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
줄기
단체
대학
대학교
자루
카운터
d라이브러리
"
대
"(으)로 총 4,379건 검색되었습니다.
1999년 제이 기드 박사의 청소년 뇌 발달 장기 추적 MRI 연구
과학동아
l
201202
인터넷에 중독된 청소년의 지능이 떨어진다고 1월 18일 발표했다. 중고등학생 642명을
대
상으로 검사한 결과 9.5%가 인터넷 중독 상태로 평가됐다. 지능 검사를 한 결과 이해력 분야에서 중독 청소년은 9.92점으로 일반 청소년의 11.65점보다 낮았다. 이해력은 윤리, 도덕적 판단력과 관련이 크다 ... ...
“내 꿈은 내가 지킨다”
과학동아
l
201202
잘 받으면 성공할 거야.”언어는 2~3등급, 외국어는 3~4등급으로 탐구나 수리에 비해 상
대
적으로 성적이 잘 나오지 않는다. 역시 3월 전에 실력을 만들어야 한다. 지금부터는 시간관리가 중요하다. 3월 전에는 언어:수리:외국어:탐구=1:5:1:3정도로 시간 분배하는 것을 권한다. 언어는 EBS의 인터넷 강의를 ... ...
PART 1. 낭낙이와 순
대
이야기
과학동아
l
201202
바란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반려동물과 행복하게 사는 법PART 1. 낭낙이와 순
대
이야기PART 2. 우리가 닮은 이유PART 3. 반려동물이 가져다 준 ... ...
이산화탄소에 취한 물고기는 용감해
과학동아
l
201202
음이온을 들어오게 한다. 음이온이 들어오면 신경세포는 자극 전달을 억제하게 된다(반
대
로 음이온이 나가면 흥분한다). 실험 결과 이들 실험 물고기들의 가바-A 수용체는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은 환경에서 음이온을 내보냈다. 이 때문에 신경세포는 흥분 상태가 돼 행동 과잉을 유발한다. 겁이 ... ...
유방암 백신 여성의 구세주 될까
과학동아
l
201202
2013년 치료백신으로는 처음으로 유럽에 시판될 것으로 알려졌다. 강창율 서울
대
약학
대
학 교수는 “임상 중인 유방암치료백신들이 안전성과 효과 면에서 좋은 결과를 내고 있다”고 전했다. 강 교수가 HER2/neu 단백질을 이용해 만든 유방암치료 DNA백신도 현재 임상 1단계에 있다. 강 교수는 이어 ... ...
유룡 KAIST 화학과 교수 “제올라이트 연구로 사이언스 10
대
성과에 뽑혔습니다”
과학동아
l
201202
치
대
를 택했다는 뉴스에 충격을 받았다는 유 교수는 결국 노벨과학상 수상자 같은 초
대
형 스타 과학자가 나와야 뛰어난 학생들이 과학에 몰릴 것으로 내다봤다.“우리나라에 세계 최고 수준의 과학자가 100명은 돼야 노벨상 수상자가 나오지 않을까요? 지금은 10명 정도입니다만.”유명 과학자와 ... ...
사랑을 찾는 동식물의 예술작품
과학동아
l
201202
장식품을 집앞에 늘어놓으면 완성, 집 옆에 숨어 암컷이 오길 기다린다. 암컷은 집이
대
칭인 정도와 장식품을 보고 수컷을 택한다. 그러면 아늑한 집에서 사랑을 나눈다. 끝나기가 무섭게 수컷 바우어새는 다른 곳으로 날아가 새 집을 짓고 새로운 장식품을 구하러 다닌다.이와 비슷하게 풀로 베를 ... ...
창의적 연구, 즐거운 성취감!
과학동아
l
201202
‘Do! 과학동아’ 독자라면 ‘도전! 자기주도적 창의연구활동’이라는 코너명이 낯설지 않을 것이다. 이 코너를 연재하신 장운태 선생님이 바로 오 ...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항목이다. 열정적인 아트 사이언스반의 멋진 미래를 기
대
한다. [조도계와 컴퓨터를 이용해 빛 과 심리를 연구했다. ... ...
'톡톡ʼ스마트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202
회장이었던 빌 게이츠도 자녀들이 숙제할 때 빼곤 컴퓨터를 거의 못 쓰게 했
대
. 어릴 때 전자기기를 사용하면 좋지 않은 점이 더 많아서지. 나중에 큰 사람이 되려면 스마트패드에 관심이 있더라도 참거나 꼭 필요할 때만 이용하는게 좋지 않을까 ... ...
[1월] 이슈 키워드
과학동아
l
201201
만약 행성과 항성 간의 거리가 너무 가까우면 물은 수증기 상태로 존재하게 되고 반
대
로 너무 멀면 얼음 상태가 된다. 지구로부터 600광년 떨어져 있는 케플러-22b의 크기는 지구의 2.4배이며 공전주기는 지구보다 조금 짧은 260일이다. 케플러-22b에 반드시 생명체가 살 수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 ...
이전
86
87
88
89
90
91
92
93
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