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동"(으)로 총 4,032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도마뱀붙이가 물 위를 뛰는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12월 6일, 국제 공동 연구팀이 도마뱀붙이가 물 위를 뛰는 원리를 밝혔어요. 초고속 카메라로 도마뱀붙이의 움직임을 촬영한 영상을 분석한 결과, 발바닥과 꼬리의 움직임, 소수성 피부, 물의 표면장력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는 점을 알아냈지요. 먼저 도마뱀붙이의 발이 물과 부딪혀 생긴 공기 ... ...
- Part 5. 전문가에게 물었다 제2의 달 탐사 경쟁, 한국은?과학동아 l2019년 01호
- Touchdown)’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NASA는 애스트로보틱을 포함한 민간 기업 3곳과 우주개발 공동연구 협약(SAA)을 맺었다. 카탈리스트는 우리말로 ‘촉매’를 뜻한다. 댄 헨드릭슨 애스트로보틱 비즈니스 총괄 부사장은 “NASA의 엔지니어들이 랜더와 로버 개발에 직접 참여하고 있다”며 “단순히 ... ...
- [서울대 공대|재료공학부] 현대판 연금술사 키운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잘 모를 것 같아 새로운 시도를 했다”고 말했다. 바로 2018년 여름 서울대 미대와 공동 기획한 금속공예 실습수업이다. 이 프로그램은 창의융합교육이라는 이름으로 미대에서 10주간 진행됐고, 결과물도 전시했다. 주 학부장은 “처음에는 학생들이 실제 금속을 손으로 만지고 다루는 것을 어색해 ... ...
- [과학뉴스] 블루투스 전자알약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12월 13일,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와 브리검여성병원 공동연구팀은 전자알약을 만들었다고 밝혔어요. 캡슐 모양인 이 알약은 블루투스를 이용해 사용자의 스마트폰 앱으로 직접 조종할 수 있지요. 전자알약은 한 달 동안 환자의 위장에 머물며 환자의 건강 상태를 살피고, 상황에 따라 적합한 ... ...
- [과학뉴스] 도마뱀붙이는 물 위에서도 달릴 수 있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결과가 나왔다.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버클리)와 록펠러대, 영국 옥스퍼드대 등 공동 연구팀은 도마뱀붙이가 수조 물 위를 걷는 장면을 고속 카메라로 촬영한 뒤 동작을 면밀히 관찰했다. 그 결과, 도마뱀붙이는 백조처럼 발로 물을 밀어내는 힘으로 전진했다. 또 이때 공기주머니가 생성돼 ... ...
- Part 4. 美 민간 기업과 손잡고 2026년 달 정거장 만든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예정이다. 애스트로보틱의 시니어 리서치과학자인 앤드류 호르슐러는 “NASA와 28건의 공동연구 협약을 맺고 있다”며 “랜더를 제작하는 기술뿐 아니라 랜더를 정확히 착륙시키는 기술, 내비게이션 시스템 등 기초 기술 분야에서도 협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애스트로보틱 연구진들은 ... ...
- Part 3. 22년 동안 리만 가설에 도전한 수학자 이야기수학동아 l2019년 01호
- 미국에서 박사학위를 마치고 돌아와 김영원 서울대 수리과학부 교수와 한 차례 공동연구를 성공적으로 마친 직후였지요. 김 교수가 10년 정도 고민한 문제를 기하서 교수가 함께 풀기 시작하면서 3~4개월 만에 해결하자 다음 문제로 리만 가설을 제안한 겁니다. “리만 가설이 어떤 문제인지는 알고 ... ...
- [핫이슈] 크리스마스를 훔쳐라! 그린치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네덜란드 에라스무스대학교 캔 잉스 교수, 노르웨이 트롬쇠대학교 라스 포코우 교수 공동연구팀은 지난 2012년 열화상 카메라로 순록의 코를 관찰했어요. 그 결과 순록의 코에서 열이 난다는 사실을 확인했어요. 연구진은 순록의 코에 있는 모세혈관이 사람보다 25% 더 밀집해 있기 때문이라고 ... ...
- [가상인터뷰] 혹등고래가 세레나데를 멈춘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때는 노래를 안 불러? 혹등고래 : 응, 일본 오사가와라 고래관찰협회와 홋카이도대학교 공동연구진이 배가 지날 때 우리의 노랫소리가 어떻게 변하는지 관찰했대. 총 26마리의 혹등고래를 분석했지. 선박이 500m 이내에서 지나갈 때는 노래를 부르는 고래가 거의 없었고, 1200m 거리에서 지나갈 때는 ... ...
- 노벨 생리의학상, 암 정복의 길을 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1호
- 미국 텍사스대학교 제임스 앨리슨 교수와 일본 교토대학교 혼조 다스쿠 명예교수가 공동으로 수상했지요. 두 사람은 암 치료의 새로운 단계를 연 공로를 인정받았답니다. 우리 몸은 외부에서 바이러스가 침입하는 등 이상 상황이 생기면 면역 체계를 작동시켜요. 이때 ‘항원제시세포(APC)’는 ... ...
이전87888990919293949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