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의
연설
강좌
강습
웅변
스피치
발표
d라이브러리
"
강연
"(으)로 총 912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펄프종이공학회 회장 신동소 박사
과학동아
l
1986년 12호
회수율이 36%에 불과한 현실은 고쳐져야지요"'종이 한 장도 지구의 생명'이라는 제목의
강연
을 준비하던 신교수는 종이는 절대 일회용의 소모품이 아니라는 점을 재삼 강조한다 ... ...
한국고분자학회회장 김점식 박사
과학동아
l
1986년 11호
金点植·58)교수로부터 알아보았다. ▲이번에 한국고분자학회가 창립 10주년을 맞아 기념
강연
회와 학술발표회를 열게되었읍니다. 우리나라의 연구실태는 어떻습니까? “고분자의 개념이 처음 우리나라에 등장한 지는 40년정도 되었지만 최근들어 연구가 급속히 활발해지고 있읍니다. 그동안 고분자 ... ...
자비에 피숑 선장 인터뷰 대재앙 예고된 일본 열도
과학동아
l
1986년 11호
게이꼬프로젝트가 단시일내에 이루어진 것은 아닙니다.1975년초에 나는 일본대학을 돌며
강연
회를 가졌고 일본해저의 해구들을 탐사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강조를 했었읍니다. 처음에는 아르쉬메드호를 다시 사용해도 무방하리라고 생각했었읍니다. 프랑스와 일본의 공동연구는 사전준비가 서서히 ... ...
암의 계몽, 조기진단 절실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회장으로 있는데, 2백명의 회원이 연 2천원씩 내는 회비로 일년에 봄·가을 두차례 계몽
강연
하는 게 고작입니다. 정부지원도 한푼 없고요. 이에 비해 미국은 암교육을 받은 자원봉사자가 전국적으로 조직돼 가가호호방문하면서 계몽활동을 펴고 있읍니다. 이때 예산은 3분의 2가 시민들의 자발적인 ... ...
국내외 한국 과학기술자 학술회의 추계 웍샵 개최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VLSI반도체기술을 다룰 예정이며 강성모(일리노이대), 홍성재(GE사)박사 등이
강연
을 한다. 산업기반기술 분과는 주로 중소기업이 담당하는 우리나라의 취약분야로서 이번에는 염색가공기술을 과제로 삼고 있다. 웍샵 장소는 대구 공업단지이며 권기중(미국 개스턴카운티 염색기계사), 박희각 ... ...
빛은 파동인 동시에 입자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공대 교수이며 노벨물리학상 수상자이고 어려운 이론을 쉽게 이야기하기로 유명하다)의
강연
을 인용하기로 한다. "경험하지 못한 세상일을 이해하려면 지극히 조심스러운 관찰과 추리를 통하여 추측해 나가야 한다. 공상과학 소설처럼 실제로 일어나고 있지 않은 일들을 상상하는 것이 아니라 ... ...
지구 한바퀴 도는데 3시간 타임머신같은 행성열차
과학동아
l
1986년 08호
행성열차 발명자인 '로버트 살터'박사의
강연
과 MIT운동장에서 있은 모델실험이었다. 살터
강연
의 골자는 데이비슨 등이 편저한 '거대공학 거시적 창조과학의 방법'에 대한 논평이었다.그리고 모델실험은 4월25일 저녁무렵, 각국 거대공학 관계자 수십명이 지켜보는 가운데 엔지니어인 '톰 스톡브랜드 ... ...
전문적 내용보다 과학에 대한 이해를 높혔으면
과학동아
l
1986년 08호
로보트 등을 보여 주면서이야기할 때에는 거의 '약장수'의 그것과 다를 바가 없었다. 이
강연
회를 듣고 학생들로 하여금 과학에 대한 어렴풋한 정의라도 느끼게 하리라는 나의 바벨탑 같은 기대는 무너졌다. 왜냐하면 학생들은 오히려 과학을, 원하는 것은 무엇이나 얻을 수 있고 바라는 것은 ... ...
끝없는 미스테리 우주인과 UFO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가운데의 절반은 과학적으로 일단은 연구검토의 가치가 있는것이라고 서울대학교에서
강연
을 할때에 말했다. 또한 KBS TV에 출연했을 때에도 "UFO의 실체는 모르겠으나 UFO현상은 틀림없이 존재한다"고 확신 있게 말하였다. 1947년1월4일, 미국의 '켄터키'주의 '가드만'공군기지 부근상공에서 '맨틀' ... ...
기초과학 뿌리내려야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서울대에서 가진 2차례의 학술
강연
과 '고체물리학과 과학기술의 성장'이라는 일반
강연
을 통해 "과학기술의 성장은 기초과학의 연구가 밑받침되지 않으면 성장할 수 없다. 오늘날 손톱크기만한 반도체칩에 수만~수십만개의 트랜지스터가 집적돼 우리 실생활에 활용되고 있지만, 40년전 우리가 처음 ... ...
이전
86
87
88
89
90
91
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