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부
구분
일환
일부분
부문
조각
분류
d라이브러리
"
부분
"(으)로 총 8,360건 검색되었습니다.
[통합과학 교과서] 저 우주의 별을 따다 주세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2호
모았다는 결과가 나왔어요. 천문학자들이 촬영한 원시 행성계 원반의 가장 밝은
부분
에서 행성이 만들어지는 중이란 거죠. 안토니 보칼레티 박사는 “AB Aurigae는 행성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행성계로, 앞으로 더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라 밝혔어요. 꿀록 ... ...
또 하나의 태양을 지구에 재현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다른 친환경 에너지와 함께 발전할 수 있다. 핵융합 발전이 성공해 에너지 수요의 상당
부분
을 채우고, 지역 환경에 맞는 소규모 친환경 발전, 에너지 절약이 병행된다면 인류는 비로소 화석연료의 굴레를 끊고 지구에서 문명을 지속시켜 나갈 수 있을 것이다. ※필자소개남용운. 서울대 ... ...
세계 상위 0.1% AI 고수를 만나다 “데이터가 있는 곳이면 어디든, AI가 있습니다”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선임연구원은 캐글 중독자답게(?) 커뮤니티도 운영하고 있다. 국내 AI 관련 커뮤니티는 대
부분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인 페이스북에 마련돼 있다. 국내에서 가장 유명한 AI 커뮤니티인 ‘텐서플로우 코리아’와 ‘AI 코리아’ 역시 페이스북에 자리하고 있다. 이 선임연구원이 운영하는 캐글 ... ...
욕은 왜 하는 걸까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앓고 있다. 이들의 뇌를 자기공명영상(MRI)으로 촬영한 결과 정상인과 비교해 대뇌피질
부분
은 비활성화된 반면 변연계가 과도하게 활성화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문에 논리적인 언어생활은 힘들지만, 과거에 들었던 욕설 한두 개를 무의식적으로 내뱉는다. doi: 10.1016/S0272-7358(98)00059-2 이처럼 ... ...
[특집] 직접 만들면 전율! 미궁 게임
수학동아
l
2020년 12호
똑똑한 사람만 깰 수 있는 미궁 게임은 몇몇 사람만 즐길 수 있잖아요. 문제를 만들 때 이
부분
을 가장 신경써서 창의력을 요하는 퍼즐 문제를 많이 내요. 색다른 도전도 하는데요, 제가 만든 미궁 게임 ‘TWOSET’은 두 명이 각자가 받은 이미지만 보면서 서로 협력해 문제를 푸는 거예요. 5만 명이 ... ...
‘생체 시계’ 텔로미어 자라게 하는 비밀?알트(ALT)에 주목하라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이런 알트에 대한 지식을 이용해 암 정복을 위한 치료법을 찾고자 한다. 특히 알트를
부분
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약물이 알트를 가진 암의 성장과 증식을 억제하는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텔로미어에서 알트가 발생하는 암세포를 가진 환자의 치료 성공률이 일반적인 암 환자에 비해 낮다고 ... ...
꼭꼭 숨은 카메라, 과학이 검거한다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말했습니다. 이런 문제는 주파수 탐지기를 이용하면 일부 해결할 수 있습니다. 대
부분
의 불법 촬영 카메라는 범죄자에게 영상을 전송하기 위해 무선 통신을 이용합니다. 대략 800~2400MHz(메가헤르츠· 1MHz는100만Hz)의 주파수 대역이 사용됩니다. 해상도가 높은 영상의 경우 5000MHz 이상의 주파수 대역을 ... ...
[한페이지 뉴스] ‘이이제이(以夷制夷)’ , 땀으로 땀 배출 막는다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인체에 무해해 식품첨가물로도 사용되는 화학물질이다.그 결과 미세 유리관 출구
부분
에 땀이 맺히기 시작한 지 3분 30초 만에 인공 땀 속 화학물질들이 결정을 이룬 겔 형태의 물질이 형성됐다. 겔 형태의 물질은 미세 유리관 출구를 막아 땀이 새어나오지 않게 했다. 인공 땀을 밀어내는 압력을 ... ...
천문대장이 내는 이달의 퀴즈 / 이달의 천체사진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2호
볼 수 있답니다. 안타깝게도 태양을 모두 가리는 개기일식이 아니라 일
부분
만 가리는
부분
일식이지요. 서울을 기준으로 오후 3시 53분에 해를 가리기 시작해서 오후 5시 2분에 최대로 가려져요. 그러다 오후 6시 4분에 끝나지요. 지구촌 일부 지역에서는 태양의 가장자리만 보이는 금환일식을 볼 수 ... ...
[별헤는수학] 우리가 그린 나선이 블랙홀 연구를 돕는다!
수학동아
l
2020년 12호
사진입니다. 사진처럼 측면에서 타원 모양으로 촬영된 은하의 사진에서 지름이 짧은
부분
을 늘려서 원 모양에 가깝게 만들고 위에서 촬영한 것처럼 수정합니다. 지구에서 바라본 우주의 은하들은 이렇게 위치에 따라 촬영 각도가 제각각이기 때문에 원에 가까운 모습으로 변환해야 나선을 확인하고 ... ...
이전
87
88
89
90
91
92
93
94
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