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뉴스
"
발견
"(으)로 총 10,228건 검색되었습니다.
다른 사람 ‘눈치 보는’ 뇌세포 찾아냈다
2015.03.02
뇌 전대상회피질에서 상대방의 결정을 의식할 때 활성화되는 뇌세포군이 있다는 것을
발견
했다. - 셀(Cell) 제공 실험 결과 원숭이들의 선택은 34.7%가 협력이었다. 둘 다 협력을 선택한 경우는 17.1%였다. 특히 상대방이 이전 게임에서 배신을 한 경우 협력을 선택하는 경향은 26%로 크게 낮아진 반면 서로 ... ...
만능 잡화상 고양이 ‘도라에몽’이 돌아왔다
2015.03.01
냈을 뿐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기발하고 황당한 아이디어가 곧 과학과 기술, 또 발명과
발견
의 아버지이기도 하다는 사실만은 변하지 않는다. 실제로 도라에몽 시리즈의 각종 도구가 실제로 현실에 등장한 것들이 적지 않았다. 궁금증이 들어 검색해 보니 네티즌들이 정리해 놓은, 각종 도구들만 30 ... ...
유인원에서 인간으로 진화시킨 ‘뇌확장 유전자’ 찾았다
2015.03.01
교수팀은 다른 동물에게는 없고 인간에게만 존재해 두꺼운 신피질을 만드는 유전자를
발견
했다고 26일 밝혔다. 먼저 연구팀은 인간과 유전체(게놈)가 99% 동일한 쥐와 인간의 뇌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면밀히 관찰했다. 인간처럼 복잡한 주름이 진 커다란 뇌가 만들어질지, 주름이 적고 단순한 뇌가 ... ...
태양 질량 120억 배 초거대 블랙홀
발견
2015.02.27
우주에서 굉장히 무거운 블랙홀이
발견
된 것은 이례적인 일”이라고 말했다. 지금까지
발견
된 블랙홀 중 가장 오래된 것은 빅뱅 직후 7억6000만 년 전에 생성됐다. ... ...
“청색 LED 개발에 10년, 노벨상 수상까진 25년 걸렸죠”
2015.02.26
풍토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아마노 교수는 대학원생 시절 청색 LED 개발의 단서를
발견
한 공로를 인정받아 스승인 아카사키 이사무(赤崎勇·86) 일본 메이조대 교수와 함께 공동 수상자로 선정됐다. 아마노 교수는 현재 녹색 LED의 효율을 끌어올리는 연구를 진행 중이다. 그는 “붉은색 LED와 ... ...
항생제 내성 생기는 이유 밝혔다
2015.02.25
합성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더 많이 발현시켜 항생제에 적응하게 한다는 사실을
발견
했다. 특히 이 인자에 돌연변이가 생기면 내성이 크게 증가한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임 교수는 “이 인자의 활성을 저해하는 물질을 찾는다면 감염을 막고 항생제에 대한 내성도 차단할 수 있을 것”이라고 ... ...
우리 할머니는 아티스트
2015.02.25
호모 에렉투스 시절부터 노년기의 삶이 보편화됐다는 할머니 가설의 허점이
발견
된 것입니다. 우선 인류의 진화 역사 속에서 노년층의 비율이 점점 늘어난 것은 사실이었습니다. 노년층의 비율은 오스트랄로피테쿠스(약 400만 년 전 등장)보다 호모 에렉투스(200만 년 전)에서 더 커졌습니다. ... ...
“우주의 지름길 웜홀, 언젠가 인류가 만들 날 올겁니다”
동아일보
l
2015.02.25
초고도 문명에 의해 만들어져야 한다고 설명한다. “웜홀을 가능케 하는 물리법칙이
발견
된다는 전제하에 언젠가 인류가 웜홀을 만들 수 있을 겁니다. 다만 먼 미래일 겁니다. 수천 년, 아니 수만 년 후는 돼야…. 기술적 어려움 때문이죠.” 그의 이론에 따르면 웜홀 속에서 시간여행도 가능하다. ... ...
땅콩 알러지 원인 유전자 찾았다
2015.02.25
변이가 땅콩 알러지에 관여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 변이는 실험 대상자의 20%에게서
발견
됐다. 하지만 이 변이를 지닌 대상자가 모두 땅콩 알러지를 호소하진 않았다. 연구진은 임신 기간의 환경이나 영양 상태와 같은 후성유전학적 변화가 실제로 땅콩 알러지를 일으킬지 여부를 ... ...
우아한 숄 두른 갯민숭달팽이, 이탈리아에 가다
2015.02.22
iodinea)’. 화려한 형태를 뽐내는 이 동물은 자연이 아닌 신경생물학실험실에서 자주
발견
된다. 스패니쉬숄 갯민숭달팽가 가지고 있는 촘촘한 신경망은 인간 신경세포의 특성과 신경회로를 연구하는데 좋은 모델이다. 또 신경과학자들은 이 동물에게서 배움과 기억 같은 인간의 사고 과정과 행동 ... ...
이전
901
902
903
904
905
906
907
908
9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