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만족"(으)로 총 1,978건 검색되었습니다.
- 구르는 돌에서 만나는 진리, 오일러의 수과학동아 l2009년 03호
- 1/2보다 크다는 결과가 나온다. 정다면체의 특성상 P와 Q는 3보다 크기 때문에 이 식을 만족하는 P와 Q는 (3,3) (3,4) (3,5) (4,3) (5,3) 5쌍밖에 없다. 결국 존재하는 정다면체는 각각 정사면체, 정육면체, 정십이면체, 정팔면체, 정이십면체인 5개뿐이다. 자세한 계산과정은 동아사이언스 홈페이지(www.dongaScien ...
- 목소리 성형시대과학동아 l2009년 02호
- 결심했다. 여러 차례 힘든 수술 끝에 여자로 다시 태어난 P씨는 아름다운 자신의 모습에 만족했지만 걸걸한 목소리가 고민이었다.P씨는 성전환 음성 성형을 받고 ‘진정한’ 여성으로 제 2의 인생을 살고 있다.어떻게 말을 할까 고민하는 사람은 많지만 목소리 자체를 고민을 하는 사람은 드물다. ... ...
- 과학고 입시 예상문제 완전분석과학동아 l2009년 02호
- 설탕 포화용액 462g을 20℃로 냉각시키면 362g-204g=158g의 설탕이 석출되므로 462:158=100:x를 만족한다. 따라서 설탕이 34.2g 석출된다. 3) 20% 질산칼륨 수용액 100g에는 물 80g과 질산칼륨 20g이 있다. 40℃에서 물 80g에 녹는 질산칼륨의 양은 100:63.6=80:x, x=50.9g이다. 그러므로 더 ...
- 윷놀이로 떠나는 수학여행과학동아 l2009년 02호
- 번, 윷 1번)은 도를 연속해서 2번 움직일 수 없으므로, 가능한 경우는 x1+x2=6뿐이다.x1+x2=6을 만족하는 방정식의 해를 순서쌍 (x1, x2)로 나타내면, (4,2), (2,4), (5,1), (1,5)다. 다시 말해 (윷, 개), (개, 윷), (모, 도), (도, 모)다. 이 가운데 윷이나 모가 먼저 나와야 한 번 더 던질 수 ...
- ‘단백질구조예측대회’ 2연패한과학동아 l2009년 02호
- 말했다. 지금까지 계산량을 줄이기 위한 여러 기법들을 개발했는데 아직까지는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다. 결국 이렇게 나온 불확실한 정보는 진짜 단백질을 다루는 생명과학자들에겐 별 도움이 안 됐던 것.이 교수가 만난 몇몇 생명과학자들은 이 방법 대신 ‘호몰로지 모델링’을 ... ...
- [지구과학]에너지의 이유있는 변신과학동아 l2009년 02호
- Q의 열량을 가할 때 물체의 내부 에너지 변화량 △U와 물체가 외부에 한 일 W는 Q=△U+W를 만족한다. 이것은 에너지보존 법칙으로 열역학의 제 1법칙이다. 이 법칙은 에너지가 한 형태에서 다른 형태로 전환될 수 있지만 총량은 항상 일정하게 보존됨을 의미한다.(다) 기체의 압력과 온도가 동시에 ... ...
- [화학]화학결합으로 구성된 물질과학동아 l2009년 01호
- 선스펙트럼으로 나타난다. 보어는 수소 원자에서 전자가 지닌 에너지가 다음 식을 만족하는 불연속적인 에너지만 허용한다는 이론을 제시했다.En=-1312kJ/n2 (n=1, 2, 3, 4, …)n은 주양자수로 전자가 지닌 에너지를 결정한다. 수소에서 바닥상태 전자는 에너지를 받아 불안정한 에너지 준위로 전이되고 이 ... ...
- [지구과학]우주에 작용하는 힘과학동아 l2009년 01호
- 우리에게 도달할 수 없다. 허블 법칙을 따르는 우주를 가정하면 v=H· r>c(c: 빛의 속도)를 만족하는 거리 r인 곳에서 출발한 빛의 속도는 우주 팽창 속도보다 느리므로 아무리 시간이 많이 흘러도 우리에게 도달할 수 없고 관측이 불가능하다. 앞 부등식에 의해 관측 가능한 우주의 크기(r)는 r≤c/H 로 ... ...
- 퍼져라~! 행복바이러스어린이과학동아 l2009년 01호
- 어떤 음이 올지를 기대하는데, 기대하던 음이 오지 않으면 갈등을 느끼다가 그음이 오면 만족감과 함께 즐거움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화학물질로 된 행복?뇌과학자들은 즐거움이나 행복이 뇌 속에 있는 화학물질 때문에 일어난다고 믿고 있다. 신경전달물질 중‘도파민’이 즐거움을 준다고 알려져 ... ...
- 2003년 디디에르 라울 교수의 미미바이러스 발견과학동아 l2009년 01호
- 비슷하다면 설득력은 더욱 높아진다. 바로 미미바이러스 게놈이 두 가지 모두를 만족시켰다.바이러스에 기생하는 바이러스라울 교수팀은 2008년 9월 4일자 ‘네이처’에 또 다른 놀라운 사실을 발표했다. 프랑스 파리의 한 냉각탑에서 찾은, 미미바이러스와 비슷하지만 좀 더 큰 바이러스 안에 조그만 ... ...
이전86878889909192939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