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달
발전
성장
향상
전개
발육
화재진압
d라이브러리
"
진화
"(으)로 총 3,203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그들의 동거는 언제 시작됐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미토콘드리아의 한 구석에 있을지도 모르겠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진화
이끈 작은거인 미토콘드리아Part 1. 그들의 동거는 언제 시작됐을까Part 2. 미토콘드리아에 새겨진 인류의 기원Part 3. 미토콘드리아 바꾼 ‘세 부모 아이’ 안전할까Part 4. 뇌질환과 암의 열쇠가 ... ...
[Knowledge] ‘죽음의 손가락’ 지닌 기이한 원숭이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보고 존재의 가치를 쉽게 판단한다. 하지만 그들의 현재 모습은 아이아이처럼 경이로운
진화
의 결과다. 생명체들이 수천만 년 동안 지구상에 존재하고 살아남아 있는 데에는 분명 비결이 있다 ... ...
[Tech & Fun] 당신의 여름은, 어떤 냄새인가요?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있어도 감지할 수 있을 정도다. 원인이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는 않지만, 일부 학자들은
진화
적으로 설명한다. 호주 퀸즐랜드대 인류학과 다이아나 영 교수는 기고문에서 “과거 농경사회에서는 여름의 시작을 알리는 첫 비가 아주 중요한 사건이었다”며 “동물들에게도 물을 찾는 일은 생존과 ... ...
[과학뉴스] 거대 블랙홀 품은 꼬마 은하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은하는
진화
과정에서 내부에 있는 블랙홀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며 “은하의
진화
를 연구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천체물리학저널 레터스’ 3월 17일자에 실렸다 ... ...
[Knowledge] 청산가리 가득한 대나무를 먹는다?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유구한 세월 동안 황금대나무여우원숭이와 대나무가 공
진화
를 해왔을 거라고 추측할 뿐이다.현재 지구상의 모든 살아있는 영장류들은 살벌한 생존게임의 최종 승자다. 이들은 지금도 계속해서 새로운 도전자들을 상대로 치열하게 방어전을 펼치고 있는 위대한 존재다. ... ...
Part 4 인간과 기계의 경계가 무너진다 ... 우리의 선택은?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못하겠다고 주장하는 사람이 여전히 있다는 사실은 역으로, 인간 지위의 문제와 관련해
진화
론이 야기한 충격이 얼마나 근본적인 수준의 것이었는지를 잘 보여준다. 인간의 기계화, 네 번째 불연속이 온다프로이트의 무의식 이론은 인간이 이성적 존재라는 주장을 위협했다. 데카르트에게 자아란, ... ...
[Knowledge] 생명과학의 성배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개체의 포괄 적합도를 최대화한다.‘유전자의 눈’ 관점의 씨앗을 심다자연선택에 의한
진화
는 개체가 무엇을 최대화하게끔 행동하게 만들까? 해밀턴이 찾은 정답은 포괄 적합도, 즉 어떤 행동이 당사자의 적합도에 끼친 영향뿐만 아니라 그 유전자를 공유할지도 모르는 다른 개체의 적합도에 끼친 ... ...
[Tech & Fun] 물리학자, 언어의 특징을 밝히다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변화보다 많은지 적은지 한 눈에 알아볼 수 있다.네트워크의 통계적인 분석은 언어의
진화
뿐 아니라 다양한 사회, 문화적 현상을 분석하는 데도 유용하게 쓰인다. 올해 초에도 네트워크를 이용해 여러 나라의 도시별 경제 패턴이 얼마나 유사한지를 밝힌 윤 연구원의 논문이 영국 왕립학회 학술지 ... ...
Part 2. 수학으로 정체 밝히는 ‘플래닛 나인’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사실을 알아냈다. ➍ 플래닛 나인은 얼음행성한편 스위스 베른대에서 행성의 탄생과
진화
과정을 연구하는 크리스토프 모르다시니 박사는 플래닛 나인이 천왕성이나 해왕성과 매우 비슷한 환경일 것으로 가정했다. 그리고 플래닛 나인의 지름과 태양으로부터의 거리 같은 데이터를 자체 개발한 ... ...
[Knowledge] 파충류 뇌라고 무시하는 거야?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그 어느 누구의 도움 없이 혼자서 해결해야 하기에의사결정을 빠르게 하는 방향으로
진화
했다는 것이 뮐러-파울라의 설명이다.스테고사우루스는 전기 달팽이의 꿈을 꾸는가2016년 4월 말에는 독일 막스플랑크 두뇌연구소의 마크 셰인-델슨 박사팀이 놀라운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파충류들이 우리와 ... ...
이전
87
88
89
90
91
92
93
94
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