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인"(으)로 총 1,073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뇌 건강 노력을 게을리 할 수 없는 이유 2018.04.10
- 이 글의 마무리는 3년 전 ‘암 발생의 불운 가설’ 논란 때와 비슷하다. 설사 성인 신경생성이 일어나지 않더라도, 즉 ‘네이처’ 논문이 맞더라도 뇌를 건강하게 유지하려는 노력(숙면, 독서, 운동)을 게을리하지 말아야겠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女 마라톤 최고 기록 김도연, 밥심으로 달렸다!2018.04.03
- 장문의 김도연 선수 인터뷰가 실린 날 스포츠면에는 그를 지도한 김영근 감독의 인터뷰도 실렸다. 김도연 선수는 지난해 초 강원도청에서 K-water로 옮겨 김 감독의 지도를 받으면서 급성장했다. 동아마라톤 여자 엘리트 부문에서 우승하며 21년만에 한국기록을 경신한 김도연(25·K-water) 가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배터리 핵심소재 리튬 vs 코발트, 누가 더 귀한 몸?2018.03.20
- 논문의 범위인 2025년까지는 전기차용 코발트 프리 배터리가 나올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필자는 얼마 전 7년 동안 쓰던 노트북의 상태가 급격히 나빠져 새로 하나 장만했다. 고쳐 쓸까 하다가 배터리도 바꿔야 되고(충전해도 두 시간을 못 버틴다) SSD 용량도 늘려야 하는데 그럴 바에야 한 100만 원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저지방 식단 권장, 설탕 업계 음모?2018.02.20
- 생각한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고 회상했다. 고지방 다이어트 진영의 이론가인 개리 토부스 조차 “제당업계는 하버드에서 제당업계에서 돈을 받기 위해 스스로 믿지도 않는 이야기를 기꺼이 만들어낼 연구자를 찾지 못했다”며 “그들이 한 일은 그들의 입맛에 맞는 내용을 이미 믿고 있는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설탕보다 낫다더니... 트레할로스의 씁쓸한 이면2018.01.30
- RT027은 두 곳에서 treA 유전자가 발현했다. 논문을 보면 클로스트리디움 RT027과 RT078로 인한 병원 내 감염 사건이 표시된 연대표가 있는데 정말 2000년 이후에 사건들이 몰려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RT027의 경우 2007년 우리나라에서도 감염 사례가 보고된 것으로 나와 있다. 클로스트리디움 RT027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청바지 파란색 인디고, 녹색으로 거듭날 수 있을까?2018.01.23
- 늘어나고 있고 염색 과정의 환경오염 문제도 부각되고 있기 때문에 언젠가는 친환경 인디고 제조 및 염색법이 채택돼야 할 것이다. 미래에는 블루진에도 녹색(green)을 입혀야 한다는 말이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 ...
- 전기장으로 움직이는 DNA 나노 로봇팔동아사이언스 l2018.01.21
- 정해진 지점으로 회전한다. 자유자재로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는 나노미터 크기의 로봇팔인 셈이다. 플레이트에 로봇팔의 끝 부분과 도킹할 수 있는 짧은 DNA 가닥을 배치하면 로봇팔을 원하는 각도만큼 회전시킬 수 있다. 컴퓨터에 원하는 동작을 입력하면 로봇팔은 천 분의 1초 내에 작동한다.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9000년 전 사냥개의 활약상 생생하게 묘사된 암각화 감상법2018.01.09
- 이용해 동족을 배반한 전력이 있기 때문에 오늘날 사람과 개가 이처럼 서로를 예외적인 존재로 여기며(채식주의자가 아닌 사람들도 대다수는 개고기를 안 먹는다!) 살아가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문득 든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 ...
- 강석기의 과학카페ㅣ기다리다 지친 과학자, 반합성(semi-synthetic) 생명체 만들다!2017.12.06
- 성공했다. 소위 ‘합성생물학’의 시대를 연 것으로 평가되는 연구결과이지만 회의적인 시각도 많았다. DNA만 화학적으로 만들었을 뿐 결과물은 자연의 생물체와 다르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번 반합성생명체 탄생이야 말로 오히려 진정한 ‘합성생물학’의 시대를 여는 사건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파란빛의 두 얼굴2017.11.14
- 논문의 결과처럼 스트레스를 빠르게 이완시키는 진정효과도 있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인간에 미치는 색의 영향에 깔려있는 생리적, 심리적 메커니즘은 이번 연구의 범위를 넘어서는 주제”라며 빗겨나갔다. 뭔가 그럴듯한 설명을 기대했던 필자는 좀 실망했다. 연구자들은 휴식 공간의 조명으로 ... ...
이전86878889909192939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