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상"(으)로 총 13,389건 검색되었습니다.
- ② 지능형마이크로시스템 개발사업단장 박종오과학동아 l2001년 04호
- 단점을 보완해주는 주변의 많은 사람들이 있어 행복하다고 말했다.“특히 KIST에서 10년 이상 친하게 지낸 홍예선 박사로부터 많은 것을 배웁니다. 저와는 성격이 판이하게 다른 사람입니다. 하고 싶은 일을 거침없이 몰아붙이는 것이 제 스타일이라면, 홍박사는 할 수 있는 일에 대해 무리하지 않고 ... ...
- ③ 산업폐기물재활용기술 개발사업단장 이강인과학동아 l2001년 04호
- "21세기에는 ET가 중요합니다”라고 강조하는 이강인 단장(50). 최근들어 새로운 산업혁명을 일으키고 있는 IT와 BT는 각각 정보공학 ... 년이 지나면 우리나라는 5천억원 이상의 자원을 재생산하고 산업폐기물의 재활용율을 70% 이상으로 높일 수 있는 환경선진국으로 도약하게 될 것이다 ... ...
- 왜 인간게놈 연구에 통계학이 동원될까과학동아 l2001년 04호
- 고객별, 또는 분석 주제별로 통합 후 데이터 창고에 쌓아보자는 개념이다. 테라(1T=1012)급 이상 크기의 자료를축적할 수 있는 기술과 그만한 자료를 쌓아둘 만한 하드웨어의 가격이 저렴해졌기 때문에 데이터 웨어하우스의 구축은 많은 사람의 관심을 끌 수 있었다. 그리고 쌓아 놓은 ... ...
- 유전자 차별시대 펼쳐지는 디스토피아 가타카과학동아 l2001년 04호
- 될 것입니다.감독 소개 앤드류 니콜1964년 뉴질랜드 출생. 가타카로 데뷔하기 전 10년 이상 텔레비전 광고계 감독으로 활동했었다. 짐캐리가 주연했던 ‘트루먼쇼’의 각본을 썼고, 두번째 작품으로 ‘사이몬’(Simone)의 각본과 감독을 맡아 영화 관계자들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다른 유전자 관련 SF ... ...
- 빛의 마술봉으로 사라지는 그림과학동아 l2001년 04호
- 않는 것이다.그러나 손가락을 떼서 두컵 사이에 물이 들어가면 공기층이 사라져 더이상 전반사 현상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완전한 그림을 볼 수 있다.슬기는 이번 어드벤처에서 사용한 장치를 이용하기 위해 플라스틱 컵 안쪽에 빼곡이 비밀번호를 적는다. 그리고서는 다른 이들에게 들키지 ... ...
- PART 1. 백과사전 24권을 핀 머리에 써넣는다과학동아 l2001년 03호
- 일컬어지는 이유일까. 아니다. 아직도 끝나지 않았다. 우선 같은 두께의 강철보다 1백배 이상 단단하다. 그러면서도 훨씬 유연하기까지 하다. 기존의 마이크로미터 탄소섬유는 1%만 변형돼도 끊어지는 단점이 있는데 탄소나노튜브는 훨씬 더 유연해 15%의 변형에도 견딘다. 이렇게 탄소나노튜브가 잘 ... ...
- 반달과 벌이는 별의 숨바꼭질과학동아 l2001년 03호
- 달 바로 옆에 있는 어두운 별들은 거의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별의 밝기가 4등급대 이상이면 드문 현상일 뿐 아니라 별이 달에 가려지는 모습을 천체망원경을 통해 볼 수 있기 때문에 천체관측가들에게는 상당한 흥미롭다. 만일 그 별이 1등성이 된다면 그것은 대단한 천문현상이 될 것이다.3월 6일 ... ...
- Ⅱ. 본격적인 유전자 시대 개막 알린 영광의 주역들 : 3 현장취재 영국 런던 다국적팀 기자회견장과학동아 l2001년 03호
- 있기 전 두달간 전세계 과학자들이 인터넷 상에 공개된 다국적팀의 게놈 지도를 30만건 이상 검색했다는 사실도 이를 입증하고 있다. 특히 인도가 16만건, 멕시코가 6만1천건, 중국과 브라질이 각각 5만건의 조회수를 기록한 것도 다국적팀의 성과가 개발도상국에도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음을 ... ...
- 행운을 만드는 생물공학계의 아이디어 뱅크 이상엽과학동아 l2001년 03호
- “세계에는 너희들 보다 잘하는 사람들이 얼마든지 많다”고 말하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이상엽교수가 걸어온 길1964년 서울 출생, 영훈초등, 도봉중, 용문고 졸업1986년 서울대 화학공학과 졸업1987년 미국 노스웨스턴대 생물화학공학 석사1991년 미국 노스웨스턴대 생물화학공학 박사1992년-1994년 KAIST ... ...
- 광우병'은 소만 걸리는 병인가과학동아 l2001년 03호
- 조리온도인 섭씨 1백도 이상에서 가열해도 파괴되지 않고, 섭씨 1백27도 이상에서 1시간 이상 가열해야 파괴된다. 또 소에서 사람으로 종의 벽을 뛰어넘는 전염이 가능할 뿐더러 구강 섭취로도 전염이 가능하다. 도가니를 펄펄 끓인 도가니탕이나 석쇠에 바짝 구운 소갈비도 믿을 수 없다는 말이다 ... ...
이전9059069079089099109119129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