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깥
외면
표면
겉
바깥면
밖
노천
뉴스
"
외부
"(으)로 총 3,350건 검색되었습니다.
자기장·온도 동시 감지하는 다이아몬드 양자센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3.31
있다면, 다이아몬드가 양자센서의 역할을 해 양자컴퓨팅에 필요한 연산을 하거나 미세한
외부
환경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고감도의 다이아몬드 양자센서를 개발하려면 다이아몬드의 물성이 가장 중요하다. 연구팀은 이를 위해 다양한 조건에서 생성된 다이아몬드를 구매해 ... ...
[사이언스N사피엔스] 공기로 빵을 만든 사람
2022.03.31
법칙이란 화학평형상태의 어떤 화학계에서
외부
요인을 변화시켰을 때 그 화학계는
외부
의 변화를 상쇄시키는 방향으로 새로운 평형점을 찾아간다는 법칙이다. 발열반응에서 온도를 높여주면 온도가 낮아지는 방향, 즉 역반응이 우세해진다. 수소와 질소를 반응시켜 암모니아를 얻는 과정은 이런 ... ...
승인 검토 중인 항체치료제 '이부실드' 어떤 약?…치료와 예방효과 모두 인정
동아사이언스
l
2022.03.30
환자 등 면역저하자에 대해 아스트라제네카사의 주사제형 항체 치료제 '이부실드' 등
외부
에서 만들어진 항체를 예방적 목적으로 투여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치료효과와 예방효과까지 있어 코로나19 백신을 접종해도 면역력이 낮은 중증 면역저하자에게 예방 효과가 기대된다. 지난해 12월 ... ...
고가 희토류 30% 줄이고도 전기차 모터용 영구자석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3.29
상태에서도 자석이 갖고 자기력을 뜻하며, 보자력은 자석의 자기력을 모두 없애기 위해
외부
에서 반대로 걸어주는 자기력이다. 상충하는 두 가지 특성을 동시에 향상했다는 점에서 기술적 효용성과 가치를 높인 셈이다. 향후 이 기술이 상용화되면 고효율 모터가 쓰이는 전기자동차, 드론, ... ...
"디지털 전환 추진 국내 중소기업 절반도 안돼"
동아사이언스
l
2022.03.29
환경 적합성을 높여가는 진화의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기업은
외부
환경에 대한 인식과 해석을 통해 디지털 전환의 필요성을 발견하고 전략적 대응을 도모하며 디지털 전환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조직 구조의 변화나 소통 방식의 변화, 또는 조직 문화의 변화가 수반돼야 ... ...
'탄소네거티브' 선언한 MS "뜻대로 안되네"…탄소배출량 작년 23% 늘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3.28
전년 대비 2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의 통제 범위 밖에서 이루어지는 활동과
외부
시설에서 파생되는 탄소배출에 직접 탄소배출량과 간접 탄소배출량을 합친 것이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유통부터 보관, 폐기까지의 방대한 범위의 수명 사이클을 포함해 배출량을 측정해야 하므로 ... ...
[과학게시판] DNA메모리·바이오닉 슈트 등 미개척 융합기술개발 공모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3.23
배열한 뒤 구멍에 블록코폴리머를 넣고 전계를 걸어 비눗방물 모양의 구조물을 만든 뒤
외부
를 다공성 하이드로젤로 채워 고정해 50일 이상 형태를 유지했다 ... ...
우주인이 길러 먹는 골다공증 막는 양상추
동아사이언스
l
2022.03.22
식재료를 개발했다. 식재료로 많이 사용되는 양상추의 형질을 전환했다. 형질 전환은
외부
DNA 분자가 세포에 도입돼 유전적인 변화가 일어난 것을 의미한다. 연구팀은 박테리아의 일종인 ‘아그로박테륨’으로 양상추 세포를 감염시키고 거기에 뼈 성장을 자극하는 부갑상선호르몬을 만들어내는 ... ...
자석의 힘으로 기관지 끝까지 이동하는 지렁이 로봇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3.22
부드러운 탄성물질과 고무를 사용했다. 여기에 자력을 띠는 미세한 입자들을 삽입해
외부
자석에 반응할 수 있도록 했다. 이를 원통형으로 만든 다음 여러 개를 이어 붙여 가늘고 긴 로봇 형태를 구현했다. 각 단락이 독립적으로 움직임에 따라 가는 기관지 말단에서도 유연하게 이동할 수 있다. ... ...
[과기원은 지금] 김재경 KAIST 교수팀 세포 이질성 원인 밝혀
동아사이언스
l
2022.03.22
동일한
외부
자극에도 개별 세포마다 반응하는 정도가 다른 원인을 알아냈다고 밝혔다.
외부
자극에 대한 세포 간 이질성의 크기가 세포 내 신호 전달 과정의 반응 속도 제한 단계의 수에 비례한다는 분석이다. 화학 요법 치료의 효과를 개선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결과는 ... ...
이전
86
87
88
89
90
91
92
93
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