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견본
본보기
모델
표본
자모
원형
틀거
d라이브러리
"
모형
"(으)로 총 1,599건 검색되었습니다.
새들이 군무를 추는 이유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무리짓기에 끼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무리지능이 똑똑한 이유바이오드
모형
에서 무리를 이루는 개체의 행동은 단순하다. 각 개체는 상호 협력을 통해 복잡하지만 잘 조직화된 집단행동을 보여준다. 이렇게 각 개체가 상호작용을 통해 스스로 새로운 패턴을 만들어 내는 현상을 ... ...
통합적 사고로 명품 배 디자인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떠 있을 수 있는 구조를 연구하는 일이다. 연구팀은 가상파도를 만들 수 있는 예인수조에
모형
배를 띄워 두고 불철주야로 연구하고 있다.이 밖에도 요트의 돛 형태를 바람의 흐름에 맞춰 설계하는 ‘유체구조연성’ 등 선박공학과 관련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 교수는 유체역학을 선박에 ... ...
2011학년도 과학고 입시, 이색 합격자 늘어
수학동아
l
2011년 01호
발표했다. 이듬해에는 학교 급식 배식대에서 학생들이 대기하는 행렬을 수학적
모형
으로 분석해 국제청소년학술대회에 발표하기도 했다. 사소한 것도 그냥 지나치지 않고 수학으로 생각해 보는 습관이 그의 연구에 큰 도움이 됐다.이예찬 군은 검정고시 출신으로는 처음으로 한성과학고에 합격해 ... ...
‘2010 노벨사이언스 국가안보체험전'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전차 ‘흑표’.➎ 스타워즈 등 SF 영화에서 볼 수 있는 레이저 총도 있다.➏ 훈련기 KT-1의
모형
을 조립해 볼 수 있는 자리도 마련해 놓았다.국내에서 개발한 휴대용 대공 유도무기 ‘신궁’을 발사하려고 아이들이 길게 줄을 섰다. 진짜 무기가 아니라 가상 현실 장치다. 화면에 적군의 전투기가 ... ...
인공 파도 속 해양강국의 꿈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시간을 PIV 장비와 뒤엉켜 지냈다. 지난해 9월에는 드디어 첫 번째 모델을 이용해
모형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대성공이었다. 그동안의 고생스러움이 눈 녹듯이 녹아내렸다. 아직 초보적인 수준의 실험 결과지만, 국내 최초라는 자부심을 갖고 있다. 지금은 두 번째 실험모델을 구상하고 있다. PIV ... ...
과학동아 특집 ‘코리아노사우루스’ 정식 학명 됐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공룡알화석지에서 ‘코리아노사우루스 보성엔시스’의 화석을 발굴했으며 최근 실물
모형
을 공개했다. 코리아노사우루스는 생물을 분류하는 기준 중 ‘속명’이다.“예전부터 한국을 알릴 수 있는 공룡을 발굴하고 싶었어요. 과학동아의 특집 제목이었던 ‘코리아노사우루스’란 이름을 계속 ... ...
과학창의재단 ‘생활과학교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여기저기에 형형색색의 종이가 보인다. 학생들이 가위로 오리고 접어서 만든
모형
헬리콥터다. 학생들은 책상 위에 올라 가 종이 헬리콥터의 프로펠러를 회전시킨 후 떨어뜨린다. 종이 헬리콥터는 공중에 잠시 떠 있다가 프로펠러가 멈추면 즉시 떨어진다. 헬리콥터가 공중에 떠 있는 시간을 ... ...
[물리] 전기와 자기의 상호작용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곱을 말한다. 코일면의 법선과 자기장이 이루는 각이 θ라면 자속은 Φ =BAcosθ이다.이
모형
을 이용해 유도기전력의 방향을 찾을때는 자속의 방향도 고려해야 한다. 유도기전력의 크기는 도선의 감은 수와 자속의 시간 변화율에 비례한다. 자기장 속에서 전류가 흐르는 도선이 받는 힘균일한 ... ...
변화무쌍 수조 진짜 남극바다에 도전하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09년 말 완공했다.캐비테이션 터널 수조의 별명은 ‘선박용 러닝머신’이다. 터널 중간에
모형
선을 고정시키고 터널 내부에 물을 순환시키기 때문이다. 캐비테이션 터널 수조는 프로펠러의 캐비테이션 정도를 측정한다. 캐비테이션은 프로펠러 날개 표면에 공기방울이 생기는 현상인데, 심하면 ... ...
우주 끝까지 외계행성 찾는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별과 행성의 위치, 질량 등 여러 개의 변수를 조정해 중력렌즈 현상에 의한 밝기 변화
모형
을 만들고, 왜곡현상이 관측된 자료와 비교하면 외계행성의 존재 여부를 알 수 있다.이제까지 설명한 방법은 각각 특징이 있다. 별에 가까이 공전하는 행성은 분리해 관측하기 어렵다. 그래서 직접 촬영하는 ... ...
이전
87
88
89
90
91
92
93
94
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