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정
개정
정정
교열
변경
개조
보정
d라이브러리
"
수정
"(으)로 총 1,962건 검색되었습니다.
복제기술이 꽃피우는 바이오혁명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그렇다고 대답한다. 소들은 귀에 매달린 표식에 숫자가 적혀있다.“이 녀석은 인공
수정
으로 낳은 복제소의 새끼죠. 뿔 모양이 다르죠?”한쪽에 우리가 흔히 보는 형태의 뿔을 지닌 소 한마리가 여유롭게 여물을 씹고 있다. 암컷과 수컷의 유전자가 반반씩 섞여 태어난 소와 복제소의 차이가 극명하게 ... ...
과학으로 부활하는 매머드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서열을 찾았습니다. 그 뒤 이 부분에 시약에 염색이 되는 단백질 유전자를 붙여 쥐의
수정
란에 넣었습니다. 흥미롭게도 쥐에서도 이 부분이 작동해 태아의 연골조직에서 단백질이 발현했습니다.아쉽게도 태즈메이니아 호랑이의 세포핵은 상태가 안 좋다는군요. 에탄올 때문에 핵속의 단백질이 ... ...
[수학]수학으로 콜레라 잡는다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수 있고 지역의 특성도 잘 반영된다”고 평가했다.한편 나일란 씨는 “이 모델을 조금
수정
하면 짐바브웨의 콜레라 확산도 막을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세계보건기구는 짐바브웨에 백신을 수송하기 어렵고 백신을 접종하더라도 효과가 나타나는 데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판단해 백신 ... ...
Erasable Memory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 Check Point 최근 뇌과학이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뇌과학의 첨단 연구 분야인 기억 삭제에 대해 알아보자. Have you watched the sci-fi movie ‘Johnny Mnemonic(1995)’ starred by the famous ... 자료를 볼 수 있다. ※ 기사의 원문은 사이언스 데일리이며, 중고등학생에게 적합하도록 문장 ...
중앙대 컴퓨터 음악동아리 ‘뮤즈’(MuSE)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악기를 이용하기 때문에 건반만으로 모든 악기를 연주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게다가
수정
이나 편곡 등의 작업이 편리하기 때문에 작곡에 들어가는 비용과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다.1992년 11월 11일 국내에서 처음으로 생긴 최초의 컴퓨터 음악 동아리인 만큼 뮤즈 회원들은 자부심이 높고 실력도 ... ...
2003년 디디에르 라울 교수의 미미바이러스 발견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바이러스연구자들을 흥분시켰다. 그때까지 바이러스에 대해 갖고 있었던 생각을 대폭
수정
해야했을 뿐 아니라 생명체의 진화 시나리오 자체를 다시 써야할지도 모를 잠재력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런 기대는 미미바이러스 게놈을 상세히 분석해 이듬해 ‘사이언스’에 실은 7쪽짜리 논문에서 ... ...
겨울 재촉하는 밤하늘 불새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이 있다. 극축망원경을 들여다보고 북극성을 표식에 맞춘 뒤 가대의 방위각과 고도를
수정
하면 극축 설정이 끝난다. 적도의식 가대 위에 망원경이나 카메라를 올려놓고 천체를 찾은 뒤, 가대에 전원을 넣으면 천체의 움직이는 속도와 방향에 맞춰 가대가 천천히 움직인다. 최근에는 천체의 적경과 ... ...
[지구과학]탄소 순환 고리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형성되는 결합을 공유결합이라고 한다. 공유결합을 이루는 다이아몬드(C)나
수정
(SiO2) 같은 결정은 녹는점이 매우 높고 단단하다. - 고등학교 화학II 교과서 화산체의 형태는 화산을 형성하는 용암의 특성과 관계가 깊다. 현무암질 용암으로 이뤄진 화산과 유문암질 용암으로 이뤄진 화산의 형태를 ... ...
A Bodybuilder, Entertainer&Politician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1998년부터 ‘World View Pro’라는 인터넷 칼럼을 발간해 수많은 독자들에게 한국의 기존 언론이 다루지 않는 바깥 세계의 정보를 제공했다. 현재 인터넷과 사회의 상호작용에 대해 연구하 ... 있다. ※ 기사 원문의 저작권은 타임지에 있으며 한국 학생들에게 적합하도록 편집과
수정
했다 ... ...
눈먼자들의 도시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이런 상황에서 병동 여자들 전체가 무월경에 시달린다. 월경은 자궁벽에 착상된 난자가
수정
되지 못한 채 자궁점막세포와 함께 떨어져 배출되는 현상이다. 한 달에 한 번 4~5일 동안 지속되는 일이 보통이다. 무월경의 가장 큰 원인은 임신이며 수유 중이나 산욕기에도 무월경이 나타날 수 있다. ... ...
이전
86
87
88
89
90
91
92
93
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