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나사
d라이브러리
"
미국 항공 우주국
"(으)로 총 1,488건 검색되었습니다.
아폴로 박사 조경철을 그리며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펜실베이니아대에서 천문학 박사학위를 받은 뒤
미국항공우주국
(NASA)에 한국인으로는 첫 연구원이 됐다. 이후 메릴랜드대 교수 등을 거쳐 1969년부터 연세대에서 교편을 잡았다. 몇 년 전 재미과학자인 신재원 박사가 한국인으로는 처음으로 NASA 국장보급인
항공
연구부문 총책임자에 오르면서 ... ...
화석대소동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저 미화석만 겪어 본 특이한 연구거든요.1996년,
미국항공우주국
(NASA) 존슨우주센터의 데이비드 매케이 박사는 남극에서 발견된 ALH84001이라는 운석에서 미화석을 발견했다고 주장했어요. ALH84001은 약 39억 년 전에 화성에서 만들어진 돌이에요. 매케이 박사는 여기에 당시 화성에 살던 미생물이 화석이 ... ...
허블, 새로운 눈으로 우주를 담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19일 마지막 수리를 마치고 퇴역을 앞두고 있다.
미국
이나 유럽, 일본 같은 우주선진국들의 차세대 ... 수 있다. 현재 우주 나이는 137억 년이다. 유럽
우주국
(ESA)에서 지난해 5월 쏘아올린 ‘허셜’과 일본우주
항공
연구개발기구(JAXA)에서 2012년 발사를 목표로 개발 중인 ‘스피카’도 JWST의 막강한 ... ...
끝없는 도전의 산물 NASA 우주복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사실은 여러 실험에서 이미 증명됐다. 1965년
미국항공우주국
(NASA)의 한 연구 시설의 저압실 안에서는 테스트 중이던 우주복이 터지면서 사람이 진공상태에 노출되는 사고가 일어났다. 당시 이 남성은 진공 상태에 노출된 지 약 15초 만에 의식을 잃었는데, 이는 산소가 부족한 피가 폐에서 뇌까지 ... ...
두 소행성 충돌이 낳은 우주방랑자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최근
미국항공우주국
(NASA)이 두 소행성이 충돌해 생긴 것으로 추정되는 혜성 ‘P/2010 A2’의 사진을 공개했다. 이 혜성은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소속 링컨지구근접소행성연구팀(LINEAR)이 1월 6일 처음 발견했다.시속 17만km로 우주를 날아다니는 이 혜성은 태양에서 3억km, 지구에서 9000만km 떨어진 곳을 . ...
블랙홀 ‘식성’, 생각보다 까다롭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하버드대 천문학과 로만 슈체르바코프 박사팀은
미국항공우주국
(NASA)의 찬드라 X선 우주망원경으로 ‘궁수자리 A*’로 명명된 블랙홀(사진)을 2주간 관찰한 결과 빨아들인 우주먼지의 99.99%를 다시 내뱉는다는 사실을 알아냈다.당초 과학자들은 블랙홀이 빨아들인 먼지의 1% 정도를 흡수할 거라 ... ...
블랙홀을 연료 삼아 우주 여행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무게를 포함하지 않은 것이다. 참고로
미국항공우주국
(NASA)이 만든 우주왕복선은 고작 2000t에 지나지 않는다.연료 무게만 획기적으로 줄여도 장거리 우주여행의 가능성이 조금이나마 열리는 셈이다. 그렇다면 암흑물질을 어떻게 우주선의 연료로 사용할 수 있을까. 암흑물질의 정체도 아직 밝혀지지 ... ...
웰컴투 초음속 월드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아직 연구 중인 엔진으로, 지난해 12월 초에
미국항공우주국
에서 시험 비행에 성공했답니다.❶ 스크램제트는 미사일용 엔진으로도 개발되고 있다.
미국
은 지난 12월 9일 스크램제트 미사일 ‘X-51A(흰색미사일)’의 시험비행을 실시했다.❷ 현재 전투기에 이용되는 제트엔진은 소리의 속도의 2배 ... ...
수성에서 발견된 ‘검은 물체’ 미스터리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미국항공우주국
(NASA)의 탐사선 ‘메신저’가 촬영한 수성 사진이 때 아닌 외계생명체 논란에 휩싸였다. 문제의 사진은 NASA가 최근 메신저가 지난 7월 촬영한 사진을 홈페이지에 올리면서 눈길을 끌기 시작했다.NASA 측은 사진 설명에서 “수성에서 촬영한 사진 오른쪽 아래 크레이터에 나타나는 ... ...
밤에 더 빛나는 구름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미국항공우주국
(NASA)은 최근 ‘중간권 얼음현상 대기물리학(AIM)’위성이 포착한 야광운(夜光雲) 사진을 공개했다. 야광운은 극지방과 노르웨이, 알래스카 같은 고위도 지방의 밤하늘 80km 상공에서 빛을 발하는 구름을 말한다. 지구에서 가장 높이 떠 있어 해가 진 뒤에도 햇빛을 계속 반사한다. ... ...
이전
87
88
89
90
91
92
93
94
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