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재미
관심
호기심
취미
감흥
취향
잼
스페셜
"
흥미
"(으)로 총 415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나이가 들면 잠의 질이 떨어지는 이유
2022.03.08
활성화되면 축삭돌기 말단의 시냅스에서 오렉신이 분비돼 각성 신호를 전달한다.
흥미
롭게도 나이가 듦에 따라 Hcrt뉴런의 수가 줄어든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그 결과 각성 신호 세기가 약해져 낮에 두뇌 회전이 예전만 못하게 된다. 그런데 오렉신만으로는 나이가 들수록 밤에 잠들기 어렵고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바빠도 지루함을 느낄 수 있는 이유
2022.03.05
의미 찾기에 방해가 되는 편이다. 지금 주어진 일들은 대체로 어려운 편이라면 새롭고
흥미
로운 것을 찾아 나서기보다는 익숙하고 편안한 즐거움을 경험하는 것이 더 도움이 된다. 주말에 날씨가 좋으면 잠시 소풍을 떠나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흔히 “할 게 없다”고들 이야기하는 것에는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가짜뉴스에 쉽게 빠지는 사람의 특성
2022.02.26
있다. 생각하는 열린 마음과 반사적인 열린 마음이 서로 달라서 후자는 무비판적으로,
흥미
위주로 아무 정보나 수용하는 행동과 관련을 보이지만 전자는 어느 정도 기준을 세워 오염된 정보는 거르고 받아들이는 행동과 관련을 보인다. 아무 것에도 관심을 갖지 않고 아무 것도 새로 배우지 않는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과학의 재현성 위기와 보통과학자의 송곳
2022.02.24
일이다. 이런 문제가 언론에 노출될 때마다, 전문가들은 구조적 원인을 지적한다.
흥미
로운 연구결과에만 집착하는 연구자와 대학 및 학술지의 문제, 논문출판과 실적에 대한 압박과 과학자들의 무한경쟁 등이 거론된다. 현대과학의 구조적인 문제로 인해 재현성위기가 나타난다는 점은 너무나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온라인에서 타인의 삶을 망가뜨리는 사람들
2022.02.20
예컨대 상처받았거나 공격받고 있는 사람을 보고 안타깝다고 느끼기보다
흥미
롭다거나 재미있다고 느끼는 것을 말한다. 가학성이 높고 잔인한 사람들은 타인이 입은 피해를 실제보다 과소평가하는 경향을 보이기도 한다 ... ...
장애 넘어 과학자 꿈 키운 24살 청년도,출산과 육아 병행한 34살 엄마 박사도 이날은 모두 '챔피언'
동아사이언스
l
2022.02.17
수학자의 꿈을 찾아 수리과학과에 진학했지만, 학부 1학년 때 접했던 프로그래밍에
흥미
를 느껴 전산학부 과목을 자유롭게 수강했던 2학년 가을학기에 학과 딘즈리스트(성적우수학생)에 이름을 올린 뒤 이듬해 전산학으로 과감하게 전공을 바꿨다. 올해 3월 KAIST 전산학부 석사 과정에 진학해 ... ...
[강석기의 과학카페]코로나19는 감기가 될까
2022.02.08
만에, R0가 6이면 2년 반 만에 0으로 감기가 된다. 치명률이 14%나 되는 사스는 어떨까.
흥미
롭게도 사스의 치명률 역시 어릴 때는 매우 낮고 나이가 듦에 따라 급격히 올라가 80대에서는 무려 70%에 이른다. 재감염됐을 때 거의 죽지 않는다고 가정하면 R0가 2일 때 10년 뒤 치명률이 2%로 떨어진다. ... ...
코로나19 확산에 올해도 '집콕'...건강한 설 연휴 위한 건강상식
동아사이언스
l
2022.01.29
전자기기에 익숙해진 아이는 강한 자극에만 뇌가 반응하기 때문에 관심을 끌거나
흥미
를 유발할 수 있는 대체수단을 찾기 어려워진다. 미국소아과학회에 따르면 소아청소년기 전자기기 화면 노출시간은 하루에 2시간 이내가 적당하다. 만 2세 이하 영유아는 전자기기 화면을 보지 않는 것이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삶이 정체되어 있다고 느낄 때, 기억을 꺼내보라
2022.01.22
것이 즐겁겠냐고 생각하는 편이었다. 하지만 기억보관함을 여는 작업은 예상보다 훨씬
흥미
진진하고 즐거운 것이었다. 어쩌면 삶에서 남는 것은 기억일지도 모르겠다. 물론 현재가 당연히 제일 중요하겠지만, 찰나의 시간들이 지나서 쌓이는 발자취만큼이나 기억은 자연스럽게 쌓여간다. 삶을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성취 가능한 목표를 세우고 작심삼일을 자책하지 말라
2022.01.08
워낙 빠르게, 또 완벽하게 실패하기 마련이라 되려 연초부터 해당 목표에 대한
흥미
와 희망을 꺾고 불안한 마음으로 한 해를 보내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특히 열심히 사는 것을 자랑으로 여기고 작심삼일에 대해 큰 죄책감을 가지는 사람들은 얼마 안 가서 “또 망쳤어. 나는 너무 게을러.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