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요건
조건
요소
d라이브러리
"
필요조건
"(으)로 총 2,571건 검색되었습니다.
이공계 중점대학 진학의 길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이공계 진학을 희망하는 많은 중고생들은 입시의 길목에서 일반대학과 이공계 중점대학의 갈래길을 두고 고민에 빠진다. 특히 과학고가 아닌 일반고 학생들에게는 이공계 중점대학에 대한 정보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게 사실이다. 이 글에서는 이공계 중점대학에 진학할 경우 어떤 혜택이 있으며, ... ...
한국의 ‘칼텍’ 꿈꾼다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미국 칼텍은 세계적인 명성의 이공계 대학이다. 전교생이 900명 내외지만, 지금까지 노벨상 수상자를 32명이나 배출한 놀라운 기록을 세웠다. 국내에도 소수정예 교육으로 이공계 인재를 양성하는 대학이 있으니 바로 GIST다. GIST는 학년당 100명의 학부생을 선발하고 있다. 타 대학에 비해 적은 인원이 ... ...
전송 오류를 잡아라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디지털 통신에서는 모든 신호를 이진수로 바꾼 다음 그 부호를 통신선이나 전파에 실어 전송한다. 무선 통신 환경은 유선 통신에 비해 매우 불안하므로 전송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번호에서는 그 오류를 발견하고 수정하는 방법을 살펴보겠다. Q1 다음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라. ( ... ...
승용차의 4배가 넘는 가공할만한 F1 머신의 힘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F1(포뮬러 원) 머신의 최고 속력은 시속 360km에 이른다. 시속 200km만 돼도 드라이버의 시야가 흐려지는데, 시속 360km이면 머신에 날개가 있을 경우 이륙할 수도 있다.머신을 초고속으로 달리게 하는 힘은 ‘자동차의 심장’인 엔진에서 나온다. F1 머신의 엔진은 8기통 2.4L를 사용하도록 규정돼 있다. 하 ... ...
1994년 제프리 프리드먼 교수의 렙틴 유전자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여기에 렙틴을 주사한다고 해도 별 효과를 보지 못한다. 렙틴은 정상체중을 유지하는 데
필요조건
이지만(렙틴이 없으면 초고도비만이 되므로) 충분조건은 아닌 셈이다(비만인 사람 다수가 오히려 렙틴 농도가 높으므로).비만의 생리학은 여전히 미스터리상업화 시도는 실패했지만 렙틴의 발견은 ... ...
집적시스템 설계공학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최근 각광받는 태블릿 PC,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제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집적회로의 설계가 필수적이다. 세계 무대에서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는 집적시스템 설계공학에 대해 알아보자.1. 집적시스템 설계공학이란 무엇인가요?집적시스템 설계공학은 여러 반도체 소자를 칩에 모아 하나의 시스템 ... ...
상위권대 논술 공략은 필수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올해 입시에서 수험생 수가 크게 늘며 경쟁률과 함께 합격선도 높아질 것으로 점쳐지는 가운데, 9월 8일부터 수시전형 원서접수가 시작된다. 전체 모집 인원의 60% 이상을 선발하는 수시 전형은 수험생들에게 정시를 뛰어넘는 새로운 희망이 되고 있다. 올해 수시 전형의 특징을 살펴보고 자신에게 ... ...
세포 호흡과 ATP 합성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해당과정 세포 내에서 호흡 기질이 O2에 의해 산화되는 과정은 미토콘드리아 내에서 일어난다. 세포질로 들어온 포도당은 분자 크기가 커서 미토콘드리아의 막을 통과할 수가 없다. 따라서 세포질에서 일단 포도당을 2분자의 피루브산으로 분해한다. 이를 당이 분해된다는 의미에서 해당과정이라고 ... ...
합성세포, 인공생명체 시대 열었나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지난 5월 20일 미국 크레이그벤터연구소(JCVI)의 연구자들은 과학저널 ‘사이언스’에 합성세포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는 논문을 발표해 인공생명체를 창조했다는 센세이션을 불러일으켰다. ‘JCVI-syn1.0’으로 명명된 합성세포는 어떤 과정을 거쳐 만들어졌고 이 기술이 생명과학 분야에 주는 의미는 ... ...
PART 2 독특한 곤충의 생애, 주기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대부분의 곤충은 알→애벌레→번데기→어른벌레와 같이 4단계를 거쳐 살아간다. 각 단계마다 모양과 생활 방식이 다를 뿐더러 곤충마다 주기의 길고 짧음의 정도 차이도 많다. 그래서 주기는 곤충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주기와 곤충은 무슨 관계가 있을까?사람에게는 영유아기→아동 ... ...
이전
87
88
89
90
91
92
93
94
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