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비행
항해
국제금융공사
공사
국제
금융
국제민간항공기구
d라이브러리
"
항공
"(으)로 총 3,40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장난감 연구하는 수학자
수학동아
l
2017년 12호
돌지 않고 멈추는 거예요. 모팻 교수의 이 연구는 난기류에서도 하늘을 잘 날 수 있는
항공
기를 설계하는 데 도움이 되고 있어요. 이처럼 장난감은 수리물리를 연구하는 수학자에게 좋은 연구 대상이랍니다. 수학자들이 장난감을 가지고 노는 방법을 살펴보니 어땠나요? 집에 있는 장난감이 다시 ... ...
[시사기획] 北 생화학 무기 개발,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생화학 무기 중에는 큰 압력과 열에 약한 병원체도 있는 만큼 미사일보다는 드론이나
항공
기를 이용해 에어로졸 형태로 병원체를 분사하는 방법이 가장 유력할 것이라고 추정했다. 필립 연구원은 “북한은 다방면에서 생화학 무기와 관련된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북한은 생물 무기 ... ...
[Culture] 지옥구더기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하여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지금껏 없었어요.” 더욱 놀라운 이야기는 전혀 예상치 못한 사람으로부터 나왔다. 미
항공
우주국 우주생물학연구소 소속 진화생물학자인 레오네 에반스 박사였다. NASA에서 일한다는 말을 들었을 땐 어쩔 수 없이 판에 박힌 상상을 할 수밖에 없었지만, 수수께끼의 샘플이 외계인의 촉수 조직이라는 ... ...
Part 1. 플라스틱 소라게가 나타났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찾을 수 있는 다양한 집들은 줄어들고, 대신인간이 버린 해양 쓰레기는 늘어났어요. 미국
항공
우주국에서는 지금과 같은 추세라면 2025년까지 해양 쓰레기 총량이 무려 1억 5500만 톤에 달할 것이라 예측했어요. 이 정도면 전세계 해안을 따라 두께 30cm, 높이 30m의 쓰레기 벽을 쌓을 수 있는 규모랍니다 ... ...
Part 1. [물리학상] 100년 만에 중력파 존재 확인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중성자 별의 충돌로 2초 이내의 짧은 감마선 폭발이 관측될 것으로 예상됐다. 그리고 미국
항공
우주국(NASA)이 운용하는 허블망원경이 2013년 이런 특성을 갖는 감마선 폭발체(GRB130603B)를 실제로 관측하면서 킬로노바의 존재가 확인됐다. 그러나 반쪽 짜리 결과였다. 킬로노바의 광학 현상과 감마선 ... ...
사진 속에 비밀을 감춰라! 스테가노그래피
수학동아
l
2017년 11호
1, 10 / ➏번-8, 13 스테가노그래피란?2001년의 9/11 테러범은 모나리자 사진파일에 납치할
항공
기의 운항 시간을 숨겨 전달했다고 해요. 이처럼 메시지나 사진 같은 정보를 보이지 않게 감추는 방법을 ‘스테가노그래피’라고 합니다. 정보를 알아채지 못하게 만든다는 점에서 스테가노그래피를 암호로 ... ...
Part 3. 넘어지면 단단해지는 기하학 구조
수학동아
l
2017년 11호
65쪽 그림에서 사람이 입은 내복 같은 옷은 사실 로봇이에요. ‘소프트 웨어러블 로봇’이라고 하지요. 딱딱하고 차가워 보이는 강철로 돼 있어야만 로봇 같지만, 앞으로는 부드럽고 유연한 소재로 만들어진 로봇도 많이 등장할 거예요. 스마트 워치나 스마트 안경처럼 사람이 착용할 수 있도록 만 ... ...
[Future] ‘ 마션 인 하와이 ’ 8개월의 기록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없다. 그렇다면 이들은 누구일까. 현무암질 화성 표면과 유사, 하와이판 화성 기지미국
항공
우주국(NASA)은 하와이 빅아일랜드 마우나로아 지역에 화성 모의기지를 짓고 매년 지원자를 모집해 화성인의 생활을 시뮬레이션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해왔다. 일명 ‘하와이 우주탐사 아날로그 및 ... ...
Part 5. [노벨상 예측] 노벨상 제정 벌써 117년 향후 노벨상 탈 연구는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여기에 암흑물질이 가장 많을 것으로 예측되기 때문이다. 실제로 최근 몇 년간 미국
항공
우주국(NASA)의 ‘페르미 감마선 우주망원경’은 감마선 방출이 은하 중심부에 집중돼 있음을 보였다. 인류가 암흑물질의 정체에 한 발짝 다가간 셈이다. 플랑크 위성은 2009년 5월에 발사된 3세대 ... ...
Part 1. 유연해진 로봇이 온다!
수학동아
l
2017년 11호
비틀어지는 ‘트위스터’라는 로봇이에요. 이기주 미국 케이스웨스턴리저브대학교 기계
항공
공학과 교수팀이 개발해 9월 27일 ‘IEEE/RSJ 지능형 로봇과 시스템 국제회의’에서 발표했지요. 유연하게 다양한 방식으로 움직일 수 있는 이 로봇팔의 핵심 원리는 일본의 종이 작가 미호코 타치바나가 ... ...
이전
86
87
88
89
90
91
92
93
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