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상
상등
기상
오르막길
오르막
오르기
d라이브러리
"
상승
"(으)로 총 1,237건 검색되었습니다.
화산·얼음·물
과학동아
l
199308
분출되지는 않을 것이다. 그러나 너무 많은 얼음층이 녹아서 붕괴된다면 해수면이
상승
하여 도쿄나 뉴욕같은 대도시를 침수시키기에도 충분할 것이다. 달리 말해서 온실 효과가 억제된다 하더라도 뉴욕에 사는 필자와 우리 모두는 남극의 화산 때문에 익사할 수 있다.어쩌면 남극의 화산은 폭발하지 ... ...
지구과학- 1회 방전량은 중규모 발전소의 발전량에 해당
과학동아
l
199308
관측된다.번개는 대기에서 실시한 수폭 실험에서도 발생한다. 핵폭발에 따른 대기의
상승
운동에 더해 방사선에 의한 대기 중에서의 대량의 전자발생이 불꽃방전의 형성에 기여해 번개가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피뢰침을 발명한 프랭클린1706년 미국의 보스턴에서 태어난 벤저민 프랭클린은 ... ...
코의 감도는 훈련에 의해 좋아진다
과학동아
l
199308
있어서 그 물질에 대한 응답성이 올라가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훈련에 의해
상승
한 응답성은 오랜 기간 안정돼 있다는 점에서 이 과정은 유전자의 발현변화가 관계돼 있는 듯하다.즉 어떤 냄새자극을 반복해 부여하는 것에 의해 그 물질에 결합하는 수용체의 유전자발현이 높아지고 ... ...
침강된 지각 용암형태로 재분출한다
과학동아
l
199308
형성한다고 생각된다. 최근에 보여지듯 어떤 것은 지판과 함께 심층까지 하강했다가
상승
하는 플룸 속으로 휩쓸려 들어간다. 그리고 어떤 퇴적물은 얕은 깊이에서 하강하는 지판 위로 분출하는 용암 속으로 통합되기도 한다.지난 4월 콜롬비아 대학 지구 관측소의 테리 프랑크 교수와 찰스 랭뮈어 ... ...
(1) 다목적 임무 수행한다
과학동아
l
199307
전장 56m, 이륙무게 2천t의 우주운송체가 우주왕복선 콜럼비아를 등에 업고 서서히 수직
상승
을 시작하였다. 콜럼비아의 탑승실에는 기장 존 영과 조종사 로버트 크리펀이 앉아 있었다. 8년에 걸친 노력으로 개발 건조된 최초의 활공재돌입식 우주왕복선이 새로운 우주개척의 시대로 진입하고 있는 ... ...
스포츠가 건강 파괴할 수도
과학동아
l
199307
호흡이 두 배로 늘면 활성산소량도 두 배가 된다. 동시에 근육온도가 높아져 체온이
상승
하면 그때까지는 호흡한 산소의 2% 정도가 활성산소화하던 데서 그 비율이 최고 10%까지 높아진다.활성산소와 함께 스포츠가 가져오는 또하나의 문제는 스트레스. 일반적으로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스포츠를 ... ...
지구과학- 수소폭탄보다 강력한 거대한 에너지 덩어리
과학동아
l
199307
바람이 불게 된다.이때 섬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많은 양의 수증기를 함유하고 있으므로
상승
하면서 냉각되어 응결이 일어나고 응결열을 방출하게 된다. 이때 방출된 응결열은 저기압 중심의 공기를 가열하여 저기압이 더욱 강화되는데, 이같은 저기압을 열대 저기압이라 하고 이를 씨앗으로 태풍이 ... ...
모두를 위한 남극
과학동아
l
199307
도날드D. 블랑켄십에 의하면, 남극의 동쪽 얼음층이 녹는다면 지구의 해수면은 60m정도
상승
할 것이라고 한다. 그렇게 되면 내 방 창문으로 센트럴파크의 경치 대신 물이 보이게 될 것이다.남극 물에 있는 산소함량, 영양분, 오염물 등이 분석되고 있다. 그리고 그 기온과 조류의 흐름이 모니터되고 ... ...
화성에도 물이?
과학동아
l
199306
우물이 말라 버리거나, 염분이나 공해로 오염될 가능성, 그리고 가끔은 지사수면이 너무
상승
할지 모른다는 점에 대해서도 걱정한다.텍사스 대학 지질학과의 머스그로브와 배너는 최근 미국 중부대륙에 있는 염수 지하수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그들은 이른바 '캄브리아-오르도비스기의 미시시피 ... ...
물리- 왜 비행기에서는 안 생기고 우주선에서는 생기나
과학동아
l
199306
중심을 잡는 훈련을 하고, 실제의 무중력에 대한 훈련은 비행기를 타고 수직으로
상승
했다가 자유낙하하듯 포물선을 그리며 내리 꽂으면 그 짧은 순간 동안은 무중력상태이므로 무중력에 대한 적응훈련이 된다고 한다 ... ...
이전
87
88
89
90
91
92
93
94
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