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예지
선견
예견
간파
통관
선견지명
관찰
스페셜
"
통찰
"(으)로 총 109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읽는과학] 인간 건강증진 가져올 '유전자형-표현형' 연구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9.29
소장 연구팀은 최근 유전학의 발전으로 복잡한 질병의 유전적 구조에 대한 큰
통찰
력을 얻었다고 분석했다. 연구팀은 예를 들어 유전체 바이오 마커를 기반으로 바탕으로 한 표적 치료가 가능해졌다고 설명했다. 또 유전자형과 특정 표현형과의 연관성에 대한 이해가 늘어나게 되면 유전학 연구를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플라톤의 하늘, 아리스토텔레스의 땅
2019.07.25
그냥 기술적으로 그림만 잘 그린 게 아니다. 자기 나름대로 성경과 신과 인간을
통찰
한 엄청난 상상력의 결과가 고스란히 담겨 있다. 라파엘로나 미켈란젤로나 말 그대로 ‘르네상스적인 인간’들이었던 셈이다. 4차 산업혁명을 말하면서 융합적 사고를 강조하는 지금에도 《아테네 학당》은 많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사람마다 '약발' 다른 이유는 장내미생물
2019.06.25
의학이 눈부시게 발전하면서 장내미생물과 약물 대사처럼 이전에는 생각하지도 못한
통찰
까지 얻게 됐다. 그럼에도 이런 성과가 실제 치료에 적용돼 약효는 높이고 부작용은 주는 혜택을 보려면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이다. 여전히 의료 현장에서는 운이 꽤 작용하고 있다는 말이다. ※ 필자소개 ... ...
[과학게시판] EDISON 활용 부문 신설 外
동아사이언스
l
2019.05.24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은 24일 학부생 연구프로그램 지원사업에 에디슨(EDISON) 플랫폼에 시뮬레이션 활용 부문을 신설하고, 계산과학공 ... 주제로 강연을 했다. 김종열 한의학연 원장은 “강연을 통해 미래 한의학 연구를 위한
통찰
력을 발전시킬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면역학자 찰스 서 교수의 죽음 뒤 일어난 일들
2018.11.21
규명했다. 이 결과는 면역의 관점에서 암과 자가면역질환이 서로 시소 관계에 있다는
통찰
을 실험으로 증명해 관심을 끌었다. 이 결과는 면역세포 치료제 개발에 응용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 달에는 권위 있는 학술지인 ‘면역(Immunity)’에 또 한편의 논문이 실릴 예정이다. 서 교수의 죽음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수 비타민을 아시나요
2018.10.31
촉진이나 만성질환 위험성 증가가 그 결과라는 인과관계를 깨닫지 못했고 지금도 이런
통찰
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미토콘드리아 활성에 영향 미쳐 이번에 발표된 논문에서 에임스 교수는 한발 더 나아가 ‘장수 비타민’이라는 개념을 만들었다. 없어도 당장 생존에 문제를 일으키지는 않지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뱃살의 과학
2018.08.28
않았을까. 이 과정에서 리버먼 교수나 ‘추천의 글’을 쓴 이화여대 최재천 교수 같은
통찰
력이 있는 분들에게 자문을 구했다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이 든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내향적 사람도 행복할 수 있나요
2018.07.07
보인다(Epstein et al., 1996). 감각적인 동시에 이성적인 사람들이 많으며 (뛰어난 직관/
통찰
의 경우 오래된 사고 훈련이 뒷받침 되어야 가능하기도 하다), 반대로 감각적이지도 그렇다고 이성적이지도 않은 사람들도 많다는 것이다. 문과 체질이 아니라고 해서 자동적으로 수학을 잘 하게 된다거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한석봉 모친이 초롱불을 끄고 떡을 썬 까닭은...
2017.09.26
읽으면서 천재, 즉 재능이 있는 사람이 왜 노력을 하지 않는 경향을 보이는가에 대한
통찰
을 얻게 됐다. 여기 사랑스런 당신의 자녀가 있다. 다음 중에서 그런 자녀에게 하지 말아야 할 얘기는 어느 쪽일까. 1. “너 그걸 참으로 빨리 배웠구나! 넌 정말 똑똑해!” 2. “그 숙제 참으로 길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뇌는 이런 운동을 원한다
2017.07.18
이런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운동, 즉 신체 활동과 뇌의 관계를 진화의 관점에서
통찰
했고 그 결과 ‘적응 능력 모형(adaptive capacity model)’이라고 부르는 아이디어를 떠올렸다. 적응 능력이란 우리 몸의 능력이 필요(자극)에 맞춰 유연성을 보이는 현상으로 에너지최소화전략(energy-minimizing strategy)에서 ... ...
이전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