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상태
상황
현황
정세
사정
페노메논
실태
스페셜
"
현상
"(으)로 총 2,056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덕환의 과학세상] ‘음력설’은 중국에만 있는 것이 아니다
2024.01.03
계절의 변화는 지구 자전축이 공전 궤도에서 23.5도만큼 기울어져 있어서 나타나는 자연
현상
이다. 북반구에서는 자전축이 태양을 향하고 있는 여름에는 태양의 남중 고도가 높아지고, 낮의 길이가 길어진다. 반대로 자전축이 태양에서 먼 방향을 향하고 있는 겨울에는 태양의 남중 고도가 낮아지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개에게 건포도를 주면 안 되는 이유
2023.12.27
제시한다. 화학생태학이란 생물이 생체분자를 통해 동종 또는 이종 사이에 상호작용하는
현상
을 연구하는 분야다. 주로 식물과 이를 먹이로 삼는 미생물이나 동물 사이의 속고 속이는 화학전이 널리 연구되고 있다. 국내 화학생태학자로는 김상규 카이스트 생명과학과 교수가 떠오른다. 이동을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10번 고맙다가 딱 1번 서운한 일만 기억하는 사람들
2023.12.23
나빴던 걸 더 강하게 기억하는 반면 내가 남에게 하는 행동을 기억할 때는 정 반대의
현상
이 나타난다. 내가 타인에게 잘못했거나 상처줬던 일은 잘 기억하지 못하는 반면 잘 해줬던 일은 선택적으로 강하게 기억한다. 그러다보니 실제로 많은 사람들이 자신은 받기보다 주는 게 많은 사람이라고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최초 항생제 페니실린 발견은 우연일까
2023.12.17
파스퇴르는 같은 해에 특정 세균이 자리를 잡고 있으면 다른 세균이 잘 자라지 못하는
현상
을 발견하고 “한 미생물이 다른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1889년에 비예맹(Jean Paul Vuillemin)은 “하나의 살아있는 유기체가 자신의 존재를 보장하기 위해 다른 유기체를 죽이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빛을 향하는 식물 '굴광성'의 비밀
2023.12.13
짙은 녹색 잎에 끌려 하나 샀다. 잘 키워서 열매를 봐야겠다. 식물이 빛을 향해 자라는
현상
인 굴광성은 파란빛 세기의 차이를 감지해 작동한다. 어두운 곳에 둔 옥수수 자엽초의 오른쪽에서 파란빛을 비추면 빛을 덜 받는 반대쪽의 생장이 빨라져 자엽초가 빛 방향으로 굽는다. 30분 간격으로 연속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사적인 영역, 선 넘지 않기의 중요성
2023.12.02
또는 원하는 것보다 가까움) 행복도와 정신건강이 비교적 좋지 않으며 더 빨리 헤어지는
현상
이 나타났다. 최근 연구에서도 스스로가 생각하는 이상적인 친밀도보다 실제 친밀도가 더 높거나 낮으면, 다시 말해 상대가 자신이 설정한 바람직한 관계의 선을 넘고 있다는 느낌을 받으면 자신의 관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물리학은 생명을 이해할 수 있을까
2023.11.29
커지더라도 복제수가 여전히 많게 유지될 수 있다. 생명체가 있는 지구에서 보이는
현상
이다. 네이처 제공 연구자들은 앙상블을 이루는 분자들의 인과성을 정량화한 수식을 만들어 조립이라고 정의했다. 지수함수의 합 형태인 수식에서는 구성 분자의 조립지수와 복제수가 주된 변수다. 조립지수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힘든 경험'이 자신 전부를 설명하지 않는다
2023.11.25
보다 쉽게 돕기 위해 만들어진 장치들이 되려 역효과를 내고 있다는 것이었다. 이러한
현상
에 대해 서던캘리포니아대의 심리학자인 다비 삭스베는 특히 요즘 십대들 사이에서 정신질환과 관련 없는 일상적인 우울감이나 불안감, 스트레스 등을 정신 질환인 것처럼 성급하게 판단하는 일이 ... ...
[과기원NOW] KAIST, 국제백신연구소(IVI)와 백신연구 업무협약 체결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11.23
종이 나이트릴을 '친핵성 공격(전자가 부족한 화학종이 친전자체를 공격해 결합하는
현상
)'하면서 반응이 이뤄졌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지금까지 이론으로 존재했던 이 같은 기작이 실험적으로 밝혀지는 것은 처음이라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조재흥 교수는 "이번 연구는 금속-활성산소 종이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배웠다는 '착각'
2023.11.18
연구자들은 이러한
현상
을 “배웠다는 착각(illusion of learning)”이라고 불렀다. 이러한
현상
이 나타나는 이유에 대해 생각해 보면 배움이란 정보 전달이 이루어지는 현장에서만 이루어지는 게 아니라 그 이후에 스스로 계속 그 내용을 반복해서 떠올리고 다시 저장하는 노력을 거쳐야만 비로소 머리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