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술자
학자
명수
숙련가
권위자
기교가
프로
뉴스
"
전문가
"(으)로 총 9,222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야기로 배우는 수학' 출간
동아일보
l
2013.06.18
배우는 수학-일상에서 만나는 스토리텔링 수학 세계’는 창의성·영재교육 분야
전문가
인 김형진 전 영재사관 대표가 집필했다. 단행본 구성. 가격 1만2800원. 주문 전화 02-362-5110 이강훈 기자 ygh83@donga.com [화제의 뉴스] - 벼락 맞을 확률보다 낮은 복권, 왜 계속 살까? - 명문대 보내려면 ‘왕따 ... ...
인류 뇌팽창은 전두엽이 주도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6.17
그러나 지난 10여 년 동안 이런 가설에 맞지 않는 측정 결과들이 하나 둘 발표되면서
전문가
들 사이에 논란이 되고 있었다고 한다. 연구자들은 기존 논문들의 데이터가 일관성 있게 통계처리되지 않았다는 점을 파악하고 이들 데이터를 모아 새로운 기법으로 처리했고 그 결과 현생인류의 ... ...
왕따 엄마를 위한 ‘교육의 정석’
동아일보
l
2013.06.17
모았다. 이 리포트의 인기 덕분에 그는 지난해만 50여 차례 진학설명회에서 ‘교육
전문가
’로 초빙받았으며 스스로 “소녀시대급 인기를 누리고 있다”고 했다. 김 연구원은 워킹맘들이 ‘왕따 엄마’가 될까 봐 두려움을 갖지 않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굳이 학부모 이너서클에 들어가지 않아도 ... ...
수시 최저학력기준 10,000개… 일선 고교 “진학지도 포기”
동아일보
l
2013.06.17
중에서 수시 최저학력기준을 계산할 수 있는 정도는 아직 개발되지 않았다. 입시
전문가
들은 교육부가 8월 발표할 대입 전형 간소화 정책에서 최저학력기준 간소화를 가장 먼저 추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B 광역시 진학지도협의회 관계자는 “대학이 전형 숫자만 줄여놓고 최저학력기준은 복잡하게 ... ...
이른 무더위에… 청계천 ‘하루살이-깔따구 몸살’
동아일보
l
2013.06.17
건 청계천 주위에 웅덩이나 하수구 등 날벌레가 산란하기 좋은 곳이 많다는 증거라는 게
전문가
들의 설명이다. 배연재 고려대 생물과학부 교수는 “날벌레를 잡겠다고 강한 살충제를 써 방역을 하면 청계천 생태에 좋지 않다”며 “청계천 인근 하수구 등에 날벌레가 번식하기 좋은 물웅덩이를 ... ...
"혐오스런 악어, 생태계엔 보배"
동아사이언스
l
2013.06.16
때문에 신경 쓸 게 많다. 나는
전문가
라 악어의 행동을 어느정도 예측할 수 있지만 비
전문가
도 팀에 합류하기 때문이다. 특히 악어를 유인하기 위해 배에서 물 쪽으로 늘어뜨려 놓은 밧줄을 조심해야 한다. 악어가 포획되는 순간 줄이 팽팽해지는 데 이때 자칫 손가락이 잘려 나갈 수 있다. 한 번은 ... ...
과학을 아는 것은 어렵지 않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6.16
◆과학을 안다는 것(브라이언 클레그 著/ 김옥진 譯/ 엑스오북스 刊) 과학은 사실 어렵다. 마음을 다잡지 않으면 과학에 대한 책을 읽기 ... 우리나라 냇물의 참 주인들이다. 물속 생물에 관한 자료가 많지 않은 상황에서
전문가
들 뿐만 아니라 교육자와 어린이들에게도 큰 도움이 될 책이다 ... ...
[채널A] 석쇠에 구운 고기, ‘발암물질’ 불판의 20배
채널A
l
2013.06.15
아세트알데히드, 일산화탄소 등 유해물질과 미세 먼지까지 포함돼 있어 피해야 합니다.
전문가
들은 양파 같은 항산화 식품을 고기와 함께 구우면 유해물질 발생을 줄일 수 있다고 조언했습니다. 채널A 뉴스 이영혜입니다 ... ...
삼성-애플, 이젠 적이 아닌 같은 운명?
동아일보
l
2013.06.15
삼성전기 사장도 “기대 수준대로 갤럭시S4용 부품을 잘 공급하고 있다”고 밝혔다.
전문가
들은 삼성전자가 애플과 달리 지속적인 성장을 할 것이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첫 번째 근거는 삼성전자의 수직계열화 구조다. 제품 디자인과 소프트웨어 경쟁력에 의존하는 애플과 달리 삼성전자는 ... ...
퉁구스카 사건의 진실 밝혀졌나
동아사이언스
l
2013.06.14
가벼운 혜성이 폭발한 것이라고 제안했다. 이 아이디어는 수십 년간 지속됐다. 또 일부
전문가
들은 퉁구스카 사건의 범인으로 외계인의 비행체, 반물질, 블랙홀을 제시하기도 했다. 1946년 옛소련의 SF 작가 알렉산더 카젠스키는 핵연료를 사용하는 외계인의 우주선이 지구에 착륙하기 직전 ... ...
이전
902
903
904
905
906
907
908
909
9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