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다량
다수
풍부
d라이브러리
"
대량
"(으)로 총 1,604건 검색되었습니다.
기름 3L로 100km달리는 3리터카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아니었다. 중·대형 디젤엔진에 사용하는 직분형 엔진은 연비와 파워는 좋지만 단시간에
대량
의 연료를 분사하기 때문에 소음이 크고, 연료와 공기와의 혼합이 불완전해 매연이 많고 연소온도가 높아 인체에 해로운 질소산화물을 많이 배출하는 결점이 있다.이러한 단점 때문에 승용차에 탑재되는 ... ...
양(羊) 심장판막 인공배양에 성공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연례학술회의에서 발표했다.호어스트럽 박사는 양의 동맥세포를 채취해 시험관에서
대량
으로 배양했다. 그 다음 생분해성 고분자로 양의 심장판막과 똑같은 모형을 만들고 여기에 배양한 세포를 붙였다. 2주 후 모형에 붙은 세포들은 영양이 풍부한 배양실에서 증식을 거듭하면서 모형을 둘러싸기 ... ...
인간복제는 시간문제 복제양 돌리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포드(1863-1947)가 T형 자동차를 생산하기 위해 벨트라인 조립대를 도입한 1913년을 말하며,
대량
생산시대가 열린 해다). 수천년 동안 민족과 인종의 갈등을 겪어온 인류가 하나의 세계국가를 이룰 수 있었던 것은 생명복제에 의한 인간의 동일성 때문이었다.세계국가에서는 모든 인간이 ... ...
세상에서 가장 작은 레이저포 개발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모습을 떠올리면 된다. 비용이 훨씬 절감되면서 ‘입맛에 맞는’ 레이저광을 손쉽게
대량
으로 얻을 수 있는 장치다.차세대 반도체레이저 개발에 성과를 올리고 있는 곳은 세계적으로 얼마 안된다. 이교수는 이미 국제적인 전문저널에 발표할만한 결과물을 만들어냈다. "세상에서 가장 미세한 ... ...
Ⅴ. 한국형 인간게놈프로젝트 10년간 1천억 투자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전통적으로 발효산업 분야에 많은 노하우가 축적돼 있다. 그런데 현재 발효 미생물을
대량
으로 기르기 위해서는 당분과 같은 탄소에너지가 적지 않게 필요하다. 만일 탄소에너지 없이도 왕성하게 증식하는 미생물이 있다면 발효산업이 획기적으로 발달할 것이다. 그런데 자연에 존재하는 미생물을 ... ...
④ 마이크로 프런티어가 해결한 의료기술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감정을 가진 로봇이 우리의 친구가 돼 줄 수 있을까.● 2004년질병에 강할 뿐 아니라
대량
수확이 가능한 유전자 변형 품종이 보급된다.● 2012년◎인공적으로 만들어진 헤모글로빈으로 빈혈같은 질병이 치료된다.◎또 개개인의 유전자 정보가 질병을 진단하고 치료하는데 쓰인다(2015년).● 201 ... ...
1. 암정복의 꿈이 현실로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혈관의 형성을 억제해 암세포의 크기를 뚜렷이 줄인다는 점이 입증됐다. 그러나 이들은
대량
생산이 쉽지 않고 실험이 잘 재현되지 않아 현재 임상시험이 보류되고 있다. 그래서 과학자들은 임상시험에 돌입할 새로운 화합물을 개발하는데 열을 올리고 있다.암과 달리 에이즈는 외부의 병원균의 ... ...
인간 유전자에 특허 매겨진다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그곳에서 만들어지고 있는 것이다.의사는 산도스라는 제약회사와 함께 이 비장 세포를
대량
으로 배양하는 기술을 개발하고는 1984년 이 ‘발명’에 대해 특허를 얻었다. 30억달러 이상의 돈을 벌 수 있는 기술이었다. 물론 무어에게는 이 사실을 알리지 않았다.뒤늦게 상황을 파악한 무어는 소송을 ... ...
북극에서 온편지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종들이었다. 이들은 아주 찬 얼음 속에서만 자라는 그런 종들이었다. 바닷물 속에서
대량
증식하던 종들에 비해 종의 수가 많은 것으로 미루어 보아, 해빙이라는 환경은 이들이 서식하기에 아주 안정된 곳임을 알 수 있었다.북극은 우리가 상상하는 혹독한 환경이 아닌 나름대로 오랜 기간 적응해온 ... ...
메기에서 강력한 항균물질 발견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10-1백배 뛰어난 항생물질이 발견됐다.다음 단계는 이 물질을 유전공학 기법을 이용해
대량
생산 하는 일이었다. 이 역시 김교수이 실험실에서 문제 없이 이뤄졌다.김교수가 최근 새롭게 관심을 가진 동물은 메기였다 .월남전에 참가한 사람으로부터 분뇨통에서 메기가 튀어올라 깜짝 놀랐다.는 말을 ... ...
이전
87
88
89
90
91
92
93
94
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