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자"(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 [별 헤는 수학] 도플갱어가 소개하는 왜소은하 찾기 시민과학프로젝트수학동아 l2020년 02호
- 내가 발견한 왜소은하에 내 이름이 붙을수도 있습니다!③ 인공지능 학습 데이터로!시민과학자들이 분류할 천체 사진은 1월 말 현재 1만 4309장이고, 앞으로 더 많아질 거예요. 이 많은 데이터는 앞으로 인공지능을 이용해 천체 사진에서 왜소은하를 분류하기 위한 학습 데이터로 활용할 예정이에요. ... ...
-
- [연재작 출간 기념 책수다] 숙녀들의 수첩, 수학이 여자의 것이었을 때수학동아 l2020년 02호
- 전공한 게 그냥 나비 날개가 예뻐서라는 단순한 이유거든요. 언젠가 우리 만화를 보고 수학자가 됐다는 친구를 만나면 정말 좋겠어요. 다솔 전 취재 뒷담을 13편이나 쓰느라 힘들었지만 작가님과 의논하며 만화를 진행하던 생각이 나 재밌었어요. 작가님이 아녜시 생가를 방문한 것도 빼먹지 않고 ... ...
-
- 콜라츠 추측, 왜 어려운가?수학동아 l2020년 02호
- 이전까지 콜라츠 추측은 수학자들의 입에서 입으로만 전해진 거죠. 당시만 해도 수학자의 관심을 끌지 못했나 봅니다. 그러다 1972년 미국 대중 과학 잡지 ‘사이언티픽 아메리칸’의 칼럼을 포함한 6개의 출판물에 등장하며 널리 알려지게 됐습니다 ... ...
-
- [이달의 책] 지동설은 맞고, 천동설은 틀리다? 외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더 좋은 방향으로 수정하며 생각하는 사고법을 ‘과학 리터러시’라고 부른다. 저자는 과학자뿐 아니라 대중에게도 과학 리터러시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1980년대에는 버스, 기차, 식당 등 폐쇄된 공간에서도 흡연이 허용됐다. 담배의 유해성에 대해 몰랐고, 그래서 과학 리터러시가 작동할 수 ... ...
-
- 로봇, 100년 동안 갖가지 얼굴을 갖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갤 정도로 쓸모가 있어야 해요. 하지만 지금 로봇은 문 손잡이 하나도 잡기 어려워해요. 학자들이 “로봇이 쳐들어오면 어쩌냐고? 그럼 문을 닫아라!”고 농담할 정도지요. 책상에 놓인 책 하나를 잡을 때도 책의 질감, 강도, 위치, 주변 환경을 인식한 뒤 수많은 책 잡기 전략을 일일이 계산해야 ... ...
-
- [한페이지 뉴스] 외계행성 19개 화학조성 보니과학동아 l2020년 01호
- 것으로 추정되는 외계행성이 속속 밝혀졌다. 하지만 외계행성에 존재하는 물의 양이 천문학자들의 예측에 훨씬 못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루이스 웰뱅크스 영국 케임브리지대 천문연구소 연구원이 이끄는 국제공동연구팀은 허블 우주망원경을 이용해 크기와 온도가 다양한 19개 외계행성을 ... ...
-
- 영화처럼, 정말 백두산이 폭발한다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대북제재나 정치적, 법적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이 교수는 “아직도 외국 화산학자들에게는 백두산의 중국식 표기인 창바이산(長白山)이라는 이름이 더 잘 알려져 있는 게 현실”이라며 “영화 개봉을 계기로 국민들이 백두산에 관심을 가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 ...
-
- [이달의 과학사] 주세페 피아치, 최초의 소행성 ‘세레스’를 발견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세웠어요. 그런데 그가 천문학자들에게 초청장을 돌리는 사이, 뜬금없이 이탈리아의 천문학자인 주세페 피아치가 이 궤도에서 새로운 천체 ‘세레스’를 발견했어요. 1801년 1월 1일, 피아치에게 초청장이 배달되기도 전의 일이었죠.피아치는 처음에는 세레스가 혜성이라고 생각했지만, 움직임을 ... ...
-
- 조선의 갈릴레오, 장영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종3품 대호군에 올랐다. 장영실이 부산을 떠나 한양에 온 지 30여 년 만에 조선 최고의 과학자로 인정받은 것이다. 그런데 장영실의 흔적은 1441~1442년 세종이 적은 몇 개의 일기로 끝으로 돌연 역사에서 사라졌다. 사라진 장영실, 어디로 갔을까“대호군의 사건이 내내 마음을 무겁게한다. (중략) ... ...
-
- [스쿨리포트A+] 이론 실습 연계 보고서 - 멘델의 유전법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녹여내는 것이 좋습니다. ● 기초지식. 멘델의 유전법칙이란? 오스트리아의 유전학자인 그레고어 멘델은 1865년 완두콩을 이용해 부모와 자손 세대 사이에서 나타나는 유전 형질의 이동 과정을 설명했습니다. 완두콩의 색과 종자의 모양처럼 개체가 가진 표현형마다 우성과 열성의 유전자형이 ... ...
이전87888990919293949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