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본관
모범
무늬
본보기
bone
bonn
bonne
d라이브러리
"
본
"(으)로 총 3,668건 검색되었습니다.
[4월] 도전! 과학동아 청소년기자
과학동아
l
201304
행동학파의 철학은 상당한 유사점을 가지고 있다. 팀 버튼의 문화적 영향력을 고려해
본
다면 팀 버튼은 숨겨진 세기의 심리학자가 아니었을까? 그 해답은 여러분의 판단에 맡긴다 ... ...
우리 학교는 영재가 가장 행복한 곳
과학동아
l
201304
만나고 깜짝 놀랐어요. 고등학교 많이 가봤지만 우리 학교처럼 인사 잘 하는 학생들을
본
적이 없어요. 식당에 가면 고개가 아플 정도입니다. 영재교육이 공부만 시킨다는 거 다 옛날 이야기입니다. 우리 학교가 일반 학교보다 동아리나 체육활동을 더 시킬 겁니다.영재교육에 대한 삐딱한 시선은 ... ...
UPDATE
과학동아
l
201304
바다의 모습을 골라 지워지지 않을 인유의 언어저장소에 덮어씌웠다. ‘태양.’ 현종이
본
온갖 태양들이 인유가 알고 있는 태양 위에 내려앉았다.숲. 지구. 밤하늘. 안개꽃. 용암. 다리. 산. 불꽃놀이. 촛불…….불꽃놀이가 한계였다. 그렇게 해서 인유는 바다가 어떻게 생겼는지 기억했지만, ... ...
[해외취재] 2013 태국 탐사대, 카오 야이 국립공원에 가다!
수학동아
l
201303
‘싸와디 캅(카)~!’사람들은 흔히 태국을 떠올리면, 가장 먼저 방콕의 화려한 도심이나 푸켓과 같은 휴양지를 떠올린다. 하지만 이번 태국 탐사는 한국 사람들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태국의 북 ... 눈빛은 분명 가장 빛났다. 태국의 생생한 경험이 꿈을 향한 걸음에 힘이 되길 바라
본
다 ... ...
숨은 보물단지를 찾아라! 빅 데이터
수학동아
l
201303
있는지 예를 통해 알아볼까요? 여러분은 와인의 맛에 대해 평가하는 사람에 대해서 들어
본
적이 있을 거예요. 그만큼 와인의 종류가 다양하고 맛도 천차만별이라는 뜻이죠. 따라서 잘 훈련된 전문가만이 와인의 맛을 평가할 수 있었어요. 그런데 미국의 경제학자 올리 아센펠터는 무엇이 훌륭한 ... ...
[체험] 발사 성공! 나로호 설계의 주역을 만나다
수학동아
l
201303
듣고 발사체체계실도 직접 둘러보았다. 그곳에서 한국형 발사체와 나로호 시뮬레이션을
본
것이 인상적이었다.두 번째 취재 장소인 위성정보연구센터에 도착하자마자 눈에 들어온 것은 건물 위에 있는 안테나였다. 위성정보연구센터의 중요성을 보여 주듯 안테나는 어마어마한 크기였다. ... ...
과학도 풀지 못한 미스터리 조각, 흑피옥
과학동아
l
201303
지금도 그리 비싸지 않은 가격에 팔리고 있긴 마찬가지고요.”우 교수가 흑피옥에
본
격적으로 관심을 갖게 된 것은 김 씨를 만난 뒤인 2008년 이후다. 그 후 중국에서도 흑피옥에 대한 관심이 올라갔지만 여전히 흑피옥은 싸다.“혹시 정말로 홍산문화의 일부는 아닐까도 의심해 봤어요. 그렇다면 ... ...
로미오와 줄리엣도 깜짝 놀란 매스 연애조작단
수학동아
l
201303
사람을 만났을 때 결혼하는 전략을 쓰는 것이 좋다.고민해결 팍팍 ~!수학적으로 계산해
본
결과, 현재 상황에선 친구가 추천한 전략이 가장 좋은 방법이네요. 하지만 한 가지 허점이 있어요. 현재 고백한 남자가 최고의 신랑감이라면 앞으로 이보다 더 나은 사람을 만나지 못할 수도 있죠. 즉 평생 ... ...
나로호 볼 때마다 ‘고맙다’ 말했죠
과학동아
l
201303
.”“김 기자는 인생에서 실패한 적 있나요? 한번도 실패한 적이 없는 사람은 도전해
본
적이 없는 사람이에요. 실패가 두려워서 도전해 보지 않는다면 그건 인생이 아닙니다. 우리는 도전해서 역전해서 이길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끊임없는 노력과 응전이 필요하다고 후배들에게 늘 말합니다. 우리 ... ...
야생의 배꼽, 세렝게티
과학동아
l
201303
활발해지고요.근데 왜 동물 질병과 기생충을 연구하냐고요? 줄리어스 케이유타위리 연구
본
부장이 설명해줄 거예요.“많은 질병과 기생충을 동물과 사람이 공유합니다. 동물 연구는 궁극적으로 사람에게도 도움이 될 겁니다.”한국과 탄자니아의 협력 연구는 앞으로 더욱 공고해질 거예요. ... ...
이전
86
87
88
89
90
91
92
93
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