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뉴스
"
발견
"(으)로 총 10,228건 검색되었습니다.
공룡의 직계 후손은 닭?
과학동아
l
2015.01.14
가설은 널리 알려져 있다. 특히 1990년대 중국 랴오닝성 등지에서 깃털 달린 공룡이
발견
되며 새의 공룡기원설에 힘이 실렸다. 그렇다면 현생 조류 가운데 공룡의 ‘직계 후손’은 누구일까. 최근 닭이 공룡과 가장 가까운 새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켄트대 생물학과 다렌 그리핀 교수팀이 ... ...
“가장 큰 바다생물은 바로 나!”
2015.01.13
“이때부터 오징어의 길이를 조사하기 시작했는데 1800년대에 40피트(약 12m)짜리 오징어가
발견
됐다는 것도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밖에도 연구팀은 바다에 사는 생물 중 이른바 ‘메가톤급동물’이라고 알려진 상어, 오징어 등 20여 종의 몸 크기를 비교·분석해 과학학술지 ‘피어제이(PeerJ)' 1 ... ...
후두암 방사선 치료 확률 높인다… 내성 환자 구분법 첫 개발
2015.01.13
암 생물학 학술지 ‘온코타깃’ 1월호에 실렸다. ERp57과 STAT3이 결합된 단백질이 다량
발견
될 경우 방사선 치료 예후가 좋지 않다는 것이 밝혀졌다. - 한국원자력의학원 ... ...
게놈 속의 ‘잠자는 개’를 깨우지 마세요
2015.01.12
1.5%에 불과하다. 전이성 인자는 옥수수 유전학을 연구하던 바바라 맥클린톡이 1940년대
발견
했는데, 한마디로 게놈 여기저기로 옮겨 다닐 수 있는 DNA조각이다. 또 해당 부분이 복제된 DNA조각이 게놈에 들어가기도 한다. 그 결과 한 게놈에 수백에서 심지어 수백만 카피가 존재하기도 한다. 수억 년에 ... ...
네스 호에 살았던 괴물도 혹시 어룡?
2015.01.12
뜻하는 단어를 붙여지었다. 브루사트 박사는 “스카이 섬은 쥐라기 중기 화석을
발견
할 수 있는 세계에서 몇 안 되는 곳으로 당시 유럽과 북아메리카 대륙이 나뉘는 과정 중에 바다로 뒤덮여 있었다”며 “화석 수집가들이 화석을 외부에 팔지 않고 박물관에 기증한 덕분에 가능한 성과였다”고 ... ...
초소형 3층 건물 만드는 비법
2015.01.11
두 가지 단백질이 신경 재생에 관여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놀라운 점은 연구진이
발견
한 두 단백질이 그동안 고장난 세포를 없애거나 죽은 세포를 제거하는 데 관여한다고 알려진 단백질이기 때문이다. 일반세포에서와 달리 신경세포에서는 이 두 단백질이 세포 제거가 아닌 재생을 위해 ... ...
전자담배는 피워도 괜찮을까
2015.01.11
위키피디아 제공 새해부터 담뱃값이 인상되면서 전자담배 판매가 급증하고 있다. 해외에서도 전자담배가 인기를 얻으면서 옥스퍼드 사전은 ‘vape’를 2014년의 단어로 ... 높고, 니코틴 원액을 가열해 기체화하는 과정에서 특정 발암 물질이 급증하는 현상을
발견
했다고 보도했다. ... ...
나치가 원자폭탄을 먼저 개발했다면…
2015.01.11
저자들은 페르미연구소의 테바트론 가속기를 이용해 이룩한 연구 성과와 함께 힉스를
발견
한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거대강입자가속기(LHC)로 얻어낸 연구 결과를 자세히 기술했다. 하지만 저자들의 설명은 거대 가속기와 힉스에 관한 이야기에 국한되지 않는다. 앞으로 남은 입자 사냥과 ... ...
과학자로 성공하려면 필요한 것은?
2015.01.11
윌슨 교수는 개미 사회에서 죽은 개미를 옮기는 ‘장의사 개미’가 있다는 사실을
발견
했다. 그는 장의사 개미가 어떻게 죽은 개미를 판단하는지가 궁금했다. 어두운 곳에서도 기가 막히게 죽은 개미를 찾는 것으로 짐작해 아마 ‘냄새’일 것이라는 생각을 하고 트리에틸아민 등 냄새나는 ... ...
과학동아천문대,‘러브조이 혜성’특별 관측열어
과학동아천문대
l
2015.01.09
이름을 따 지어진 “러브조이(학명 C/2014 Q2, Lovejoy)”는 8인치 망원경을 이용해
발견
됐다.
발견
당시 '러브조이'는 지구와 대략 4억 2천만 km 떨어진 거리에 있었으며, 밝기는 15등급 정도였다. 이 밝기는 맨 눈으로 볼 수 있는 가장 어두운 별보다 4000배 정도 어두워 관찰이 어려웠다. 하지만 최근 이 ... ...
이전
909
910
911
912
913
914
915
916
9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