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대
큼
과대
다대
웅대
막대
뉴스
"
거대
"(으)로 총 1,465건 검색되었습니다.
공정률 60% 눈앞…“핵융합실용화 인류운명 가를 것”
동아사이언스
l
2018.10.14
진공용기 섹터를 가운데 매달고 양쪽에서 초전도 자석을 끼우는 데 사용된다.
거대
중장비임에도 불구하고 오차 범위 2㎜ 이하의 매우 정밀한 기계 제어가 가능해 회원국들의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전체 진공용기는 오는 2021년 완성될 예정이다. 지난해 연말에는 한국의 효성 그룹이 제작한 세계 ... ...
미세한 필터에 ‘터널’ 뚫어 단백질 분자 거른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09
교수팀은 금속과 유기물질 복합체로 제조한 필터(막)에 큰 구멍을 뚫어 단백질 등
거대
복합 분자를 효율적으로 분리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는 아주 미세한 물질만 거를 수 있던 기존 필터 대신, 큰 물질을 거를 수 있도록 발상을 뒤집은 결과였다. 연구팀은 금속 이온과 유기물을 이용해 3차원의 ... ...
보석 같은 생명체의 정체는?
거대
해파리
팝뉴스
l
2018.10.04
해도 바닷가에서 발견된 이 해파리의 사체가 아주 특별한 것은 사실이다. 아름답고
거대
한 해파리는 지난 9월 뉴질랜드 북섬 파키리 해변에서 발견되어 현지 언론의 주목을 받은 바 있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 ...
[표지로 읽는 과학] 변덕쟁이 청색변광성 폭발 원인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9.30
제공 이번 주 ‘네이처’ 표지는 신화 속
거대
동물의 푸른색 눈동자를 보는 듯한 장면이 실렸다. 이는 태양보다 80배 큰 불안정한 상태의 극초거성인 밝은 청색변광성(LBV)과 그 주변을 3차원(3D)으로 시각화한 것이다. 폭발이 일어나는 순간을 포착한 ‘스냅샷’인 셈이다. 표지 그림의 가운데 ... ...
[조선과학기술 시네마]5관. 신약 개발로 이어진 전통 약재의 생명력
2018.09.21
힌트를 줬다는 점이다. 당시 중국에서는 말라리아를 퇴치하기 위해 국가 수준의
거대
프로젝트를 추진하면서 대대적인 약물 성분 확인 작업을 벌였다. 하지만 당시 일반적인 방법이었던 끓인 물로 달이는 성분 추출 방식은 번번이 실패했다. 이에 다시 고전 의서의 원문을 꼼꼼히 확인한 결과, ... ...
신혼부부를
거대
파도가 덮쳐
팝뉴스
l
2018.09.18
기념 촬영을 하고 있었다. 호놀룰루 남쪽에 있는 절벽 위에서 포즈를 취한 순간
거대
한 파도가 바위에 부딪힌 후 하늘로 솟아올랐고 곧 신혼 부부위로 쏟아졌다. 다행히 휩쓸리지는 않았고 유쾌한 웃음이 터져 나온 즐거운 추억이었는데 고생도 했다. 커플은 젖은 웨딩드레스를 입은 해 40분 거리의 ... ...
아프리카
거대
구름 미스터리 풀렸다
과학동아
l
2018.09.13
대기과학과 교수팀은 인공위성 자료를 분석해 나미비아와 앙골라 연안을 뒤덮는
거대
한 하층운이 수백km에 이르는 긴 선을 따라 급속도로 사라지는 현상을 발견했다. 연구팀은 그 원인으로 상승한 대기가 중력을 받아 하강하면서 만드는 ‘대기 중량파’를 꼽았 다. 아프리카에서 불어온 육풍이 ... ...
"목성은 수백만년 합체와 축적의 산물"
동아사이언스
l
2018.08.28
초기 수 백만년동안 세 단계를 거치면서 목성과 같은
거대
행성이 성장했다"며 “다른
거대
행성인 천왕성이나 해왕성에도 새 가설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뇌에서 발견한 인간 진화 흔적 '장미열매 신경세포'
동아사이언스
l
2018.08.28
해부해 관찰한 결과, 피라미드 신경세포와 장미의 열매 모양을 띠면서 맞닿아 있는
거대
신경세포의 존재를 발견했다. 전뇌피질의 첫 번째 층에 위치한 장미열매 신경세포가 3번째 층에 위치한 피라미드 신경세포와 시냅스 틈을 이루고 상호작용하는 것이었다. 장미열매 신경세포는 다른 부위에는 ... ...
[全기자의 영화 속 로봇]
거대
로봇의 원조… 철인 28호
동아사이언스
l
2018.08.24
로봇에 탑승하고 조종하려면 탑승자에겐 대단히 많은 부작용이 있다. 가장 큰 문제는
거대
로봇이 주는 위치에너지다. 로봇이 한 걸음 걸어다닐 때마다 탑승자는 몇 m씩 하늘로 솟아올랐다 고꾸라지는 충격을 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레이저광선 등의 비현실적인 무기를 거의 쓰지 않고 육박전으로 ... ...
이전
86
87
88
89
90
91
92
93
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