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chemistry
화학기계
기계
화학물리학
물리학
자연 과학
스페셜
"
화학
"(으)로 총 1,816건 검색되었습니다.
쌓이고 쌓이는 과학계 '혐중'정서…코로나19 연구로 돌파구 생길까
동아사이언스
l
2020.10.12
추정되면서 천인계획의 실체를 둘러싼 의구심이 더욱 커지고 있다. 올해 노벨
화학
상을 받은 ‘유전자 가위’ 기술을 두고도 심각한 윤리문제를 야기했다. 허젠쿠이 전 중국 남방과학기술대 교수는 2018년 11월 26일 유튜브에서 세계 최초로 유전자 가위를 이용해 유전자를 교정한 인간 아기가 ... ...
[오늘의 뉴스픽]노벨상을 둘러싼 망조 같은 동상이몽
동아사이언스
l
2020.10.09
올해 노벨상 수상자 발표는 해외에서도 별로 주목받지 못하는 모습입니다. 반면 노벨
화학
상 발표에 앞서 국내에서는 현택환 서울대 교수의 수상 가능성을 앞다퉈 보도하는 ‘이상 현상’이 나타났습니다. 이상 현상이라고 표현한 이유는 한 해외 학술정보회사에서 현 교수가 앞으로 노벨상을 받을 ... ...
과제 쪼개기,코로나 데이터 관리는 방만, 재난엔 깜깜이 위성…과방위 국감 이슈
동아사이언스
l
2020.10.08
관련한 질의도 다수 이어졌다. 전혜숙 의원(더불어민주당)은 지난해 12월 대구 경북대
화학
관에서 폭발사고로 실험실 대학원생이 3도 화상을 입는 사고와 관련해 피해자 아버지의 편지를 위원석마다 놓고 “경북대 총장과 피해자 아버지를 증인과 참고인으로 채택해달라”고 요구했다. 전 의원실에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크리스퍼 혁명'은 지금도 진행중
2020.10.08
프랑스의 에마뉘엘 샤르팡티에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교수. AFP/연합뉴스 제공 올해 노벨
화학
상은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연구를 개척한 과학자 2명에게 수여됐다. 에마뉘엘 샤르팡티에 독일 막스플라크연구소 교수와 제니퍼 다우드나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교수가 그 주인공들이다.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초파리, 다이너마이트 그리고 해커
2020.10.08
수상한 로버트 리처드 경은 미국
화학
회의 이런 고답적 전통에 분개해 미국
화학
회를 탈퇴하기도 했다. - 해커문화와 생물학의 연결고리에 대해서는 나의 다음 글들을 참고할 것. ‘시민생물학과 한국의 과학’ http://www.bloter.net/archives/306309, [김우재의 보통과학자]알렉산드라 엘바키얀, 논문 해적 혹은 ... ...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잊혀진 과학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20.10.08
정교하게 인식하고 자를 수 있는 ‘크리스퍼 유전자가위’가 7일 저녁(한국시간) 노벨
화학
상을 수상했다. 발표 직후 기자의 전화를 받은 김진수 기초과학연구원(IBS) 수석연구위원은 수상자 명단을 듣고 잠시 의외라는 반응을 보였다. 그는 “두 사람은 크리스퍼 유전자가위의 작동 원리를 최초로 ... ...
노벨상위원회가 밝힌
화학
상 수상자 공적
2020.10.07
제공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상위원회는 7일 올해 노벨
화학
상 수상자로 에마뉘엘 샤르팡티에(52)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교수와 제니퍼 다우드나(56)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버클리) 교수를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위원회는 “유전자 가위인 크리스퍼-캐스9(CRISPR-Cas9)이라는 유전자 기술의 가장 ... ...
노벨
화학
상 수상한 50대 여성
화학
자들, 그들은 누구
동아사이언스
l
2020.10.07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4년 예일대 교수로 부임한 후 2002년 남편인 제이미 케이트
화학
과 교수가 있는 버클리 캘리포니아대로 옮겼다. 다우드나 교수는 올해 3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발발 이후 230제곱미터 규모의 실험실을 하루에 3000건 이상 코로나19 진단이 가능한 ... ...
'편집이냐 교정이냐'부터 ‘디자이너 베이비’까지…말 많은 유전자 가위 논란
동아사이언스
l
2020.10.07
캘리포니아대(UC버클리) 사이의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특허 분쟁이다. 여기에는 올해 노벨
화학
상을 수상한 제니퍼 다우드나 교수와 에마뉘엘 샤르팡티에 교수도 포함되며 수상자로 선정되지 못한 권위자인 펑장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 교수와 한국의 김진수 서울대 교수도 얽혀 있다. ... ...
[노벨상 수상자 과거 인터뷰]샤르팡티에 교수 “크리스퍼 개발했을 때 가장 먼저 난치병 환자 치료 떠올려”
동아사이언스
l
2020.10.07
박사학위를 받았다. 크리스퍼를 개발한 공로로 톰슨로이터가 선정한 ‘2015 노벨
화학
상 수상자 예측’에 이름을 올리기도 했다. 2014년에는 독일 정부가 5년 동안 500만 달러(약 57억 원)의 연구비를 지원하는 ‘알렉산더 훔볼트 교수상’도 수상했다. 샤르팡티에 교수는 “대학원 시절을 포함해 2 ... ...
이전
86
87
88
89
90
91
92
93
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