이라는 운동을 했을 때도 정해진 짧은 시간 동안 정신 없이 몸을 움직이고 정해진 시간 동안 쉬는 것을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암세포 죽이려 세균 죽이는 약을 쓰게 된 이유
2024.01.21
세균을 사멸할 수 있는 물질”이라는 의미로 항생제(antibiotics)라는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
했다. 원래 세균을 죽이는 약을 의미하는 항균제는 유기체에서 분리한 항생제와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 물질을 합성하여 사용하는 화학요법제로 구분했다. 그러나 지금은 항생제도 곰팡이를 키우지 않고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계획대로 일이 되지 않는 이유
2024.01.20
있다. 처음에는 작은 길에 한정되었던 것이 차도로 넘어오더니 근처 길을 전부 갈아 엎기
시작
했고 규모가 점점 더 커지고 있다. 분명 처음에는 1년 안에 끝날 거라고 들었던 것 같은데 벌써 수 년 째 진행중이다. 모든 일에는 ‘예상치 못했던 변수’라는 게 나타나기 마련이다. 따라서 처음의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무분별한 불소 거부증 극복해야
2024.01.17
우기는 환경전문가의 억지도 볼썽사나운 것이다. 불소에 대한 무분별한 거부증에서
시작
된 불필요하고 불합리한 규제는 과감하게 철혜하는 것이 마땅하다. ※필자소개 이덕환 서강대 명예교수(화학·과학커뮤니케이션). 2012년 대한화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과학기술, 교육, 에너지, 환경,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