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가
필자
지은이
저술자
저술가
저작자
편찬자
뉴스
"
저자
"(으)로 총 2,176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 D614G 변이 감염력 최대 7.7배” 변이 바이러스 감염력 공통적으로 높아
동아사이언스
l
2021.02.18
세포에서 D614G 변이 바이러스의 감염력이 높다는 사실을 확인한 것이다. 논문의 제1
저자
인 자르코 다닐로스키 미국 뉴욕게놈센터 연구원은 "D614G 변이 바이러스에 감염된 소수가 우연히 바이러스를 널리 퍼뜨렸을 수 있어 변이가 감염력에 영향을 주는지 알 수 없었다"며 "이번 연구를 통해 D614G ... ...
[사이언스N사피엔스]성당의 스팬드럴과 진화론
2021.02.18
위키피디아 제공 굴드는 진화론을 둘러싼 거의 모든 이슈에서 《이기적 유전자》의
저자
인 리처드 도킨스의 대척점에 서 있었다. 대표적으로, 자연선택에 의한 생물의 적응이 형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둘러싼 논쟁이 있었다. 적응이란 생물이 생존에 유리하도록 환경에 맞게 변화하는 ... ...
코로나19 항체 제제, 감염 전후 효과 전혀 다르다
연합뉴스
l
2021.02.18
관련 논문을 제출했다. [미 NIH 홈페이지 캡처 / 재판매 및 DB 금지] 논문의 수석
저자
인 다이아몬드 교수는 "어떤 회사는 항체에서 실행 기능을 제거하고, 다른 회사는 항체의 실행 기능을 최적화하려고 애를 쓴다"라면서 "신종 코로나 감염의 맥락에서 보면 어느 쪽도 더 낫다는 걸 입증하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야생 벼가 식량 위기 구원투수 될까
2021.02.16
번역출간된 ‘인류를 식량 위기에서 구할 음식의 모험가들’에서 환경 저널리스트인
저자
아만다 리틀은 전통적인 농업과 급진적인 신기술을 융합해 환경을 건강하게 복원하면서도 음식의 생산량을 늘릴 수 있는 길을 모색했다. 교보문고 제공 물과 비료, 농약 사용을 최적화하는 컴퓨터 제어 ... ...
코로나19 음모론 퍼뜨린 '슈퍼전파자'들 알고보니 유명인들…추적 명단 첫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1.02.16
명예교수가 이끄는 글로벌화연구센터는 홈페이지(globalresearch.ca)를 통해 전 세계 여러
저자
의 글을 실으면서 코로나19 발병의 기원에 대해 근거 없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 하지만 2020년 미 국무부 보고서에 따르면 홈페이지에 등장하는 7명은 실존하지 않으며, 러시아 군 정보당국에 의해 만들어진 ... ...
프레온가스 감시 연구 뜨자 중국도 눈치보기 시작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11
기존에 생산된 제품에서도 프레온가스가 조금씩 방출되는 것도 문제다. 두 연구의 공동
저자
인 매트 릭비 브리스톨대 교수는 “생산된 전체 프레온가스 중 일부만이 대기로 방출됐을 가능성이 높다”며 “배출 지역을 추적하기 위한 국제적 노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 ...
"살아있는 화석" 실러캔스 유전자 상 자격 없어
연합뉴스
l
2021.02.10
'수평적 유전자 전이'로 알려진 종간 유전자 이동이 이뤄진 것으로 분석했다. 논문 제1
저자
인 박사과정 대학원생 아이작 옐란은 "수평적 유전자 전이는 (실러캔스의) 전이인자가 어디서 온 것인지에 대해 흐릿한 그림만 제시하지만 다른 종의 사례를 통해 기생으로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알고있다 ... ...
태아 때 카페인 노출되면 아동기 행동장애 위험 커져
연합뉴스
l
2021.02.10
URMC를 비롯한 미국 내 21개 기관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취합한다. 논문의 제1
저자
인 제커리 크리스텐슨 박사는 "의사들이 제시하는 임신 중 카페인 섭취 가이드라인은 하루에 보통 컵으로 2잔을 넘지 말라는 것"이라면서 "장기적으론 더 개량된 가이드라인이 나와야 하겠지만 지금은 걱정이 생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기생충과 건강수명
2021.02.09
배경에는 서구식단 도입과 함께 기생충 퇴치가 자리할 것이다. 아직은 무대책
저자
를 비롯해 옛친구 가설을 지지하는 연구자들의 주장대로 우리의 면역계가 마이크로바이옴뿐 아니라 매크로바이옴(기생충)의 개입을 전제로 최적화되게 만들어져 있다면 이들 없이는 제대로 기능할 수 없다는 ... ...
마모셋, 다른 원숭이 간 상호작용 "대화"로 엿듣고 행동에 반영
연합뉴스
l
2021.02.04
내는 소리를 들을 때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Judith M. Burkart, UZH 제공] 논문 제1
저자
인 박사후보 라헬 브뤼거는 "이는 마모셋이 다른 원숭이의 독백으로 부터대화를 구분해 낼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는 것"이라면서 마모셋이 원숭이 간 상호작용 소리를 대화로 듣고 제3자가 무엇을 하고 있는지 ... ...
이전
86
87
88
89
90
91
92
93
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