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그라픽
그림
그래픽스
그라픽스
grapic
컴퓨터그래픽
콤퓨타그래픽
d라이브러리
"
그래픽
"(으)로 총 1,083건 검색되었습니다.
(1) 대중화 단계에 접어든 컬러 컴퓨터
그래픽
의 진수를 맛본다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바꿔 컬러로 행세하면 엄청나게 느려진 속도 때문에 답답함을 느낄 것이다.또
그래픽
환경에는 필수적인 마우스란 장비가 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하얀 생쥐처럼 생긴 조그만 장비로, 키보드의 화살표 키로는 커서를 상하좌우밖에 움직일 수 없는 것에 비하여 마우스를 사용하면 어느 ... ...
(2) 컬러모니터와 비디오카드 슈퍼 VGA카드 상용화 한창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모니터라고도 부른다.팔레트(palette)하드웨어가 가지는 제약으로, 대부분의 컬러
그래픽
보드는 컬러모니터가 표시할 수 있는 것보다 더 많은 컬러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한번에 나타낼 수 있는 컬러는 전체 컬러 그룹에서 선택해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컬러 그룹을 팔레트라 부른다.픽셀(pixel ... ...
(2) 벙어리 컴퓨터가 달변가로 변신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않다. 일상 생활에 등장한지 10년을 넘은 PC는 말못하는 벙어리(?)인 데다 문자나 간단한
그래픽
정도의 저급한 화질을 제공하는 게 고작이다.이러한 제약을 뛰어 넘는 효율적인 정보 통신의 동반자로서의 컴퓨터, 이는 멀티미디어 컴퓨터의 기본 목표인 셈이다. 대형도서관을 방 한칸에멀티미디어 ... ...
(1) 인간 오감(五感)을 기계에 이식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겨냥, 현재 거론되고 있는 대부분의 표준방안을 거의 그대로 수용했으며 음성 사진
그래픽
등을 모두 지원하고 있다. 소니가 컬럼비아를 인수한 진짜 목적현 상태로 보면 멀티미디어의 주도권은 일단 미국이 쥐고 있는 듯하다. 그러나 조만간 일본이 태풍의 눈으로 부각되면서 멀티미디어시장의 ... ...
시공을 뛰어넘는 원격체험 TE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에는 현장의 실제모습이 아닌 필요한 작업대상만을 컴퓨터
그래픽
으로 구성한 영상이 펼쳐지기 때문에 설령 현장의 시계(視界)가 연기나 이슬 따위로 인해 명료하지 못해도 작업에 지장을 받지 않는다. 현장의 생생한 실제 모습은 상황판단의 정보를 주는 면에서는 도움이 ... ...
(3) 안방에서 「비디오 도서관」 영화 빌려봐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것이다.가전기기의 대표라고 할 수 있는 TV를 보면, 오디오나 비디오는 물론이고 문자나
그래픽
과 애니메이션 등 모든 형태의 데이터를 하나의 화면에 담아 시청자에게 내 보낼 수 있다. 그러나 이 모든 것은 방송국의 제작자들이 장시간 촬영 편집 제작을 통하여 필름에 담아두었다가 정해진 시간에 ... ...
컴퓨터
그래픽
의 「마술」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끊임없이 진보할 것이며 향후 20년간은 컴퓨터
그래픽
의 시대가 될 것이다. 그러나
그래픽
의 사용과 더불어 미국에서 문맹이 증가한다는 현상은 인간사회의 한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 ... ...
화면속에 뛰어들어 실제체험 느끼는 가상현실의 세계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비바'(VIVA)시스템에 이르러서는 보다 현실과 유사하게 된다. 아이폰을 쓴 사람이 컴퓨터
그래픽
으로 구축된 가공의 집 안으로 들어가 앞으로 전진하기도 하고 좌우로 돌기도 한다. 그리고 문을 열고 부엌으로 들어간 다음 수도꼭지를 틀면 물이 쏟아진다.일본 쓰쿠바대학의 이와타는 부엌과 같이 ... ...
컬러인쇄 가능한
그래픽
워드프로세서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기존 글씨체 외에 「파도체」라는 독특한 글자꼴이 지원된다. 최초의
그래픽
워드프로세서 '사임당'을 발표해 관심을 모았던 한컴퓨터연구소가 최근 기능이 향상된 1.5버전을 내놓았다. 사임당 1.5판은 △컬러지원기능 △새로운 글자꼴 '파도체'지원 △주소록기능 △다른 워드프로세서와의 호환성 ... ...
로봇 3형제의 묘기대행진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우리나라 사람만 있는 것이 아니라 외국인도 많을 것이므로 레이저와 컴퓨터
그래픽
을 동원, 사물의 소리 이미지를 영상화 시켜 보여줄 계획도 수립해놓고 있다. 아무래도 외국인들은 사물이 내는 소리에 익숙치 못하므로 꽹과리의 고저 강약을 영상화시켜 보조시스템으로 활용한다면 사물에 대한 ... ...
이전
86
87
88
89
90
91
92
93
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