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할
격리
이탈
분열
절단
구분
분립
뉴스
"
분리
"(으)로 총 2,610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산업 리포트] 우주로 가는 자동차 회사들
2021.10.08
것으로 알려졌다. 폐쇄형 로버는 일반적인 자동차처럼 차량의 외부와 내부가 완전히
분리
되어 있고 차량 내부에서는 산소공급이 이루어져 우주인들이 평상복 차림으로 활동할 수 있다. ‘아르테미스’ 유인 달 탐사 프로젝트에서 사용될 로버 ‘루나 터레인 비이클’(LTV). NASA 제공 미국의 ... ...
지구방어 소행성 충돌 첫 시험 DART 우주선 내달 말 발사
연합뉴스
l
2021.10.06
변화를 줄 수 있는지 관측하게 되는데, 이 과정은 DART 우주선에 싣고갔다가 충돌 직전에
분리
될 이탈리아우주국의 큐브샛 '리시아큐브'(LICIACube)가 기록한다. 디디모스는 지름이 약 780m이며, '디디문'으로도 불리는 디모르포스는 약 160m의 지름을 갖고 있다. DART 우주선은 소형차 크기로 자체 ... ...
[랩큐멘터리] 바이러스 막아내는 세포의 '슈퍼파워'를 찾아서
동아사이언스
l
2021.10.06
생체 방어 메커니즘을 연구하고 있다. 연구실은 최근 세포에서 일어나는 액체 상태 내 상
분리
현상(LLPS·Liquid-Liquid Phase Separation)을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LLPS는 세포 안에서 단백질이 자연스럽게 뭉쳤다가 흩어지는 물리적 현상을 말한다. 외부에서 에너지를 가하지 않아도 자발적으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탄소제로로 가는 길을 여는 사람들
2021.10.05
반면 마이크로소프크가 돈을 댄 클라임웍스의 설비는 이 부분이 차별화돼 있다.
분리
한 이산화탄소는 물에 녹여 파이프를 통해 지하 400~800m 현무암층으로 주입한다. 이곳에서 물에 녹은 이산화탄소, 즉 탄산이온(CO3²-)은 현무암의 다공성 표면에서 녹아 나온 칼슘 이온(Ca²+)과 반응해 돌(방해석, ... ...
"거리두기 장기화로 피해 있어... 단계적 일상 회복 위해 의료체계 정리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1.10.01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 교수는 "단계적 일상 회복을 위해서는 현재 진단과 치료가
분리
된 구조를 진단과 치료를 동시에 하는 시스템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모든 환자를 격리하는 구조는 의료체계 부담이 늘 수밖에 없는 만큼 생활치료센터를 조금씩 없애고 ... ...
[프리미엄 리포트]플라스틱과 공존 꿈꾸는 젊은 기업들
2021.09.25
“이런 작은 쓰레기를 모아 작업물을 만들고 사람들의 시선을 모을 수 있다면, 올바른
분리
배출과 제로 웨이스트 운동을 설득력있게 이야기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고 노비닐베어의 기획 의도를 설명했다. 그는 “환경의 아이돌이 되고 싶은 노비닐베어의 꿈을 응원해 달라”며 웃었다. ... ...
1만년 전 사라진 매머드 복원에 부자들은 왜 투자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9.24
나선다. 이를 위해 시베리아 툰드라에 묻혀 있는 매머드 사체에서 DNA가 잘 보존된 세포를
분리
한 뒤 핵을 떼어내고 매머드와 DNA구성이 99.6% 일치하는 아시아코끼리 난자에 넣어 매머드의 수정란을 만든다. 그런 다음 유전자 가위로 유전자를 조작한 양을 키우는데 사용했던 인공자궁에 수정란을 ... ...
뇌의 독성 단백질 분해하는 면역세포 '분업 시스템' 발견
연합뉴스
l
2021.09.23
작동하지 않기 때문이었다. 연구팀은 환자 본인의 혈액 샘플에서 대식세포(macrophages)를
분리
한 뒤 신호 조절 물질을 써서 소교세포와 비슷한 면역세포로 변하게 유도했다. 이런 유사 소교세포도 네트워크를 형성하긴 했다. 하지만 그 안에서 알파-시누클레인 원섬유를 이동시켜 분배하는 ... ...
이호왕 고려대 명예교수,논문 인용 세계 최상위 0.01% '노벨상급' 연구자로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21.09.23
바 있다. 이 명예교수는 칼 존슨 미국 뉴멕시코대 명예객원교수와 함께 한타바이러스
분리
와 신증후군출혈열(HFRS) 연구에 기여함으로써 생리의학 부문 우수 연구자로 선정됐다. 한국인으로는 유일하게 선정됐다. 이 교수는 에이즈, 말라리아와 함께 세계 3대 전염성 질환으로 알려진 HFRS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영웅 없는 혁명' mRNA 백신의 길고 지루한 역사
2021.09.23
뒤바뀐다. 폴 크리그와 더글라스 멜튼을 비롯한 동료들은 바이러스의 RNA 합성효소를
분리
해서 인공적으로 원하는 mRNA를 합성하는 방법을 개발했고, 이를 개구리알에 주사해 원하는 단백질을 만들어낼 수 있다는걸 밝혔다. 하지만 크리그와 멜튼은 그들의 발견을 주로 기초연구를 위해 사용했다. ... ...
이전
86
87
88
89
90
91
92
93
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