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숙고
고찰
심사숙려
심사숙고
참작
숙려
묵상
d라이브러리
"
고려
"(으)로 총 3,94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레고 덕후 수학자의 신기록 도전기
수학동아
l
2017년 12호
레고 블록의 수가 400~500개만 되도 3~4시간을 꼬박 앉아 만들어야 작품을 완성할 수 있어요. 그런데 3000개가 넘는 블록을 단 10분 만에 조립했다면 믿어지나요? 2015년 1월 28일, 미국 윌리엄스타운 공연예술극장 62센터에서 윌리엄대학교 대학생 59명과 윌리엄스타운초등학교 학생 10명이 레고 스타워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볼록오각형 테셀레이션 문제
수학동아
l
2017년 12호
수 있습니다. 그러니 여기서는 모든 내각의 크기가 180°보다 작은 볼록오각형만
고려
합시다. 볼록오각형을 대체 어떤 모양으로 만들어야 테셀레이션이 가능할까요? 1918년 독일의 수학자 칼 라인하르트는 박사 학위 논문에서 처음으로 볼록오각형으로 테셀레이션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했습니다. 총 ... ...
[Culture] 지옥구더기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하여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라는 농담을 던지기도 했다. 펄펄 끓는데다가 황산 비가 내리는 금성의 환경을
고려
할 때, 완전히 무시할 수만은 없는 농담이었다. 내 머릿속에도 물론 나름대로의 추측이 하나 있지만, 에반스 교수와는 달리 나는 이 추측을 남에게 말해준 적이 없다. 금성 가설보다도 훨씬, 훨씬 농담 같은 ... ...
Part 1. 핫스팟을 찾아라!
수학동아
l
2017년 12호
행사를 하려다가 상인의 반대로 위치를 옮겨야 했다. 따라서 정부는 이런 점을
고려
해 가능한 좋은장소를 푸드트럭 존으로 정한다. 기존 상인의 저항을 피하면서도 사람이 많이 다니는 곳으로 말이다. 푸드트럭 사장은 그중에서도 장사가 잘 될 곳을 찾아야 한다. 우리보다 먼저 푸드트럭 문화를 ... ...
Part 1. 배트맨의 검은 배트슈트, 최소 두께 가진 최강 그래핀으로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층에 빛을 쪼이면 이중 2.3%의 빛이 흡수된다. 그래핀 한 층의 두께가 고작 0.3nm라는 점을
고려
하면 흡수율이 굉장히 크다. 따라서 그래핀을 여러 층으로 겹치면 자연적으로 검은 색을 띠게 된다. ‘어둠의 기사(The Dark Knight)’라는 별칭에 걸맞은 배트슈트가 완성된다. 배트맨의 멋들어진 배트모빌도 ... ...
[Career] 국내 뇌과학 연구의 미래를 엿보다
고려
대 ‘뉴런(NEW LEARN)’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완벽하게 성공하지는 못했지만 결과보다 과정이 더 중요한 법이다. BD 스퀘어드 팀은 ‘
고려
대 크리에이티브 챌린지 프로그램’에 지원해 우수팀으로 선정됐다. 뇌파 측정기 개발을 맡은 강신영 씨(바이오시스템의과학부 4학년)는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내가 좋아하는 것이 무엇인지, 앞으로 ... ...
사진 속에 비밀을 감춰라! 스테가노그래피
수학동아
l
2017년 11호
내 눈은 황금눈?사진에 정보를 숨기는 방법을 살펴보기 전에 우리 눈이 색의 차이를 어느 정도로 구분할 수 있는지부터 테스트해볼 거예요. 방법은 간단합니다. 아래 타일 뭉치에 있는 정사각형 모양의 16개 타일 중 2개만 나머지와 색이 다릅니다. 눈을 크게 뜨고 여섯 개의 타일 뭉치에서 색이 다 ... ...
Part 2. 슈퍼맨의 히트비전 고출력 광섬유 레이저로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수입하기 어렵고, 다른 레이저 기술에 비해 상대적으로 국내외 기술 격차가 적다는 점을
고려
했을 때 한국도 기술 개발에 속도를 내야 한다. 영화를 초월한 기술이 국가 안보와 국민의 생명을 지키는 그날을 기대해 본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저스티스리그 슈퍼 히어로의 ... ...
[과학뉴스] 전통 한지로 ‘종이 전극’ 개발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등 웨어러블 기기에 적합한 슈퍼 커패시터(대용량 축전기)가 개발됐다. 조진한
고려
대 화공생명공학과 교수와 이승우 미국 조지아텍 교수는 공동으로 전통 한지를 이용해 유연하게 휘어지면서도 출력이 높은 슈퍼 커패시터를 개발하는 데 성공해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9월 14일자에 게재했다 ... ...
[Issue] 잘 나가는 크리스퍼 ‘처녀생식’ 논란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일은 새로운 연구 주제로 다뤄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논란2: 처녀생식 가능성
고려
했나? 미탈리포프 교수팀이 실험 결과를 잘못 해석한 것은 아닐까. 처치 교수 측에서는 이 경우를 가정하고 두 가지 시나리오를 제시했다. 그 중 하나가 처녀생식 가능성이다. 정자와 난자가 아예 만나지 ... ...
이전
86
87
88
89
90
91
92
93
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