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육
생식
증식
개량
산식
기르기
교육
d라이브러리
"
번식
"(으)로 총 1,311건 검색되었습니다.
5년 후 비만 방지약 등장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그리고 실험 결과 쥐가 ACC2 효소를 만들지 못하더라도 건강에는 아무 지장이 없었으며
번식
도 성공적이었다고 한다.현재 와킬 박사팀은 ACC2 효소의 발현(또는 분비)을 막는 약을 개발하고 있다. 이 약은 먼저 쥐에, 다음은 원숭이와 같은 영장류에 투여될 예정이다. 연구가 계획대로 진행되면 5년 후에 ... ...
수시모집 이공계 심층면접 실전대비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 분해 산물로 나타나는 영양염류는 비료의 주성분으로서 식물의 생장을 촉진시켜 과다
번식
을 초래한다.관련단원유기양분에 의한 수질오염은 공통과학 및 생물Ⅱ의 수질오염 단원에서 자세하게 다루고 있다. 참고로 이 단원들에서는 중금속이나 농약과 같은 오염원의 농축현상도 자세히 다루고 ... ...
암컷 비비원숭이의 인기비결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엉덩이를 갖는 암컷 비비가 나이나 서열에 관계없이 많은 수컷들의 관심을 받았다. 또한
번식
도 엉덩이가 작은 암컷보다 더 빨리 시작했으며, 더 많은 자손을 출산했다. 낳은 새끼가 살아남는 확률도 높았다.수컷들은 부어오른 엉덩이 치수의 작은 차이에도 민감한 반응을 보였다. 심지어 수컷들은 ... ...
비행기 바라보다 뒤로 넘어지는 펭귄?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넘어져서도 비행기를 쳐다본다고까지 주장했다.과학자들은 이것이 사실이라면 펭귄의
번식
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새끼를 가진 펭귄은 보금자리에서 떠나지 않는데, 비행기 때문에 넘어진다면 보금자리를 벗어나게 돼 새끼를 품지 못하는 경우도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이 ... ...
유산균 시장의 아우토반 쎌바이오텍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bacteriocin),과산화수소(H2O2)를 분비한다. 이 가운데 유산은 장을 산성화시켜 유해세균의
번식
을 억제한다. 또 항생물질은 유해세균의 성장을 억제하며, 과산화수소는 살균작용을 한다. 게다가 마크로파지, 림프구 등 다양한 면역세포를 활성화시키고 분열을 촉진시켜,직접 인체의 면역반응을 ... ...
3. 백두산에서 만나는 우리꽃 기행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씨앗이 돼 바람을 따라 멀리 하늘로 날아오른다. 그리고 다른 장소에 내려 싹을 틔우고
번식
하는 머리가 좋은 식물이다.수채화 물감을 뿌린 듯한 습지멀리 뭉게 구름이 피어오른다. 이마에는 땀이 송골송골 맺히고 하늘은 금방이라도 소나기를 뿌릴 듯하다. 계곡 물은 “쏴” 소리를 내며 기분 좋게 ... ...
고기를 연하게 만들려다 발견된 살균 방법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농무부 농업연구소(ARS)의 과학자들에 의해 발표됐다. 대장균과 다양한 병원균이 고기에
번식
하며 살기 때문에 식중독에 걸리거나 다른 병에 감염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이제 이런 걱정을 덜 수 있게 됐다. 바로 수력학압력공정(HDP) 덕분이다.1992년 연구소의 과학자들은 고기를 연하게 만드는 ... ...
기억이 이식된 복제인간 6번째 날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상당수가 기형이거나 몸이 약하다는 말씀이신가요?황교수_ 아닙니다. 정상적인 자연
번식
과정을 거친 동물과 똑같이 자란 것들이 더 많죠. 설사 많다 해도 동물이기 때문에 처리할 수 있는 것이지 그것이 사람이라면 문제가 다르죠. 현 단계에서는 과학적 측면이라도 인간 복제까지 상정한다면 ... ...
1. 독가스를 난방연료로 둔갑시키는 재주꾼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감소시켜 항균작용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욕실에 항균타일을 설치하면 세균의
번식
을 막을 수 있어서 악취를 제거함과 동시에 바닥이 미끄러워지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병원 수술실을 항균타일로 시공하면 소독하지 않아도 각종 병원균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유리에 김서림 현상 ... ...
알레르기 한겨울에도 기승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우리나라 겨울은 비교적 길고 건조하며, 방구조가 온돌로 돼 있어 집먼지진드기가
번식
하기에 부적절하다. 하지만 두터운 이불과 아파트처럼 난방이 잘되고 가습기를 사용하는 도시생활에서는 겨울에도 진드기가 서식하기 좋은 환경이다. 이렇게 겨울에도 집먼지진드기가 많이 존재해 찬공기로 ... ...
이전
86
87
88
89
90
91
92
93
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