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이"(으)로 총 9,894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사탐, 우동수비대 모여라! 동물· 곤충 사진 잘 찍는법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모른답니다.”●초점거리: 렌즈에서부터 카메라 속에 물체의 상이 맺히는 이미지 센서 사이의 거리. 캐논 파워샷 줌으로 찍으면 새가 눈앞에서 훨훨!스마트폰만큼 가벼우면서도 멀리 있는 생물을 찍기에 좋은 카메라가 있어요. 바로 캐논의 ‘파워샷 줌’이지요. 파워샷 줌은 100~400mm까지 광학 ... ...
- [JOB인터뷰] 춤에도 수학이 필요해! 김설진 무용가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2호
- 그럼요. 안무를 짤 때 어떤 각도로 팔을 굽힐지, 겨드랑이와 팔 사이 공간이 얼마나 필요한지 등을 계산해야 해요. TV프로그램 ‘댄싱 9 시즌 3’에서 ‘광대’라는 노래에 맞춰 공연을 했는데요. 이때 팔을 직각(90°)으로 굽힌 채 인사하는 동작이 있었어요. 로봇처럼 어색하게 움직이는 ... ...
- 마법 같은 효과에 숨은 부작용, 식욕억제제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처방해서도 안 되고 먹어서도 안 된다”고 말했다.이처럼 무분별한 처방은 최근 10~20대 사이에서 비정상적으로 마른 몸매를 선망하는 ‘프로아나족(찬성한다는 뜻의pro와 거식증(anorexia)을 결합한 신조어)’의 욕망을 채우는 수단이 되고 있다. 남인순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의원(더불어민주당)이 ... ...
- 국제 사회 문두드리는 북한의 과학기술과학동아 l2021년 12호
- 맨 왼쪽에 보이는 주상복합 아파트 ‘은하 타워’는 53층에 달하고, 고층 아파트 사이로 공원과 백화점 등 각종 편의시설이 잘 갖춰져 있다. 북한은 가난하다는 대중적인 인식과는 사뭇 다른 모습이다. 북한의 과학자들은 이 아파트에 무료로 거주할 수 있다. 상점에서 비싼 물건을 저렴하게 살 수도 ... ...
- 평양의 과학도에게 직접 들어봤습니다과학동아 l2021년 12호
- 빨리 시집을 가서 아이를 낳아야 한다는 인식이 있습니다. 실제 친구들도 23~25살 사이에 결혼했죠. 지방은 평양보다 더 빨라요.반면 외할머니는 항상 ‘결혼은 늦게 하고, 자녀도 많이 낳으면 안 된다’고 말씀하시는 분이었습니다. 외할머니도 38살에 결혼하셨는데, 남들은 손주 볼 나이라고 ... ...
- 문화 산업 지키는 파수꾼, 디지털 보안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없다는 점이었다. 결국 오징어 게임의 영상 파일이 불법적인 경로를 통해 60여 개의 중국 사이트에서 유통되는 문제가 불거졌다. 콘텐츠 보안의 중요성이 다시금 부상한 계기였다. 디지털 자물쇠, DRM디지털로 콘텐츠를 소비하는 시대가 되면서 콘텐츠 보안의 중요성은 더욱 커졌다. 최근 대부분의 ... ...
- [수학뉴스] 암 일으키는 돌연변이 조합, 수학이 알려준다!수학동아 l2021년 12호
- ‘PNAS’ 10월 5일자에 발표했어요. 맥캔들리시 교수팀은 염색체 돌연변이와 암 사이 관계를 알기 위해 밀도추정을 사용했어요. 밀도추정이란 통계에서 데이터를 바탕으로 변수가 특정 값을 가지는 확률을 추정하는 방법이지요. 이 방법으로 암세포에서 발견되는 염색체 돌연변이 데이터를 가지고, ... ...
- [매스크래프트] #24. 퓨처 킴의 산타 마을, 특명! 선물을 빨리 배달 하라수학동아 l2021년 12호
- A-B-D-C-A 순서로 돈다면 A와 B 사이의 거리인 7, B와 D 사이의 거리인 15, D와 C사이의 12, C와 A 사이의 10을 모두 더합니다. 이 순서로 돌 때 거리는 44지요. 이렇게 모든 경우의 이동 거리를 구하고, 그중 가장 작은 값을 고르면 가장 짧은 거리로 배달을 할 수 있어요. 하나씩 따 ...
- [수학체험실] 2시 24분 밖에 모르는 정오각형 시계수학동아 l2021년 12호
- 찾은 시각 2시 24분을 가리키는 시계를 상상해 보자. 시침은 2와 3 사이, 분침은 4와 5 사이를 5등분하는 눈금 중 5에 한 눈 금 못 미친 곳에 위치한다. 만약 이런 시계를 만들어야 한다면 시침과 분침이 이루는 각의 크기를 정확하게 알아야 한다. 정오각형에서 그 각도의 비밀을 찾을 수 있다 ... ...
- [가상 인터뷰] 옆 동네 흰동가리가 더 어른스러운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너무 위험한 거 아니야?흰동가리는 말미잘의 독에 면역성이 있어. 그래서 독이 있는 촉수 사이에서 포식자로부터 몸을 보호해. 한편 말미잘은 흰동가리를 쫓던 포식자들이 말미잘의 독에 마비되면 이를 잡아먹지. 이렇게 다른 종의 생물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사는 것을 공생이라고 해.그런데 ... ...
이전86878889909192939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