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검
날붙이
나이프
도검
식칼
단도
면도칼
d라이브러리
"
칼
"(으)로 총 1,066건 검색되었습니다.
(1) 초기 우주때 태어난 1세대별 사라지고 5세대별 등장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있다. 그리고 사냥군의 허리띠를 따라 삼태성이라 부르는 세개의 별이 놓여있고,
칼
집 아랫쪽에는 유명한 오리온대성운이 보인다(사진2). 삼태성 중에서 동쪽에 있는 별주위에는 유명한 말머리성운이 위치한다(사진4). 육안으로 희미하게 보이는 오리온대성운을 망원경으로 살펴보면 (사진3)처럼 ... ...
흰꽃송이 반쪽만 물들이기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잎에서 추출한 색소를 분리하기 위해 1906년 처음 사용했습니다. 그는 긴 유리관에 탄산
칼
슘 분말을 넣고 그 위에 식물 색소를 넣은 다음 석유 에테르를 위로부터 주입했더니, 처음에 하나로 보이던 색소가 점점 밑으로 내려오면서 층이 생기고 여러 색으로 분리되는 것을 보았던 거죠. 오늘날 이것을 ... ...
물루동굴과 바코국립공원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아직까지 어떻게 그러한 모양을 가지게 됐는지는 자세히 밝혀지지 않았다. 가장자리가
칼
과 같이 날카로운 피나클의 높이는 20~30m. 큰 것은 45m짜리도 있다. 색깔이 변하는 원숭이 사라와크주의 중심지는 남서부의 쿠칭 시. 쿠칭에서 1시간 정도 북쪽으로 달리면 해변이 나타난다. 여기에서 ... ...
생물- 신경세포 3백억개 모인 거대한 정보처리용 컴퓨터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아픔은 모르는 뇌사람이 느끼는 온갖 고통은 뇌를 통해서 느껴지지만 막상 뇌 자신은
칼
로 잘려지더라도 아픔을 느끼지 못한다. 그러므로 뇌 수술은 환자에게 일체 마취를 하지 않은 채 실시되는데, 그렇기 때문에 뇌를 연구하는 학자들은 뇌의 특정 부위를 전기로 자극함으로써 그 반응을 관찰할 수 ... ...
지문검출에 획기적인 방법 개발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담당하던 그는 어느날 지문 담당자로부터 "기기를 사용해 결과를 내놓아도 지문처럼
칼
로 자르듯 범인 을 알아낼 수는 없을 것"이라는 말을 듣게 된다. 이에 충격을 받은 그는 새 지문검출법 개발에 집념을 불태웠다고 한다. 이번 방법은 미첼 이후 지문검출에 관한 70년만의 꿈을 실현시킨 것이라 할 ... ...
시조새는 날았을까 걸었을까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결여된 것을 보면 지속적인 비행은 불가능했을 것이라고 추측된다. 바람을 가르는 날개(
칼
깃)의 불균형은 다시 말해 그들이 한번의 강력한 충격비행에 한했음을 말해 준다. 이러한 날개의 발달은 시조새의 선조 때부터 시작됐으며 앞다리의 뒷쪽에 나있는 비늘이 매끄러운 면쪽으로 길어진 것이다 ... ...
이름 잘못 불리는 식물 12가지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나는 반지중다년초다. 키가 보춘화보다 훨씬 커서 60cm나 되고, 뿌리켠에서 나는 잎은
칼
모양이며, 그 자른 면이 평평하고, 잎가에 톱니가 없다. 꽃은 잎과 비슷한 포가 달린 긴 꽃대 끝에 보라색의 큰 꽃이 대개 3송이씩 달리는데, 그 꽃봉오리의 모양이 마치 붓글씨를 쓰는 붓을 닮아 붓꽃이란 이름이 ... ...
아주 높이 있는 먼지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그것도 먼지에서 시작되었을 것이라고 한다. 뉴욕 이타카에 있는 코넬대학 행성연구소의
칼
세이건과 크리스토퍼 치바는 생명은 새롭게 형성된 내부 태양계의 마지막 폭발 때 시작되었다는 가설을 제시했다.행성의 형성 뒤에 남겨진 물질과 그의 위성들은 분명히 그 행성과 위성들을 향해서 ... ...
② 독창적인 문화 깃든 제품 나와야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숲속 곳곳을 여행하며 원인모를 재난의 비밀을 풀어나가는 아케이드성 롤플레잉 게임.
칼
과 무기를 지닌 마법사는 게임이 진행될수록 성장하는데 간단한 대화도 할 수 있다. 깔끔한 화면처리가 특징. 386 이상에서 사용가능. 제작자는 중앙대 전산과 2년 이재홍씨 ... ...
물과 빛으로 쇠를 자른다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물의 충돌에너지를 이용, 재료를 절단하는 새로운 개념의 가공 기술이다. 일종의 '물
칼
'이라고 할 수 있는 이 기술의 기본원리는 고속으로 분사되는 물줄기의 충격을 이용해 공작물을 빠르게 침식시키는 것이다. 이 기술은 1969년 미국 일리노이대학의 노만 프란츠(Norman Franz)에 의해 처음 소개됐다. ... ...
이전
87
88
89
90
91
92
93
94
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