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의료
요법
처치
진료
방법
치료법
구제법
뉴스
"
치료
"(으)로 총 9,999건 검색되었습니다.
수술 앞둔 암환자 막막…“다른 병원서도 안받아주면 큰일”
동아일보
l
2015.06.15
전제되고 감염 우려가 없는 선에서 삼성서울병원 대신 다른 병원을 찾는 환자들을
치료
하는 데 협조하겠다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일부 병원에서는 삼성서울병원에 다니던 환자를 받지 않겠다는 곳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유인상 대한병원협회 총무이사는 “삼성서울병원에 다니던 외래 ... ...
완치의사 병원 재개원… “고열환자 받습니다”
동아일보
l
2015.06.15
받고 퇴원했다. 365열린의원은 이번에 다시 문을 열면서 열이 나거나 기침을 하는 환자가
치료
받을 수 있도록 한 보건복지부의 고열·호흡기 환자 진료병원으로 지정됐다. 보건소가 붐비는 데다 진료 거부를 하는 의원이 늘어남에 따른 것이다. 서울 강동구에 따르면 정 씨는 고열·호흡기 환자 ... ...
감염의심 초등생 증세 안 나타나
동아일보
l
2015.06.15
나온 12일부터 분당서울대병원에 격리돼 양성 환자와 같은 기준으로 음압격리실에서
치료
를 받으며 현재 4차 검사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 보건당국은 A 군의 누나와 엄마도 검사를 받았지만 음성 판정이 나왔다고 밝혔다. A 군에 대한 보건당국의 메르스 검사 결과는 오락가락했다. 1차 검사(10일)에선 ... ...
美 과학자들이 뽑은 진정한 과학자가 되는 제1 덕목
2015.06.14
012년 처음 발견 돼 아직 연구가 진행 중이다. 발견되지 얼마 되지 않은 만큼 백신도,
치료
약도 없다. 울프 교수는 “바이러스를 비롯한 병원균에 대한 우리 지식은 아직 초보 단계”라며 “병원균에 대한 지식의 축적은 새로운 항생제의 개발을 앞당길 수 있을 것이며 향후에 닥칠 팬데믹(대유행 ... ...
세균과 바이러스, 누가 더 위협적인가
2015.06.13
발휘되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최초의 후천면역결핍증(AIDS·에이즈) 바이러스
치료
제인 아지도티미딘(AZT)도 개발된 지 얼마 안 돼 바이러스가 약물을 인식하면서 결국 쓸모없게 됐다. 반면 세균은 1928년 영국 미생물학자인 알렉산더 플레밍이 항생제 ‘페니실린’을 처음 개발하면서 몰락의 ... ...
25년에 한번꼴로 전염병 대유행… ‘독감’이 가장 위협적
2015.06.13
총동원해 전염병 확산을 예측하며 전술을 짜고 있다. 사스나 메르스처럼 아직 백신이나
치료
제가 없는 전염병이 발생했을 때 전염병이 전파되는 경로와 규모를 예측해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다. 가령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아시아독감의 특성을 토대로 ‘플루에이드’라는 프로그램을 ... ...
전염병과 싸우는 사람들
2015.06.13
실체 규명에 달려들었고, 결국 이들이 원인 바이러스와 세균을 밝히는 데 성공해 백신과
치료
제를 만들었다. 지금도 전염병의 최전선에는 병원체와 사투를 벌이는 과학자들이 있다 ... ...
삼성병원 감염자 돌아다닌 병원 3곳, 새 진원지 될 우려
동아일보
l
2015.06.12
7일까지 메디힐병원에 입원했다 퇴원한 바 있다. 그는 곧바로 다시 입원해 1인실에서
치료
를 받다가 8일 이대목동병원에 이송돼 확진 판정을 받았다. 이 환자가 이대목동병원으로 이송될 때는 마스크를 착용했고, 의료진도 보호구를 착용했지만 메디힐병원에서는 격리 없이 노출된 것으로 알려졌다. ... ...
“나도 검사해달라”… 노출자 진료병원에 감기환자들 몰려
동아일보
l
2015.06.12
바로 들어갈 수 없다. 노출자 진료 병원은 메르스 증세가 가벼운 환자나 의심환자가
치료
받는 병원이다. 바이러스와 세균을 막는 효과가 있는 N95 마스크를 쓰고 직원의 안내에 따라 들어간 곳은 병원 주차장 끝에 설치된 흰색 천막으로 메르스 의심 증세를 보인 환자들이 진료를 받는 ‘선별 ... ...
상처 빨리 낫도록 돕는 새로운
치료
제 후보물질 나왔다
2015.06.12
1로 줄었다. 최 교수는 “윈트 신호체계를 방해하는 물질을 억제하는 방식으로 상처
치료
제를 개발한 건 처음”이라면서 “생산 단가가 수십 배 저렴하고 독성도 없는 만큼 임상시험을 거쳐 2~3년 내 상용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성과는 의학 분야 국제학술지 ‘실험의학저널’ ... ...
이전
909
910
911
912
913
914
915
916
9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