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속
지속
퍼짐
속편
결과
뒤
후편
d라이브러리
"
계속
"(으)로 총 10,457건 검색되었습니다.
시라노 드 베르주락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추진력을 잃게 되었을 때 소설의 주인공은 뼈의 골수로 온몸을 문질러 남은 여행을
계속
할 수 있었다. 시라노씨가 여행시간 전체를 로켓에 맡기지 않았다는 것은 참으로 안타까운 점이지만 모든 것이 만족스러울 수 만은 없는 것이다.따지고보면 시라노씨 편에서 볼때 로켓의 이용을 생각해 낸 것은 ... ...
(1) 2차원 평면에 살아움직이는 실물이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정점으로 밖으로 퍼져 나간다. 특정한 거리를 두고 같은 힘을 가진 조약돌을 호수위에
계속
던지면 같은 원리로 원을 그리며 수면파는 퍼져 나간다. 양지점에서 시작되는 수면파가 일정한 장소에서 만나게 되면 두 수면파 사이에 새로운 수면파가 형성된다. 빛도 파동과 기본원리는 마찬가지다. 두 ... ...
5. 이제 관심은 평화적 이용방안에 모아져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핵물질과 다시 핵분열 반응을 일으키면서 연쇄적으로 또 기하급수적으로 반응이
계속
된다. 하나의 핵반응이 일어나는데 걸리는 시간이 ${10}^{-7}$~${10}^{-8}$초 정도의 짧은 시간이므로 만일 연쇄반응을 조절하지 않고 그대로 방치한다면 1초동안에 7x${10}^{15}$J의 에너지가 발생되는 셈이다.핵폭탄은 ... ...
마차를 발명해낸 절름발이 왕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그 뒤를 이어 겨울의 많은 1등성들이 떠오른다. 매일밤 남보다 먼저 북쪽하늘에 나와
계속
되는 다른 밝은 별들을 바라보고 있는 듯한 모습에서, 아라비아 사람들은 이 별을 '별의 수행자' 또는 '묘성을 끌고 오는 낙타 심부름꾼'이라는 이름으로 불렀다. 카펠라는 노란색 거성으로 태양보다 60배나 더 ... ...
합리적인 우주고려장제도 절실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없는듯하다. 경제성을 내세워 연료잔량이 거의 고갈돼 설계수명이 지난 위성 조차도
계속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상용(商用)국제위성기구로 가장 규모가 크고 모범적인 인텔샛(INTELSAT)의 경우도 남북조절용추진연료(N-Sstation keeping)잔량이 전무한 상태에서 수년간 경사 궤도(inclined orbit)를 ... ...
일반상대성이론의 중흥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17년에 우주는 사간에 따라서 진화하지 않으면 안된다 라고 예언해 그가 발전시킨 이론에
계속
마음을 두었다면 일반상대성과 우주론의 관계는 어떻게 됐을까. 그렇다면 아마도 우리는 확증을 얻을 때까지 뒤돌아 앉아서 기다려야만 했을 것이다.실제 일반상대론의 우주론적 성공은 I960년대에 ... ...
(2) 영화도 가능한 스테레오 홀로그램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움직여 피사체를 3백60°각도로 촬영하는 것이다. 그 각각의 필름을 한 장의 사진건판에
계속
적인 노출을 주기도 하고 같은 속도로 롤사진 건판에 기록도 해서 원형이나 반원형 또는 평면적인 사진건판에 입체적으로 수록하는 원리다.관찰자가 시점을 달리하면서 보면 짧은 순간에 움직이는 3차원 ... ...
2. 새로운 뇌관으로 떠오른 우발적인 핵전쟁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그만두지 않아서 걱정이다. 북한이 끝까지 국제 핵사찰을 거부하고 핵폭탄 만드는 일을
계속
한다면 언제 몇개의 핵폭탄을 제조할 수 있을가. 이러한 궁금증을 풀기 위해 북한의 핵능력을 살펴보기로 한다.핵폭탄을 만들기 위해서는 제일 먼저 우라늄을 원자로에 넣고 때야 한다. 그러면 '사용후 ... ...
전자센서보다 우수한 광학섬유센서 등장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물론 가급적 많은 센서를 투입해야 보다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허스턴은 힘을
계속
받는 곳 두 부위에 하나꼴로 센서를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얘기한다. 현재까지 이 광학섬유센서의 작동은 매우 원활한 상태다 ... ...
오묘한 서리의 세계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있다.아무튼 야간에 지면은 대기공간을 향해 열복사를 행하고 있으므로, 지표면 온도가
계속
적으로 낮아지는 이른바 '복사냉각'현상을 볼 수 있다. 저온으로 떨어진 지면에서는 낮과는 반대로 열흐름이 나타나게 된다. 즉 땅속에서 땅표면으로의 열수송이 진행되는 반면, 대기에서는 바람의 주도로 ... ...
이전
905
906
907
908
909
910
911
912
9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