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7"(으)로 총 10,332건 검색되었습니다.
- [4컷 만화] 미니 심장이 콩닥콩닥!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연구팀은 유도만능줄기세포●를 활용했어요. 유도만능줄기세포를 배양액에서 약 7일간 키우자 지름 2mm의 작은 공처럼 생긴 심장 오가노이드가 만들어졌어요. 이 심장 오가노이드는 분당 60~100회가량 박동할 수 있어요. 게다가 심장 오가노이드는 훗날 좌심실이 될 내부 방 구조가 하나 있는 형태인 ... ...
- [기획] 코로나19 때문에 살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수 있는 수칙도 제시돼야 한다”고 강조했답니다. 스마트폰 많이 쓰면 살이 찐다?6월 7일, 스마트폰으로 채팅, 게임, 영상, SNS 등을 많이 사용할수록 살이 찐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고려대학교 보건정책관리학부 오하나 교수팀은 청소년의 스마트폰 이용시간과 식습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 ...
- 누리호│기적의 성공, 작은 아쉬움 “내년 5월 완벽에 재도전”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예정입니다. 10월 23일 과기정통부는 내년 ‘한국형 발사체 고도화사업’에 예산 1727억 6000만 원을 편성하며 후속연구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한국형 발사체 고도화 사업은 6년간 발사체를 4회 추가 발사한다는 계획입니다. 2022년부터 1~2년 간격으로 4차례 발사체를 쏘아 올려 실제 위성을 저궤도에 ... ...
- 우주 끝에 한 걸음 더, 차세대 탐사선 3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소행성대에 있는 ‘52246 도널드조핸슨(Donaldjohanson)’ 소행성을 탐사하며 시작된다. 2027년 8월부터는 목성 앞 L4 라그랑주 점에서 태양 궤도를 돌고 있는 원시 소행성 집단 트로이군의 ‘3548 에우리베이트(Eurybates)’와 그 위성 ‘쿠에타(Queta)’ ‘15094 폴리멜(Polymele)’ ‘11351 루커스(L ...
- [인터뷰] "여성 과학도들이여, 끈질기게 버텨라” 황정아 한국천문연구원 책임연구원과학동아 l2021년 12호
- 바이코누르 우주센터에서 발사될 계획이다. “도요샛은 인공위성 1기가 아니라 4기예요. 7.9kg의 초소형 위성 4기가 정확한 자세 제어를 통해 세계 최초로 편대비행을 시도할 예정이죠.”“안전을 위한 연구에는 양보가 없어야 해요”황 연구원의 박사논문 주제는 ‘지구방사선대’였다. ‘밴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나의 첫 반려 로봇?! 보행 로봇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만든 뒤, 꼭 기사로 써 주세요!•신청 기간 2021년 6월 30일까지•당첨자 발표 2021년 7월 1일•신청 방법 홈페이지(kids.dongascience.com)에서 마이랩앳홈 공지사항에 댓글을 달아주세요 ... ...
- [과학뉴스] 코로나19 먹어서 치료하는 시대 오나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없었다고 밝혔다. 반면 팍스로비드를 복용하지 않은 환자의 입원율은 7%, 사망자는 7명이었다.정부는 11월 8일 중앙방역대책본부 브리핑에서 “40만 4000명분의 경구용 치료제 확보를 결정했고, 내년 2월부터 단계적으로 도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
- 마법 같은 효과에 숨은 부작용, 식욕억제제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식욕억제제를 처방해 지난해 9~10월(1차) 두 달간 적발된 의사는 192명, 올해 1~2월(2차)은 37명이었다. 처방이 금지된 청소년, 어린이에게 처방한 의사도 같은 기간 153명, 24명이었다. 하지만 현재 마약류인 식욕억제제를 오남용해 처방한 의사를 처벌할 마땅한 수단이 없다. 남 의원은 10월 20일 ... ...
- 과학자도 코로나19 이후 전면 봉쇄...2021년 평양의 과학기술은?과학동아 l2021년 12호
- 과학자가 논문을 투고한 적이 있다. SCI 등재지인 국내학술지에 간혹 있는 일이다. 2016~2017년에는 김일성대 연구팀이 부실학술지에 31편의 논문을 투고했다는 사실이 2018년 뉴스타파의 보도로 알려지기도 했다. 전 국민을 공대 졸업생 수준으로, 전민 과학기술 인재화 이공계 인재 양성을 위한 북한의 ... ...
- 업스케일링, 필름복원, 디지털화...마스터피스 되살린다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작업을 맡고 있다. 이곳에 보관된 국내외 영화 필름은 지난 7월 기준 약 1만 2697편, 디지털 파일은 6084편에 달한다. 일종의 영화계 ‘노아의 방주’인 셈이다. 온도와 습기에 취약한 필름을 오래 보관하기 위해 보관고는 항시 적정 온도인 5℃, 30% 습도를 유지하지만, 이것만으로는 귀중한 문화 자료를 ... ...
이전878889909192939495 다음