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역사"(으)로 총 4,676건 검색되었습니다.
- [에디터 노트] 아누스 미라빌리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네이처’에 ‘호킹 복사(hawking radiation)’로 알려진 논문을 발표하며 이론물리학 역사에 한 획을 그었다. 한번 기대해본다. 33세를 맞는 과학동아에게 2018년은 그동안 지켜온 꾸준함이 빛을 발해 폭발적이고 획기적인 해가 되길. ‘아누스 미라빌리스’로 기록되기를. 더불어 2018년 새해를 맞는 ... ...
- Intro. 수학, 미래를 보다수학동아 l2018년 01호
- 두툼한 등산용 패딩에서 롱패딩까지. 시시각각 변하는 유행만큼 세상도 빠르게 변한다. 인공지능이 약 4000년 동안 인간의 고유 영역이었던 바둑을 따라잡은 지금, 몇몇 사람들 ... Intro. 수학, 미래를 보다Part 1. 전자화폐 시대가 온다Part 2. 인공지능, 인간 못 넘는다Part 3. 역사의 흐름을 ... ...
- Part 2. 인공지능, 인간 못 넘는다수학동아 l2018년 01호
- 매트릭스, 아이로봇, 터미네이터 등 인공지능을 소재로 한 SF 영화를 보면 암울한 미래를 그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인간보다 튼튼한 몸과 뛰어난 지능을 가진 인공지능 ... 보시려면? Intro. 수학, 미래를 보다Part 1. 전자화폐 시대가 온다Part 2. 인공지능, 인간 못 넘는다Part 3. 역사의 흐름을 ... ...
- 비틀즈의 ‘스트로베리 필즈 포에버’, 혁신에 수학을 더하다수학동아 l2018년 01호
- 비틀즈는 미국에 도착한 지 이틀 뒤에 ‘에드 설리번 쇼’에 출연합니다. 프로그램은 젊은 팬들의 환호성으로 가득 찼습니다. 우연히도 비틀즈가 TV에 나오는 동안 뉴욕 시의 범죄 ... 가장 위대한 밴드이며, 새로운 형태의 아티스트라는 지위를 획득하며 대중음악사의 역사가 됩니다 ... ...
- [Issue] 국내 첫 전통건축부재보존센터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쏟기 때문이다. 하지만 강 팀장의 생각은 달랐다. 그는 재료를 마감하는 법이나 건축 역사를 후대에 전승하기 위해서는 분해된 부재를 두고두고 연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같은 내용은 문화재를 겉으로만 봐서는 잘 알 수 없다. 문헌에도 수리했다는 기록만 있지, 얼마나 많은 부분이 교체됐고 ... ...
- 다양한 관점에서 ‘행복’에 접근하기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것이 중요한 과제가 됐다. 이에 따라 통합사회도 우리의 삶과 직접적으로 연관된 주제를 역사적, 지리적, 사회적, 윤리적 관점에서 통합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중심된 목표로 삼게 됐다. 통합사회의 첫 번째 단원은 행복이다. 과거 윤리 과목에서 중심적으로 다뤘던 행복이라는 주제를 시간적, ... ...
- Part 3. 역사의 흐름을 예측한다수학동아 l2018년 01호
- 미국의 SF 작가 아이작 아시모프의 소설 ‘파운데이션’에 등장하는 수학자 해리 셀던은 개개인의 행동을 예측하는 방정식을 이용해 은하 제국의 미래를 예측합니다. 곧 중 ... Intro. 수학, 미래를 보다Part 1. 전자화폐 시대가 온다Part 2. 인공지능, 인간 못 넘는다Part 3. 역사의 흐름을 ... ...
- [인터뷰] 위상수학, 느낌 아니까~수학동아 l2018년 01호
- 그동안 하던 공부와는 완전히 다른 전공을 선택했더니 많이 헤매고, 방황했어요. 예술의 역사나 미학 같은 수업을 주로 들었지요. 그러다가 ‘네모라미’라는 동아리에 들어갔어요. 여기서 애니메이션이나 만화를 접하면서 애니메이션에 관심이 생겼지요. 또, 당시에는 예술 영화나 예술 ... ...
- Part 1. 빛 공해에 시달리는 전세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비추는 것을 ‘조명’이라고 해요. 아주 오랜 옛날, 인간이 불을 사용하던 때부터 조명의 역사가 시작됐어요. 이후 동물과 식물에서 얻은 기름으로 양초와 램프 등을 만들어 밤을 밝혔지요. 들은 더 밝고 안전한 조명이 필요해졌어요. 과학자들은 전기로 빛을 내는 조명을 개발하기 시작했지요. ... ...
- [특별 인터뷰] 지구사랑 탐사대, 탐사 내공으로 연구도 척척!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1호
- 올해에만 6000여 명이 참가할 정도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규모가 크고, 역사가 오래된 과학탐구 대회랍니다. 평소 로 내공을 쌓아온 대원들이 어떤 연구를 했는지 함께 들어 볼까요? 왜 산벚나무를 연구했나요?경상남도에 있는 해인사로 여행을 하던 중 팔만대장경이 주로 ... ...
이전86878889909192939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