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뉴스
"
교수
"(으)로 총 22,681건 검색되었습니다.
한반도 덮친 고기압 뚜껑에 뜨거운 열 갇혔다...온난화탓 열돔현상 길어지나
동아사이언스
l
2021.07.23
있는 기후위기의 한 사례라고 보고 연구 역량을 투입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허
교수
는 “기상학 연구 투자가 너무 적다보니 열돔 현상을 연구할 연구자조차 국내에 없다”며 “국가뿐 아니라 기업에서도 다가올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이 분야 투자를 늘려야 한다"고 말했다. 이명인 ... ...
지구 밖 첫 지진파 연구로 화성 내부 구조 알아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23
년 12월까지 임무를 더 연장하기로 결정했다. 사네 코타르 영국 케임브리지대 지구과학부
교수
는 “향후 몇 년간 더 많은 화성 지진이 수집되면 과학자들이 화성 모형을 더 정교하게 다듬고 수수께끼들을 더 많이 밝낼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
[과학게시판] 연세대-삼성바이오에피스, 인력양성 산학협력 체결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7.23
현장실습에 참여한다. ■ 김철홍 포스텍 전자전기공학과·IT융합공학과·기계공학과
교수
연구팀은 국제학술지 ‘빛: 과학과 응용’에서 수여하는 2020 우수 논문상을 받았다고 22일 밝혔다. 연구팀은 생체 내 적혈구를 이용해 초해상도를 구현하는 국지화 광음향 현미경에 대해 발표한 2019년 ... ...
[의학바이오게시판] 하재인 고려대 의대생 SCI급 논문7편 출판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7.23
학생은 “학생의 아이디어에 항상 귀 기울이고 조언을 아끼지 않은 박성수∙권영근
교수
덕분에 학생으로서 누리기 어려운 기회를 누렸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한국의학한림원과 한국화이자제약은 내달 15일까지 제19회 화이자 의학상 수상자 후보를 공모한다고 밝혔다. 화의자 의학상은 ... ...
자가검사키트 허가 앞두고 의료계 왜 취소 요구할까
2021.07.22
독감 같은 바이러스 감염질환에 대해 유전자 검사 없이 키트로 진단하고 있다. 김
교수
는 "독감의 경우 고열이나 기침, 인후통 등 증상이 뚜렷한 환자가 검사를 받으니 양성률이 높고, 키트 자체도 민감도가 70% 이상으로 꽤 높다"면서 "반면 코로나19는 경증 또는 무증상 환자가 많고 키트도 민감도가 ... ...
코로나19 하루 확진자 2000명대 올라설까..."23일 기점 확산세 꺾일 것"
동아사이언스
l
2021.07.22
수치다. 연구팀은 1주일 뒤인 이달 30일에는 1565명으로 줄어들 것으로 분석했다. 이창형
교수
는 “과거 데이터 중 가장 강한 거리두기가 시행된 시기의 감염재생산지수(R)가 0.83임을 가정했다”고 말했다. 감염재생산지수는 감염자 한 사람이 몇 명에게 코로나19를 옮기는지를 나타내는 값으로 1보다 ... ...
유명인 극단적 선택 보도 기조 바꾸자 '베르테르 효과' 크게 줄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22
99명)보다 약 5.7%, 자살률이 최고치였던 2011년보다 약 13.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
교수
는 "자살 보도에 대한 지침을 바꾸는 등 언론의 노력으로 지난 10년간 더 많은 생명을 지킬 수 있었다"며 "다만 최근 들어 유튜브나 SNS 등으로 더 쉽고 더 다양한 경로로 자살 소식이 증가해 이를 위한 ... ...
바이러스 독해질수록 '보건용 마스크' 써라
동아사이언스
l
2021.07.22
보건용 마스크를 쓰는 의료진이 많아졌다. 유진홍 가톨릭대 부천성모병원 감염내과
교수
는 "야외에서는 얇은 덴탈마스크 등을 쓰는 것도 괜찮다"면서도 "대중교통처럼 사람이 많이 밀집된 곳이나 실내처럼 밀폐된 환경에서는 보건용 마스크를 쓰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마스크 대란' 때에는 ... ...
델타 변이 전파력 강한 이유 “잠복기 짧고 바이러스량 1000배 이상”
동아사이언스
l
2021.07.22
기존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자에 비해 최대 1260배나 높았다. 벤자민 카울링 홍콩대
교수
는 “잠복기가 짧은 데다가 바이러스 증식량이 많다 보니 델타 변이의 전파력이 기존 바이러스나 다른 변이보다 강한 것으로 설명된다”고 말했다. 호흡기에서 배출되는 바이러스양이 많다는 것은 델타 변이 ... ...
가상 핵융합로 짓고 AI로 암흑에너지 파헤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22
단기간에 저비용으로 소형 핵융합 발전로 구축 기반 확보가 핵심이다. 이형목 서울대
교수
가 이끄는 중력파우주 연구단은 다중신호 천문학과 인공지능을 활용해 허블상수를 정밀하게 측정하고 암흑에너지의 성질을 규명한다. 허블상수는 은하의 속도와 거리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비례상수로 ... ...
이전
900
901
902
903
904
905
906
907
9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