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창작
신설
창시
창설
독창
창안
천지창조
d라이브러리
"
창조
"(으)로 총 1,184건 검색되었습니다.
(2) 「서비스 질」개선, 회원확보의 열쇠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주로 주고받는데 비해 IC네트는 컬러화상정보를 서비스하는 PC통신망이다. 한국정보
창조
(주)가 지난해 11월부터 제공하는 이 서비스는 아직 시험서비스 단계로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현재 제공되는 서비스는 뉴스 바둑 공개자료실 정도지만 이 서비스가 앞으로 개척할 분야는 무궁무진하다. ... ...
"공고에서 과학교사가 할일이 있나?"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시작했다.'과학수업의 목표가 과학자를 기르는 것일까? 아니면 과학적 소양을 가진
창조
적인 인간을 기르는 것일까?''과학교과서의 내용이 지나치게 과학자의 세계만을 주입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과학도 결국 사회에 어떻게 기여하는가에 의해 그 가치가 판단된다고 볼 때 과학과 사회의 ... ...
원자력에너지의 두기둥, 어떻게 다른가?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참으로 엄청나고 멋있는 방법이기는 하지만 애석하게도 지구상에서 이와같은 조건을
창조
해 낸다는 것은 불가능하다.태양은 거대한 핵융합로다음으로 우리가 잘 아는 수소폭탄이 있다. 중수소와 삼중수소를 섞어놓고 원자폭탄을 터뜨려 강력한 충격을 가하면 어떤 결과가 생길까. 이렇게 ... ...
바퀴벌레와 컴퓨터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지난 지금도 크게 틀린 것은 아니었다는 생각이다. 그와 같은 표현은 작가 돈 마키스가
창조
한 그 유명한 아치를 필자가 인상깊게 기억한 데서 비롯됐는데 그 소설속에서 아치라는 이름의 곤충이 지능을 가졌던 이유는 시인이었던 아치의 영혼이 불행하게도 바퀴벌레의 몸으로 다시 태어났던 ... ...
(2) 상식을 벗어난 네가지 특수소재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엄청나게 많으며 분자설계라는 기술을 이용해 앞으로도 수없이 많은 새로운 플라스틱을
창조
해낼 수 있다는 점이다.공액이중결합 물질을 도핑하면분자설계란 우리 주위에 무한하게 많은 탄소(C) 수소(H) 및 산소(O)를 주축으로 질소(N) 염소(Cl) 플루오르(F) 유황(S) 등을 일부 결합하도록 계획하는 ... ...
${10}^{-29}$㎝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밤하늘에서 빛나고 있는 큰곰자리의 은하 M82 중심부가 혼란돼 있어, 과연 이것이 우주
창조
초기인 대폭발(Big Bang)이 아닌가 하는 조심스런 반응이다. 이때의 온도는 ${10}^{11}$ K 이상. 그때 이후 우주는 점점 식어서 지금과 같이 약 3K가 되었고 하나의 힘은 네종류의 힘으로 분류된 것처럼 존재하고 ... ...
컴퓨터가 연출하는 「영화의 마술」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로봇의 소리, 괴물의 소리, 레이저총소리, 최첨단 무기의 소리, 우주전투기의 소리 등은
창조
해내지 않으면 안된다.이같은 소리제작을 위해서 컴퓨터 디지털 신디사이저(computer digital synthesizer)와 액세스 믹서(access mixer) 등을 활용한다. 이 첨단악기들을 사용해 다양한 소리의 음량과 박자 그리고 이를 ... ...
교사 스스로 수업형태 개선해야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수도권의 학생들에게 현장학습을 실시하기에 적지라고 생각한다.부단한 자기 혁신만이
창조
적인 삶을 영위한다는 평범한 진리를 동료 교사와 학생들에게 편지로 전하면서 이만 맺는다 ... ...
「찻잔속의 태풍」 인공지능 만들기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묘한 재주를 가지고 있었다.그는 사이버네틱스(Cybernetics)라는 새로운 학문분야를
창조
했다. 사이버네틱스의 어원은 그리스어의 '배의 방향을 잡는 키잡이'라는 뜻이다. 사이버네틱스는 보통 인공두뇌학이라고 불린다. 이는 모든 생물체의 일반적인 적응과정을 수리적으로 정형화하는 것으로 이후에 ... ...
미국 과학자 대다수 SSC에 반대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않을 수 없다. 이에 따라 새로운 학설이 등장했다. "일본인은 본래
창조
적이지 않다.
창조
성을 측정하는 유일한 기준은 기초연구이고 이 분야에서 일본의 기여는 거의 없다. 일본인은 여기서 나온 과실인 기술을 이용해 돈을 벌었을 뿐이다. 일본은 구미의 기초연구에 무임승차했다." 따라서 걸프전과 ... ...
이전
87
88
89
90
91
92
93
94
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