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간
놈
인류
녀석
인물
휴먼
개인
d라이브러리
"
사람
"(으)로 총 14,404건 검색되었습니다.
겨울철에 달리면 살빼는 효과 배가
과학동아
l
200112
없는 곳에 거주하는
사람
들은 해변을 달리는 것이 불가능하겠지만 바닷가 근처에 사는
사람
들은 해변에서 러닝으로 근력을 키워보는 것도 좋다. 부드러운 모래 위에서 달리면 딱딱한 지면에서보다 힘들지만 관절에 부담도 훨씬 덜하고 자연스럽게 근력운동을 겸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수영이나 ... ...
격리된 방에서 교신하려면?
과학동아
l
200112
들리는 소리는 왜 동굴 속의 메아리 같을까동굴에서 소리를 내면 그 소리의 일부는 듣는
사람
에게로 직접 이동하는데, 이를 직접음이라고 부른다. 나머지는 벽과 천장 그리고 바닥 등을 때린다. 그 표면에서 소리에너지의 일부는 흡수되고 일부는 통과되며 동굴 안으로 다시 반사되기도 한다. 반사된 ... ...
우리 삽살개
과학동아
l
200112
여기에 강아지 기르기와 길들이기까지 더해놓은 것이다. 실제로 개와 함께 생활하는
사람
들이 가질 수 있는 궁금증을 모두 풀어놓았다고 할만하다. 더불어 10여년 간 서울과 경산을 오가며 삽살개 사진을 찍어온 사진작가 임인학씨의 사진이 더해져서, 삽살개가 금방이라도 뛰어나올 것 같은 생명이 ... ...
에이즈 백신 안전성 입증
과학동아
l
200112
과학자가 개발한 에이즈 치료 백신이
사람
을 대상으로 한 임상실험에서 안전성을 입증 받고 미국에서 침팬지를 대상으로 이뤄지고 있는 동물실험에서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포항공대 생명과학과 성영철 교수는 올해 3월부터 우크라이나 키예프의 전염병연구소에서 에이즈 환자 20명에게 ... ...
겨울밤 화려하게 뿌려진 보석 잔치
과학동아
l
200112
하늘의 남극 부근에 자리잡은 알파(α)별 아케르나르에서 끝난다. 그래서 남반구에 사는
사람
은 에리다누스 강물줄기를 다 볼 수 있다. 희미한 별을 쫓아가며 이리저리 굽이치는 강의 모습을 그리다 보면 저승으로 가는 길도 그다지 쉽지 않다는 걸 느낄 수 있다. 남북으로 가장 길게 뻗은 별자리로 ... ...
Ⅱ 놀고 있는 컴퓨터 그물망으로 엮는다
과학동아
l
200112
경우 서버의 속도가 느려지거나 다운되는 일이 발생한다. 마치 수많은 사용자를 한
사람
의 관리자가 통제하기 힘든 것과 같은 이치다. 신문 사이트에 접속해서 원하는 기사의 키워드를 검색창에 넣으면 가끔 ‘사용자가 너무 많습니다. 잠시 후 다시 시도해 주십시오’라는 메시지를 만나게 되는데, ... ...
한민족의 오랜 벗 한국개의 기원
과학동아
l
200112
온갖 형태의 개가 다 포함될 수 있다. 언뜻 토종개라면 진돗개와 삽살개만 떠올리는
사람
들이 많지만 실제로는 품종으로 구분되지 못한 종류도 많다. 사실 일명 잡견 또는 똥개라고 불리며 무시되면서 역사의 격변기에 사라져버린 수많은 개들이 토종개의 대부분을 이뤘다고 할 수도 있다 ... ...
ㅣ인간복제 찬성ㅣ 과학발달하면 윤리문제 없다
과학동아
l
200112
합의가 이뤄지고 난 뒤에 복제인간이 탄생해야 한다. 이 경우 복제인간이 보통
사람
과 동일한 대우를 받고 소외되지 않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그렇지만 최근 상황을 보면 그 전에 복제인간이 태어날 가능성도 있다. 이 경우 관련 법률에 따라 관련자에 대한 책임 추궁이 있어야 한다. 물론 ... ...
복제 연구 추진하는 라엘
과학동아
l
200112
항생제 등 모든 발견에 대해 기존 종교인들은 반대해 왔다. 만일 과학을 반대하는
사람
들의 말을 따랐다면 현재 인류의 90%는 죽었을 것이다.◀ 대리모인 김진희 씨에게 묻고 싶다. 복제아기를 낳은 뒤에 모성애가 생겨 아기를 주기 싫을 수도 있을텐데.김진희) 라엘리안을 지지하고, 인류가 가치있는 ... ...
메이슨 과학의 역사
과학동아
l
200112
년에는 개정판이 출간됐다(우리말 번역본, 박성래 옮김, 도서출판 까치).과학사를 공부한
사람
이라면 가장 먼저 접하게 되는 책이다. 제목에서 드러나듯이 그가 과학의 역사를 기술하는 입장은 과학이 하나가 아니라 여러개(sciences)라는 것과, 자신이 쓰고 있는 과학의 역사가 유일한 역사(the history of ... ...
이전
905
906
907
908
909
910
911
912
9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