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형태"(으)로 총 6,831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15퍼즐과 루빅스 큐브도 마르코프 연쇄로 공정하게 섞자!수학동아 l2020년 06호
- 최소 19회를 섞으면 2×2×2 큐브는 무작위하다고 할 수 있는 거죠!카드 섞기와 전혀 다른 형태의 퍼즐이지만 같은 원리로 무작위하게 만드는 횟수를 알아낼 수 있다니 놀랍지 않나요? 사실 카드 섞기에 대한 설명을 듣고 더 어려운 개념이 등장할 줄 알고 난처했는데 다행입니다. 하하. 말씀드리는 ... ...
- [진로체험] 온라인에 남긴 흔적 찾는 데이터 분석 전문가수학동아 l2020년 06호
- 도전하세요!해당 진로를 꿈꾸는 독자들에게 조언해주세요.수학 문제를 풀 때 문장 형태의 문제를 간결한 수식으로 나타내는 게 첫 번째죠. 여기서 더 나아가 문제를 푸는 방법과 절차를 세울 수 있다면 데이터 분야에 도전할 수 있는 자질은 충분해요. 데이터 분야의 프로그램을 만드는 직업을 ... ...
- [주니어 폴리매스] 비주얼드, 애니팡에 맞서는 ‘매치3 게임’을 디자인하라!수학동아 l2020년 06호
- 매치3 게임은 대부분 가로세로가 각각 7~8칸인 사각형 격자 구조를 가집니다. 타일의 형태는 보석, 동물, 사탕 등으로 다르지만 종류는 보통 6~8개입니다. 타일의 종류가 적을수록 매칭이 일어날 확률이 높아지고 그 반대의 경우에는 매칭이 일어날 확률이 낮아지죠. 이런 게임의 특성을 바탕으로 매치3 ... ...
- 누가 지방세포를 키우나?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이 지방 조직 안에 존재한다. 백색 지방세포는 여러 지질 성분 중 중성지방(triglyceride)의 형태로 지방을 저장하며, 저장 과정은 이자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인 인슐린에 의해서 촉진된다. 인슐린이 지방세포의 세포막에 존재하는 인슐린 수용체에 결합하면 세포 내 신호 전달 경로가 활성화된다. 이에 ... ...
- 초음속기vs하이퍼루프vs위그선...진정한 ‘번개’를 가리다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생성을 최소한으로 줄였다. 총 29m에 이르는 기체에서 조종석이 가운데에 놓여 있는 형태다. 또 항공기 주 날개 앞쪽에 작은 날개(canard)를 달아 기체 주변에 압축되는 공기를 분산시켰다. 앞코가 길어져 조종사의 시야에 제약이 생기는 문제는 카메라를 달아 해결했다. NASA는 올해 하반기 X-59 퀘스트의 ... ...
- [융복합 파트너@DGIST] '씨앗' 키워 정제까지...친환경 퀀텀닷 레시피과학동아 l2020년 06호
- 기술이 곧 그 연구실만의 노하우가 된다.이 교수팀은 인화인듐을 1.9nm 크기의 ‘씨앗’ 형태로 만든 뒤 이를 키우는 방식으로 일정한 크기의 퀀텀닷 입자를 구현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490~650nm 파장을 흡수해 붉은 색을 구현하는 퀀텀닷을 제작하면서 씨앗 입자를 키웠고, 이를 한 번 더 ... ...
- [이달의 과학사] 다이빙 헬멧에서 아쿠아렁으로, 잠수복의 진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잠수복을 만들었어요. 1921년 3월 1일에 이 잠수복으로 특허를 받았지요.그렇지만 이런 형태의 잠수복은 무겁고 공기 호스가 물 밖으로 이어져 있어 움직이기 쉽지 않았어요. 현재 널리 쓰이는 잠수 기구인 ‘아쿠아렁’은 1943년 프랑스의 해군 장교 자끄-이브 쿠스토와 공학자 에밀 까냥이 ... ...
- [퀀텀닷 완전정복] 카드뮴 없앤 친환경 퀀텀닷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소비하던 니켈카드뮴 이차전지 역시 니켈금속수화물이나 리튬이온, 리튬폴리머 등 다른 형태의 배터리로 대체되는 추세다.퀀텀닷도 같은 흐름이다. 인체와 밀접하게 닿는 디스플레이, 심지어 체내로 집어넣는 바이오이미징 분야에 사용되기 위해서는 카드뮴을 사용해서는 안 된다. 웨어러블이나 ... ...
- [융복합 파트너@DIGST] 곤충처럼 기고 사람처럼 땀 흘리는 자연모사 로봇과학동아 l2020년 05호
- 부드럽게 움직이며 장애물을 넘고, 몸체보다 무거운 물건을 올려도 골격이 튼튼해 형태가 변하지 않는 로봇을 제작하는 데 성공했다. doi: 10.1115/1.4042626 일상에서 떠올린 ‘땀 흘리는 로봇’윤 교수는 동물을 관찰하는 것뿐만 아니라 일상에서도 로봇에 대한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 ...
- [과학용어 따라잡기] 기후(climate), 유전체(genome)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생명체의 세포가 증식할 때 나타나는데, 현미경으로도 관찰할 수 있어 유전물질의 형태 중 초기에 알려졌지요. 이런 염색체 전부를 가리키기 위해 윙클러는 용어 ‘게놈’을 만들었답니다 ... ...
이전87888990919293949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