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개시
처음
기원
발단
출발
근원
d라이브러리
"
시작
"(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LG전자 사장 백우현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디지털TV는 1998년 첫방송 서비스 이후 2002년 월드컵을 계기로 본격적으로 보급되기
시작
해 디지털시대를 여는 기폭제가 되었다. 위성방송에 이어 케이블방송도 디지털로 바뀌고 있다.이제 한국 전자산업의 총아로 떠오른 디지털TV는 고화질·고음질방송 이외에 ... ...
경쟁자 나타나자 '종의 기원' 서둘러 발표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서술했다. 그리고는 이들 증거들을 하나로 엮어 설명할 수 있는 새로운 진화 이론을 찾기
시작
했다.사실 다윈은 ‘조사일지’ 발표 후인 1840년대 초에 이미 자신의 진화론의 윤곽을 잡았다. 하지만 출판을 서두르지 않았다. 1856년까지만 해도 그는 몇년의 여유를 갖고 실제로 발간된 ‘종의 ... ...
"배아복제 연구 재개" 황우석 교수팀 美서 공식선언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황우석 교수와 문신용 교수는 “그동안 중단했던 인간 배아 줄기세포 복제 연구를 다시
시작
하겠다”고 최근 미 필라델피아에서 열린 미국생식의학협회(ASRM) 회의에서 공식 선언했다.황 교수는 “인간배아 줄기세포 연구는 우리 팀이 가장 앞서 있지만 각국 연구진이 이를 토대로 다른 연구에 ... ...
1. 분자로 나노기계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만들어지겠어?”라고 한심하다는듯이 비웃고 지나갈 수도 있을 것이다.나노로봇 연구
시작
단계영화에서 나오는 나노로봇은 아마도 현실에서 가능하지 않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어쩌면 허황된 것일지도 모르는 목표를 추구하는 동안 제작된 각 부품들인 나노바이오센서, 나노약물전달시스템, ... ...
2156년 올림픽 여자가 남자보다 빠를까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뒤집는다. 그는 1900년부터 올림픽 남자 1백m 달리기 1위 기록과 여자 선수의 참가가
시작
된 1928년부터의 여자 기록을 모두 조사해 통계적으로 분석했다. 1백여년의 우승 기록을 모두 점으로 찍은 뒤 점들이 만드는 그래프를 그린 것이다. 이 연구에 따르면 1백여년 동안의 1백m 1위 기록은 남녀 모두 ... ...
세계 3번째로 큰 공룡 한국에 왔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태어나 의사가 된 뒤 다 쓴 기계를 버리지 못하고 이것저것 모으다가 화석에 관심이 가기
시작
했다. 수집품이 하나 둘 쌓이면서 자연사박물관을 생각하게 됐다. 병원에서 번 돈을 박물관에 거의 다 투자했지만 때로는 건설비가 부족해 자녀들의 집을 담보로 돈을 빌렸다고 한다. 박물관을 위해 ... ...
금성과 목성의 랑데부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특별한 관심거리다.동쪽하늘에 밝은 두 행성이 빛나면서 새벽의 밤하늘은 활기를 띠기
시작
한다. 날이 지나면서 두 행성은 상당히 흥미로운 움직임을 보인다. 매일 일찍 일어나 같은 시각에 두 행성을 살펴보자. 금성은 비교적 일정한 고도에 머물지만 목성은 날이 갈수록 고도가 점차 높아진다. ... ...
작은 수의 강한 법칙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 16, ?A수열 문제는 간단하면서도 재미있기는 하지만, 누군가 그 규칙에 대해 트집을 잡기
시작
하면 그야말로 문제가 끝없이 생기게 된다. 예를 들어 위의 두 수열 문제의 답은 무엇일까? 첫번째는 11, 두번째는 32? 아마 그것이 가장 단순한 규칙이겠지만, 상상력을 조금만 더 발휘해보면 얼마든지 다른 ... ...
누가 누굴 먹는거야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뒤 왕뱀은 콘스네이크를 덮쳐 몸으로 휘감아 8시간만에 죽였다. 그 뒤 머리부터 삼키기
시작
해 2시간에 걸쳐 콘스네이크를 먹어치웠다. 연구자들은 위의 길이가 몸길이의 3분의 2인 왕뱀이 어떻게 자기 몸길이 만한 뱀을 먹을 수 있었는지 X선 촬영과 부검을 통해 알아보기로 했다.그 결과 왕뱀의 위는 ... ...
“보라호, 말 탄 것처럼 흔들렸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묻은 채 다시 착륙하지 못했다.시험비행의 프런티어 잃다 “소형항공기 시험비행을
시작
한 것이 1993년부터였으니 벌써 10년이 넘었다. 항공기에 데이터 획득 장치 센서를 장착해 시험비행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했다. 밤 12시를 넘기는 것은 보통이었다. 활동적이어서 다른 과 교수들과 협동 ... ...
이전
904
905
906
907
908
909
910
911
9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