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취
자국
발자취
자욱
상처
얼룩
징후
d라이브러리
"
흔적
"(으)로 총 1,683건 검색되었습니다.
‘4대강 살리기’ 현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깃발이 펄럭이고 있었다. 계획대로라면 파란 깃발 안쪽의 모래톱은 10m 깊이로 파헤쳐져
흔적
도 남지 않게 된다.현재의 4대강 살리기 사업은 이렇게 강 바닥의 모래를 파내는 작업(준설)을 핵심 과제로 삼는다. 하천 바닥을 깊게 해 홍수 위험을 낮추고, 전체 구간에 걸쳐 수심을 6m로 일정하게 ... ...
part2, 목적에 따른 글쓰기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수차례나 관찰된다. 1분 동안 많게는 수만 개의 유성이 떨어지는데, 지상에는 유성우의
흔적
인 운석이나 운석 구덩이를 발견하기가 쉽지 않다. 그 이유는 무엇인지 토의해 보자. -천재교육, 물리1 교과서 중- [과제 연구] 물의 비열은 다른 물질에 비해 매우 높다. 이러한 물의 특성이 우리 생활 속에서 ... ...
펠리노의 정체를 찾아서~ 안데스 잉카 문명을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6호
흔적
이 있는 두개골 (페루 국립고고인류역사학박물관)나는 구멍을 뚫고 수술을 받은
흔적
이 있는 머리뼈야. 안데스 지역에서는 2900년 전부터 머리뼈에 구멍을 뚫는 수술을 했어. 처음에는 흑요석이라는 돌로 머리에 구멍을 뚫어서 수술을 했고, 잉카시대에는 청동으로 만든 칼을 썼지. 초기에는 ... ...
어느 6 · 25 참전군인의 60년 만의 귀향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매일 감식관들은 뼈 부위별로 굵기나 길이를 재고 치과 치료
흔적
이나 뼈가 부러진
흔적
처럼 특정인에게만 나타나는 인적 특징을 빠짐없이 기록한다. 여기에는 두개골 사진을 360°방향에서 찍는 입체(3D)스캐너와 턱에 붙은 치아구조를 파노라마 사진으로 찍는 첨단 스캐너가 동원되기도 한다. 2명의 ... ...
천안함 7분간의 재구성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대부분 알루미늄 가루를 20~30%씩 쓴다”고 밝힌 바 있다. 수거한 어뢰 부품이 선체에 남은
흔적
과 성분이 같고 천안함 선미가 인양된 곳에서 30m 떨어진 지점에서 발견됐다는 점에서 가장 유력한 물증이다. 그러나 이는 정황 증거라는 점에서 아직 한계가 있다. 게다가 육지에서 발생한 폭발은 현장에 ... ...
멸종위기종 산양의 복원 현장 설악산에 가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비롯한 야생동물들이 평소 다니는 그 길이다. 곳곳에 노루의 배설물과 멧돼지가 땅을 판
흔적
들이 보였다. 설악산처럼 등산객이 많이 찾는 산도 등산로를 약간 벗어나면 동물원에서나 봄 직한 동물들이 뛰어다니는 길이 있다.사실 국내 산양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산양이라고 하면 뿔이 ... ...
사건파일 2 도둑의 발자국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적이 있거든.목긴 공룡의 힘용각류의 발자국 화석이 많이 발견되었지만 꼬리를 끈
흔적
이 한 번도 발견되지 않았어. 길고 무거운 꼬리를 어떻게 들고 있을 수 있었을까? 용각류는 목에서 꼬리 끝까지 굵은 밧줄 같은 힘줄이 길게 연결돼 있었어. 긴 목과 꼬리는 어깨와 엉덩이뼈를 기둥 삼아 ... ...
자연이 빚어낸 서호주 아웃백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관련이 있다. 빨간 부분은 사암 속에 포함된 철 성분이 대기 중의 산소와 만나 산화된
흔적
이고, 검은 부분은 시아노박테리아가 붙어 화석화된 것이다. 결국 시아노박테리아로부터 시작된 산소혁명으로 형성된 지형이다.벙글벙글은 웃는 모습을 표현한 우리말 같지만 이 지역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 ...
한국 최초 식물공장 가동 시작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흙 대신 하얀 스펀지 조각에 몸을 고정한 채 자라고 있는 채소들은 정말 벌레 먹은
흔적
하나 없이 매끈하다. 채소 바로 위에는 형광등 형태의 조명이 설치돼 있는데, 모두 LED라고 한다.“현재 일본에서는 약 50곳의 식물공장에서 상업생산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100% LED조명을 쓰는 식물공장은 ... ...
인류 진화의 비밀 풀리나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더 오래 살았다는 증거이거나, 250만 년 전~200만 년 전에 아프리카누스가 진화한
흔적
일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미국 뉴욕 스토니브룩대 프레드 그린 박사도 “버거 박사팀이 아프리카누스끼리의 개체변이를 전혀 고려하지 않았다”며 “두 화석 중 하나가 미성숙한 나이이기 때문에 해부학적 ... ...
이전
87
88
89
90
91
92
93
94
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