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깊음
길이
강도
농도
농담
심도
d라이브러리
"
깊이
"(으)로 총 1,540건 검색되었습니다.
서해교전 침몰고속정 떠오르다
과학동아
l
200209
북한 반 잠수정(선체의 일부가 물에 잠긴 상태로 항해할 수 있는 선박)이 수심 1백50m의
깊이
에 침몰됐다. 당시까지만 해도 수심 1백50m에 침몰한 선박을 인양해본 경험이 없었던 해군에서는 군사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 반 잠수정을 인양하기 위해 수압 조절을 위한 각종 첨단장비를 동원했다. ... ...
9백년 잠에서 깨어난 고려청자
과학동아
l
200208
있었다가 최근 인근의 새만금 방조제 건설로 인해 물살이 빨라져 해저의 퇴적층이 4-5m
깊이
로 깎여나가면서 노출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어 “추후 본격조사를 통해 해저 뻘층 밑에 묻혀있는 청자까지 인양할 것”이라고 발표했다.발굴인가 인양인가문화재청의 본격조사 이야기를 하기에 ... ...
협곡 사이로 흐르는 물리학 '래프팅'
과학동아
l
200208
강물의 속도 다르다강물은 동시에 상류에서 하류로 흘러 내려가는 듯 보이지만 강물
깊이
나 지형에 따라 흐름속도가 다르다. 흐르는 물은 강바닥으로 내려갈수록 바닥과의 저항 때문에 속도가 느려진다. 또한 수면은 공기와의 저항 때문에 속도가 조금 느려진다. 따라서 가장 빠른 부분은 수면 바로 ... ...
왜 세계 해양학자들이 동해를 찾아올까
과학동아
l
200208
깊이
밖에 가라앉지 않을지도 모른다. 즉 깊은
깊이
로의 심층수의 형성이 중단되고 얕은
깊이
의 중층수 형성으로 대체되면서 컨베이어벨트 모양이 바뀐다는 것이다.그런데 바로 우리 동해에서 지난 수십년 동안 이와 꼭 닮은 사건이 이미 일어나고 있었던 것이다. 동해는 앞으로 대양이 겪게 될 ... ...
화성의 호수와 얼음, 그리고 생명체
과학동아
l
200207
생각을 뒤엎은 결과다.과학자들의 계산 결과 이 거대한 호수의 면적은 1백10만㎢이고
깊이
는 1.1km로 밝혀졌다. 호수 자체는 넘치기 수억년 전에 이미 형성됐는데, 약 35억년 전 고원의 북쪽면에서 호수면의 고도가 천천히 높아졌다. 결국 물의 무게를 이기지 못한 호수 가장자리는 무너지고 폭포처럼 ... ...
PART5 나노머신 찍어내는 프린터
과학동아
l
200207
${10}^{-15}$초로 매우 짧은 고에너지 초단파를 발생시킨다. 이를 이용해서 나노구조물의
깊이
를 1백nm까지 파는 기술이 실현됐다.또 재료의 표면특성을 측정하는데 쓰이는 SPM의 탐침을 다이아몬드와 같은 강도가 큰 물질로 만들어 나노가공에 응용하기도 한다. 아직까지 실험실 수준에 머물러 있는 ... ...
왜 과학자들은 남극을 찾아갈까
과학동아
l
200207
크게 네차례 바뀌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그러나 이보다 더 놀라운 점은 그 아래에 최대
깊이
5백m가 넘고 경기도보다 큰 호수가 있다는 사실이다. 보스토크라고 이름지어진 이 호수의 물을 오염시키지 않고 얻을 방법이 아직 없어 지금도 연구중이다. 남극대륙을 덮는 빙원 아래에는 이런 호수가 ... ...
미생물이 만든 인류의 역사
과학동아
l
200207
코흐의 등장’과 같은 주제를 다루고 있다. 그러나 같은 주제라도 질병 그 자체에 대해
깊이
있는 분석을 시도하고 있는 점에서 앞의 책과는 차이가 있다.이 책은 고대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각 시대별로 맹위를 떨쳤던 질병들이 어떻게 시작됐으며, 또 그 결과 인간에게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 ...
2. 금강산댐 안전성 7대 의문점
과학동아
l
200206
때문이다. 지난 4월 24일 촬영된 미국 아이코노스 위성사진에 금강산댐 정상부에 폭 20m,
깊이
15m 정도의 함몰부분이 발견됐다. 이에 건설교통부는 금강산댐 붕괴에 따른 여러가지 대책을 발표했다. 핵심은 우리쪽 대응댐인 평화의댐과 발전용인 화천댐을 비우고, 평화의댐 보강공사를 한다는 것이다. ... ...
축구선수 시력 얼마나 뛰어날까
과학동아
l
200206
동시에 눈에 들어온 영역에서 움직이는 물체를 더욱 잘 인식한다고 한다. 뿐만 아니라
깊이
에 대한 인식도 보통사람에 비해 정확하며, 눈자위의 움직임도 우수하다. 한마디로 운동선수의 경우 눈의 고유기능과 대뇌에서 인식하는 능력 거의 모두가 보통사람에 비해 우수하다는 말이다. 또 이런 모든 ... ...
이전
87
88
89
90
91
92
93
94
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