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일
오직
단지
단독
d라이브러리
"
유일
"(으)로 총 1,925건 검색되었습니다.
뇌신경 연결지도 커넥톰 나온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인공지능을 만들기 위해 노력했지만 계속 실패했다. 시간이 흐를수록 인간이 알고 있는
유일
한 지능은 뇌밖에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 인공지능 관점에서 보면 뇌도 신경세포를 갖고 계산하는 컴퓨터로 볼 수 있지만, 실제로 신경세포의 구조를 분석해 보면 매우 단순하다. 신경세포를 하나하나 ... ...
증강현실로 포옹을 느낀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선보였다. 종전까지 가상현실 공간에서 감정 전달을 할 수 있는 수단은 이모티콘이
유일
했다. ‘아이필아이엠(iFeel_IM)’이라는 이 시스템은 촉감센서로 감지한 힘을 촉감재생장치에서 인공촉감으로 만들어낸다. 사용자는 표현하고 싶은 감정을 문자 형태로 입력하면 된다. 기쁨과 슬픔 같은 ... ...
iPad 열풍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아이패드에 쓰이는 IPS 방식의LCD 패널을 생산하는 회사로는 LG디스플레이가
유일
하다. 패널의 개당 가격은 약 80달러. 제품 전체 가격의 4분의 1을 LG디스플레이가 벌어들이는 셈이다.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도 아이패드에 사용되는 9.7인치 LCD 패널을 공급할 계획이다. 이밖에도 정전기 방지 부품인 ... ...
타이탄 거대한 신화 속 과학이 깨어난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삼켰다. 삼킨 다섯 명의 아이들 중 하나가 지하 세계를 다스리는 신 하데스다.크로노스는
유일
하게 막내인 제우스만 삼키지 못했다. 성장한 제우스는 아버지를 공격해 형과 누나들을 토해내게 했고, 형제인 올림푸스 신들과 함께 아버지와 그 형제인 타이탄들과 전쟁을 벌였다. 장장 10여 년에 걸친 ... ...
밀레니엄 문제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같다는 것이 푸앵카레의 추측이다. 푸앵카레의 추측은 밀레니엄 문제 중 지금까지
유일
하게 해결된 문제다.6. 버치와 스위너톤-다이어 추측1994년 영국의 수학자 앤드류 와일스는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증명했다. 그러나 더 복잡한 방정식에 대해서는 정수인 답이 있는지 밝혀 내기 매우 어렵다. ... ...
김연아 선수와 함께하는 2010친환경 동계올림픽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대기 중의 탄소를 땅 속에 저장하기도 한다.탄소, 자전거로 줄여요!선수들의 숙소에 있는
유일
한 교통 수단은 자전거. 단 선수들의 경기 지각을 대비해 전기 자동차가 마련돼 있다. 실제 휘발류 1L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양은 2.3㎏나 된다. DAY 3 시내 관광쓰고 다시 써서 환경을 지킨다!아~! 개운해! ... ...
의뢰 1 군사작전을 해도 될까요?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살펴봐야 한다.만우절짓궂은 장난이나 거짓말을 해도 나무라지 않고 웃으면서 넘어가는
유일
한 날이 4월 1일, 만우절이다. 만우절의 시작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설이 있다. 그 중 가장 유력한 설은 유럽에서 그레고리력을 최초로 사용한 프랑스에서 시작됐다는 이야기다. 프랑스 사람들은 그레고리력 ... ...
빗자루 타고 하늘로 슝~!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생겼지요.그럼 님부스 2000은 어떻게 하늘을 나는 걸까요? 과학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유일
한 방법은 ‘반중력’을 이용하는 거예요. 반중력은 말 그대로 중력의 반대 힘을 말해요. 지구에 사는 우리는 언제, 어디서나 지구 중심 쪽으로 향하는 힘인 중력의 영향을 받으며 살아가요. 중력은 질량을 ... ...
GMO는 인류 식량 문제 해결할까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옌센 대표도 이 부분에 동의한다. 옌센 대표는 “GMO가 당분간 전성기를 누리더라도
유일
하고 절대적인 대안은 아닐 것으로 본다”고 점쳤다. 그는 식량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수많은 대안 중 가장 강력한 후보이기는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유기농법이 더 경쟁력이 있다고 평가했다. 특히 GMO가 ... ...
우리 천문학자, 허블우주망원경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시작했다. 당시에는 미국에서 발간되는 논문만 등록돼 있었다.천문학 선진국과 협력하는
유일
한 기회라고 여긴 이 교수는 NASA 담당자에게 연락해 국내에서 발간된 영문학술지를 등록했다. 거대 망원경이 전무한 상황에서 선진국의 최신 논문을 확보하는 것이 연구의 최대 관건이었다. 취재가 끝난 ... ...
이전
86
87
88
89
90
91
92
93
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