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뜻밖
의외
생각밖
d라이브러리
"
예상밖
"(으)로 총 1,030건 검색되었습니다.
빠르다 안전하다 쾌적하다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미래의 자동차는 어떠할까? '보다 빠르고 안전하고 쾌적한' 것을 목표로 자동차회사와 연구소에서는 차세대 자동차기술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한국기계연구소는 최근 미국 IITRI연구소에 의뢰해 향후 5년내에 실용화될 '10대 자동차기술'의 최신동향을 조사했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미래의 자 ... ...
ASIC 미래의 반도체를 주도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메모리분야에 치우친 국내반도체산업이 ASIC에 대한 집중투자로 변신을 시도하고 있다. 반도체가 이용되는 모든 첨단제품에 필수적인 ASIC에 대해 자세히 알아본다.흔히 주문형 반도체라 불리우는 ASIC의 정확한 명칭은 특정 용도용 집적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이다. 이것은 어떤 특정한 ... ...
PART Ⅱ 태양의 8대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흑점 코로나 플레어 루프 태양상수 태양풍 뉴트리노 등 태양과 관련된 여러 현상들의 실체는 무엇일까?흑점의 11년 주기란?태양표면에 나타나는 흑점의 개수가 주기적으로 증감한다는 사실은 12년간의 대 관측결과를 정리한 '슈바베'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다. 그러나 이 발견은 당시의 사람들에게 ... ...
PARTⅠ지구에 어떤 영향을 주나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태양의 움직임이 심상치 않다. 11년 주기보다 2년이나 빨리 흑점과 플레어가 활동하기 시작한 것.지난 3월 초 1천문단위 떨어진 태양에서는 엄청난 규모의 흑점이 출현, 천문학계에 큰 화제를 뿌렸다. 흑점의 크기는 지구를 무려 70개나 삼켜버릴 정도였으며, 태양이 얇은 구름에 가려질 때에는 맨 눈 ... ...
part II 신문경쟁의 핵「CTS시스팀」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언론규제가 풀리면서 신문의 자유경쟁시대가 막이 열리고 속속 새로운 신문들이 창간되고 있다. 신생언론들은 하나같이 ‘신문제작의 현대화 과학화’를 내세워 CTS시스팀을 도입하고 있다. 게다가 기존 일간지들도 사옥신축 등을 계기로 90년대 초반까지 대대적인‘CTS화’를 계획하고 있어 CTS시 ... ...
해류, 기상을 지배한다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해류(海流)는 어떻게 형성되는가. 바람과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는 해류는 기후형성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친다.해류란 시공간적으로 거의 변동이 없는 규칙적인 해수의 흐름을 말한다. 해류는 바다의 전역에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마치 바닷속에 묻힌 강과 같이 해양의 특정한 길을 따라 흐르고 있 ... ...
인공장기 시대를 여는 신소재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소재혁명은 인간이 생명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인 장기(臟器)를 인공적으로 만들어 대체시키는데까지 진전되고 있다.인공장기시대가 활짝 열리고 있다. 인공심장 인공폐 인공관절 인공신장에서 인공피부에 이르기까지, 손상된 생체조직을 복원하려는 인간의 노력은 이제 결실을 맺어가고 있다. 아 ... ...
망원경을 가진 인어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해양학은 만능박사가 되고 싶었던 나에게 꼭 알맞는 학문. 더욱이 해양실습은 결코 잊을 수 없는 체험이 되고…바다에 관해서 무엇을 아십니까? 이지구 표면의 70%가 물로 덮여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더라면 아마 지구라고 명명하지 않고 ‘해구’라고 이름 지었을 것이다. 물론 나는 해구가 훨씬 ... ...
발암물질「알라」가 일으킨 파문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소비자문제를 연구하는 시민의 모임’이 미국에서 수입한 자몽(grape fruit)에 발암물질인 농약 ‘알라’가 들어 있다고 경고한 후 이를 둘러싼 한·미간의 공방이 좀처럼 가라앉을 줄 모르고 있다.‘시민의 모임’측은 국립농약연구소에 의뢰하여 얻어진 결과와 외국에서 보내온 몇몇 자료들을 근 ... ...
리드프레임 소재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일반적으로 강도가 커지면 전기전도도는 작아진다. 또 강도가 커지면 연신율은 떨어진다. 그러나 강도도 커지고 전기전도도와 연신율도 함께 올라가는 합금이 있다.필자는 미국에서 11년간의 유학 및 연구생활을 하다가 1979년부터 과학기술원 교수로 부임하게 되었다. 원래 나사(NASA) 등지에서 합금 ... ...
이전
87
88
89
90
91
92
93
94
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