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수"(으)로 총 31,072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1kg 정의, 130년 만에 바뀐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없을 것이다. 사실 느껴서도 안 된다. 이미 나온 연구 결과나 진행 중인 연구에 혼란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런 작지만 큰 변화는 과학기술이 발전하면서 더욱 중요해진다. ‘완벽한 단위’를 찾는 과학자들의 노력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다. 이광철KAIST에서 물리학 학사, ... ...
- [Career] 국내 뇌과학 연구의 미래를 엿보다 고려대 ‘뉴런(NEW LEARN)’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목표다. 현재 연세대 뇌과학 동아리와 연합을 준비 중이다. 한양대, KAIST 등과도 함께 할 수 있는 활동을 구상하고 있다. 고등학교 뇌과학 동아리와의 연합도 추진하고 있다. 일종의 멘티-멘토 활동이다. ‘뉴런 인 스쿨(NIS·New learn In School)’이라는 이름으로 방학을 이용해 뇌 해부 실험을 하는 등 ... ...
- Part 3. 둔갑과 은신을 위한 변신수학동아 l2017년 11호
- 동물의 뛰어난 능력은 어디까지일까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수학탐험 동물왕국의 능력자Part 1. 기이한 술법 3가지Part 2. 무리생활을 하는 동물의 게임이론Part 3. 둔갑과 은신을 위한 ... ...
- 위상수학자가 도넛을 사랑하는 이유수학동아 l2017년 11호
- 도넛이 인기 있는 건 도넛이 ‘곡면’의 비밀을 알려주기 때문입니다. 우선 곡면이 무엇인지 살펴보지요. 곡면의 대표적인 예로 지구 표면을 들 수 있습니다. ... 도넛 이렇게 세 개의 그룹으로 묶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곡면의 성질을 연구하는 위상수학자에게 도넛이 사랑받는답니다 ... ...
- [매스미디어] 신비아파트 고스트볼X의 탄생수학동아 l2017년 11호
- 신비아파트로 이사 온 초등학교 5학년 구하리와 하리의 남동생 구두리는 독특한 꼬마 ‘신비’와 마주친다. 남매는 신비가 먹던 엿을 빼앗아 먹었는데, 그 뒤부터 귀신이 보였다. ... 증명했다. 하지만 미로의 안쪽에 출구가 있거나 출구가 여러 개인 경우에 오히려 헤매게 될 수도 있다 ...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마고의 최후?수학동아 l2017년 11호
- 때문이야. 네가 아이들의 음식에 약을 타는 장면이 CCTV에 찍혔어.”“저, 전부 설명할 수 있….”그때 연구원 중 한 명이 외치는 소리가 들렸다.“됐다! 마고가 돌아왔어!”그리고 동시에 마고의 목소리가 울려 퍼졌다.“그 아이는 죄가 없습니다!” - 다음 호에 ... ...
- [공룡은 왜?] 공룡이 돌을 먹는다고? 용각류 위석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 공룡 위석에 대한 연구는 아직 초기 단계예요. 그래서 일부에서는 위석의 개수가 먹는 음식물 양에 비해 너무 적다는 이유로 위석이 소화와 관련 없다고 주장하기도 하지요. 과연 위석은 어떤 역할을 했을까요? 앞으로 밝혀질 새로운 연구 결과를 기대해 주세요 ... ...
- Part 3. 꺼진 불도 다시 보는 진화 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산 위의 기상 조건은 평지와 상당히 달라요. 평균적으로 평지에 비해 풍속은 3배 세고, 강수량은 2배 많죠. 그래서 산불확산 예측 프로그램에 입력되는 산 속 기상 자료는 ‘산악기상관측망’을 통해 얻어요. 산악기상관측망은 산 위의 기상을 측정하는 기기로, 전국 주요 산에 200개가 설치돼 있어요. ... ...
- [과학뉴스] 파킨슨병 원인, 30년 만에 뒤집혔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30년 동안 정설로 받아들여졌던 파킨슨병의 원인이 최근 뒤집혔다. 지금까지 학계에서는 뇌에서 운동을 관장하는 부분(기저핵)에서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이 부족하면 운 ... 파킨슨병이 사라졌다. 김 교수는 “연구 결과를 이용해 파킨슨병 치료법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
- [과학뉴스] 국제산불저널과학동아 l2017년 11호
- 10월 8일 미국 캘리포니아 주에 대규모 산불이 발생했다. 서울 면적의 약 1.5배인 878km2에 건물 약 5700여 채가 소실됐으며, 이재민 약 10만 명이 발생 ... 48로 그리 높지 않지만, 개별 연구자의 논문 인용 횟수를 기준으로 영향력을 나타낸 ‘H-지수’가 67로 화재 관련 저널 중에서는 가장 높다 ... ...
이전9119129139149159169179189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