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큰길
한길
대도
가로수 길
d라이브러리
"
대로
"(으)로 총 2,233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으로 쏙쏙 밀어 넣는 포켓 당구
수학동아
l
2011년 03호
아니잖아요. 정신력 싸움이죠. 하루에 거의 5~6시간씩 연습을 했어요. 만약 급한 성격
대로
고집을 부렸다면 지금의 위치까지 못 올라왔을 거예요. 당구를 배우면서 마음을 다스리는 법을 배웠죠. 그게 제 인생인 것 같아요.”또한 그녀는 자신이 당구 선수로 성공하게 된 것은 뒤에서 변함없이 ... ...
집합 바로 알기!
수학동아
l
2011년 03호
궁금합니다! ●선생님, ‘집합’이란 대체 어떤 것을 말하나요?우선 교과서에 나온
대로
적어보면, 집합이란 주어진 조건에 따라 그 대상을 분명히 알 수 있는 것들의 모임이에요. 이때 조건은 명확한 기준이어야 하는데, 내가 아닌 다른 사람이 생각할 때도 모두 같은 대답이 나와야 하죠. 예를 ... ...
Part1. 당신은 호모 사피엔스 100%인가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아프리카로 대규모로 이동하지 않았다는 가정하에서다.의심받는 완전대체론앞서 설명한
대로
, 지금까지 모든 인류는 아프리카에서 나온 하나의 종(호모 사피엔스)이 다른 종(네안데르탈인이나 호모 에렉투스 등)을 대체했다는 이론이 많은 학자들의 지지를 받았다. 이를 ‘완전대체론’이라고 한다 ... ...
파리는 어떻게 벽에 달라붙나?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안 된다. 어떻게 곤충은 끈적끈적한 물질이 묻은 다리를 금세 다시 들어 올리는 것일까.반
대로
끈적거리지 않는 물질이라고 해도 이상하다. 만약 다리가 끈적거리지 않는 액체 물질에 젖어 있다면 오히려 더 미끄러울 것이기 때문이다. 걸레질을 하거나 물을 쏟은 바닥이 더 미끄럽다는 건 우리는 ... ...
[수학으로 영화 보기] 외계인과 몬스터는 지구에서 셈하기 답답해
수학동아
l
2011년 03호
관심사도 서로 다른 외계인들과 괴물들. 아예 각자 자기에게 편한 진법을 선택해 마음
대로
쓰라고 하면 어떨까? 그렇게 되면 불만이 생길 일이 없어 보이지만 절대 그렇진 않을 것 같다.애니메이션 ‘몬스터 주식회사’의 마지막 장면으로 이런 상상을 한번 해 보자. 몬스터인 설리와 사람인 꼬마 ... ...
소개팅에서 성공하는 사랑방정식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수는 없는 일 아니겠는가. 한 번 지나간 버스는 다시 오지 않으니 말이다.이런 가정을 토
대로
조합과 확률을 이용해 계산했다. 첫 만남이 최고일 확률은 100분 1, 1% 밖에 되지 않는다. 1명을 보고 그냥 지나보낸 뒤 2번째 만남이 최고일 확률은 5%로 올라간다. 2명을 본 뒤 그 둘과 비교해 세 번째가 ... ...
모두가 승리한 로봇 축제 FLL 체험기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다른 동료는 로봇이 혈관에 스텐트를 밀어 넣는 도구를 만들며 “간단한 동작도 마음
대로
되지 않네”라고 했다. 사람이 빈 통 안에 물건을 집어넣을 때는 그야말로 ‘감각적’으로 높이와 위치를 잡고 적당한 힘을 줘 집어넣는다. 하지만 로봇은 그렇지 못했다. 정확한 위치와 높이에서 스텐트를 ... ...
국제동물농부협회 참관기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공격하지는 않지만 영양원(나뭇잎)을 고갈시키는 잡초(다른 종류의 곰팡이)는 보이는
대로
집어다 내 버립니다.저희가 이사를 하거나 천재지변이 생겨 개미가 몰사하면 남겨진 농장이 순식간에 잡초와 병충으로 들끓죠. [➊ 개미집은 거주하는 개미가 800만 마리에 이를 정도로 거대한 하나의 ... ...
10억분의 1m 여행으로 꿈을 심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내일 공부할 것을 머릿속에 새겨 넣었다.체험교육 통해 과학지식 전파할 것약속
대로
학생들은 다음 날 클린룸을 방문해 반도체의 원료인 실리콘 박막(웨이퍼)에 전자회로 패턴을 새기는 과정을 지켜봤다. 그리고 웨이퍼 위에 나노가공장비인 ‘집속이온빔’을 이용해 nm(나노미터, 1nm=10억분의 1m) ... ...
스털링 엔진 HB-31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않았다. 에너지를 외부에서 얻는 ‘외연기관’이어서 덩치가 크고, 무엇보다 원하는
대로
속도조절을 하기가 어려웠기 때문이다.최근 환경 문제가 주된 관심사가 되면서 에너지 효율이 높은 스털링 엔진이 다시 주목받기 시작했다. 예를 들어 태양광을 돋보기, 거울 등으로 모아 스털링 엔진에 ... ...
이전
87
88
89
90
91
92
93
94
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