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절
당
파
편의
편익
떡
떡밥
d라이브러리
"
편
"(으)로 총 3,168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 비소 오염 우리가 책임집니다”
과학동아
l
201011
특히 국제 SCI급 학술지에 120
편
이상의 논문을 게재했다. 김경웅 교수는 6개 국제학술지의
편
집위원으로 활동 중이기도 하다.김 교수는 자신의 연구가 “사람들에게 실제로 도움이 되면 좋겠다”며 “비소 연구를 시작한 것도 광산 주변 중금속 오염을 복원하는 데 도움이 됐으면 좋겠다고 생각했기 ... ...
과학으로 담그면 행복한 겁니다
과학동아
l
201011
일본 식품과학학회지 ‘음식의 과학’ 1994년 4월호에 게재한 바 있다.김치냉장고가 보
편
화돼 있는 현대에도 이런 실험 자료는 큰 의미가 있다. 가장 맛있는 김치의 발효 상태를 가늠할 수 있기 때문이다. 김치는 발효되다가 어느 순간 ‘부패’가 시작되는데, 그 직전까지는 김치의 맛이 더 좋아지기 ... ...
첨단기술과 인지과학의 만남 로보월드 2010
과학동아
l
201011
‘2010 국제로봇컨퍼런스’가 함께 개최된다. 이번 컨퍼런스에는 30개국의 참가자들이 800
편
의 논문을 발표해 학술 교류도 활발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 스위스 취리히 연방 공대의 만프레드 모라리 교수 등 로봇공학계 석학의 초청강연도 열린다. ... ...
배다해와 장재인의 노래 비법이 궁금해
과학동아
l
201011
없죠. 특히 자음 발음이 정확해야 해요. 평소 발음이 좋은 아나운서들이 노래를 잘하는
편
이죠.” 장재인도 노래할 때는 입을 크게 벌리고 조음점을 앞에 둬 정확하게 발음한다.두 번째는 복식호흡이다. ‘뱃심으로 노래한다’라는 말은 복식호흡의 중요성을 강조한 말이다. 김 원장은 “노래는 ... ...
2000년 찰스 주커 교수의 쓴맛 수용체 발견
과학동아
l
201011
동시에 발현했다.연구자들은 이 발견을 생명과학 분야의 권위있는 저널인 ‘셀’에 두
편
의 논문으로 나눠 실었다. 10쪽 분량의 첫 번째 논문은 새로운 미각 수용체 무리의 발견에 대한 내용이고, 이어지는 9쪽 분량의 논문은 이 수용체 무리가 쓴맛 수용체임을 입증하는 내용이다.단맛과 감칠맛의 ... ...
플라즈모닉스
과학동아
l
201011
파장에 의해 제한을 받는 정보 저장 용량이 비약적으로 늘어나, CD 한 장에 영화 수십
편
을 저장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 기술이 상용화되면 반도체 칩이나 집적회로에서 층간·칩간 신호 전송속도와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메모리 사이 신호 연결속도를 더 빠르게 할 수 있다. 분자를 구별하는 ... ...
외국에서는 수학공부를 어떻게 할까?
수학동아
l
201010
길에 맞는 공부를 한답니다. 우리나라는 다른 나라와 비교해서 수학공부를 많이 하는
편
이에요. 하지만 이렇게 많이 공부한 효과를 잘 살리지 못하는 현실이 안타까워요.서로 다른 미국미국은 국가가 정한 수학교육의 틀이 없다. 주마다 수학을 공부하는 방식과 평가방법이 다르다. 그래서 이 ... ...
3D 기술로 살아난 백제의 혼
과학동아
l
201010
하지만 아직 현실에 존재하는 문화재는 3D스캐너를 통해 정밀한 데이터를 확보해 놓는
편
이 유리하다. 이런 데이터가 있다면 무엇보다 실물 문화재가 손상을 입었을 경우 복원과정에서 자료로 활용할 수도 있다. 만일 숭례문 화재 이전에 건물 전체를 3D데이터로 스캔해 두었다면 복원은 물론 사고에 ... ...
인생의 갈림길, 선택과 책임은 내 몫
과학동아
l
201010
1월 검정고시를 준비하고, 이후에 수능을 대비하기로 했다. 수능시험을 준비하면서 한
편
으로는 수시모집의 기회도 놓칠 수 없다. 수시모집을 지원하려면 심층면접이나 논술을 함께 준비해야 한다. 이제 짜여진 체계가 아니라 혼자서 공부해야 하는 상황에서 스스로 꼼꼼하게 시간 관리를 하는 일이 ... ...
1993년 빅터 앰브로스 박사의 마이크로RNA 발견
과학동아
l
201010
결국 단백질이 줄어들면서 성숙 억제가 풀려 성체로 발달하는 과정이 진행된 셈이다. 한
편
lin-4는 시간이 갈수록 발현량이 늘어난다.그렇다면 lin-4는 lin-14의 mRNA가 단백질을 만들지 못하게 작용한 것은 아닐까. 앰브로스 교수팀은 lin-4의 실체를 좀 더 자세히 알아보기로 했다. 놀랍게도 lin-4 유전자는 ... ...
이전
86
87
88
89
90
91
92
93
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